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8 20:36:45

1974 테헤란 아시안 게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 -8px; margin-bottom: -8px"
<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73a3c> 1회 2회 3회 4회 5회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필리핀 국기(1936-1985, 1986-1998).sv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
1951
뉴델리
1954
마닐라
1958
도쿄
1962
자카르타
1966
방콕
<rowcolor=#373a3c> 6회 7회 8회 9회 10회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1970
방콕
1974
테헤란
1978
방콕
1982
뉴델리
1986
서울
<rowcolor=#373a3c> 11회 12회 13회 14회 15회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0
베이징
1994
히로시마
1998
방콕
2002
부산
2006
도하
<rowcolor=#373a3c> 16회 17회 18회 19회 20회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10
광저우
2014
인천
2018
자카르타·팔렘방
2022
항저우
(연기)
2026
아이치·나고야
<rowcolor=#373a3c> 21회 22회 23회 24회 25회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2030
도하
2034
리야드
2038
미정
2042
미정
2046
미정
}}}}}}}}}
1974 테헤란 아시안 게임
제7회 아시안 게임
بازی‌های آسیایی ۱۹۷۴
1974 테헤란 아시안 게임
VII Asian Games
Tehran 1974
파일:attachment/51124002484.jpg
파일:100005900.jpg
대회 기간 1974년 9월 1일 ~ 1974년 9월 16일
개최국
[[팔라비 왕조|
팔라비 왕조
이란 제국
]][[틀:국기|
행정구
이란 제국
]][[틀:국기|
속령
이란 제국
]] / 테헤란
참가국 25개국
참가 인원 3,010명
경기 종목 16개 종목 - 200개 세부 종목
개회 선언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이란 샤한샤
선수 선서 만수르 바르제가르[1]
성화점화 골베르디 페이마니
개·폐회식장 아리아메르 스타디움
1. 개요2. 메달 순위3. 이모저모

[clearfix]

1. 개요

1974년 이란 제국 테헤란에서 개최된 제7회 하계 아시안 게임. 서아시아 및 중동지역에서 열린 첫 대회이다.

2. 메달 순위

1974 테헤란 아시안 게임 메달 집계
최종 집계
<rowcolor=#dbbe32,#ffffff> 순위 국가 메달 합계
1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일본
75 49 51 175
2 [[이란|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 이란
36 28 17 81
3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중국
33 46 27 106
4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 대한민국
16 26 15 57
5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 북한
15 14 17 46
6 [[이스라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 이스라엘
7 4 8 19
7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 인도
4 12 12 28
8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 태국
4 2 8 14
9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 인도네시아
3 4 4 11
10 [[몽골|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
]] 몽골 인민 공화국
2 5 8 15
11 [[파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 파키스탄
2 0 9 11
12 [[스리랑카|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 스리랑카
2 0 0 2
13 [[싱가포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 싱가포르
1 3 7 11
14 [[미얀마|
파일:버마 연방 국기.svg
]] 버마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1 2 3 6
15 [[이라크|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 이라크
1 0 5 6
16 [[필리핀|
파일:필리핀 국기.svg
]] 필리핀
0 2 12 14
17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 말레이시아
0 1 4 5
18 [[쿠웨이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 쿠웨이트
0 1 0 1
19 [[아프가니스탄|
파일:아프가니스탄 공화국 국기(1974-1978).svg
]]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0 0 1 1

3. 이모저모


[1] 당시 이란의 레슬링 선수이며 이 아시안 게임에서는 레슬링 남자 자유형 74kg급에서 금메달을 땄다. [2] 이와 관련된 이야기도 재미있다. 황호동의 평소 체중은 슈퍼헤비급의 한 단계 아래인 헤비급에 해당했다. 황호동은 헤비급(당시 90-110킬로그램)이 아닌 슈퍼헤비급(110 이상)에 참가하기 위해 열심히 먹어서 체중을 늘려서 간신히 계체량을 통과했다. 다른 선수들과 정반대 방법으로 체중조절을 한 것이다. 그리고 뒤에서 언급했지만 세계선수권대회 방식으로 메달을 수여함에 따라 메달 획득이 가능했던 것이었다. 여담이지만 이 대회의 슈퍼헤비급 입상자들은 오히려 헤비급 입상자들보다 기록이 저조했다. 역도연맹이 황호동의 복귀를 요청한 것도 사실 이것을 노린 것이었다. 당시 헤비급 한국 대표는 윤석원이었는데, 황호동과 윤석원의 인상 기록은 같았다. 그렇지만 황호동은 2위, 윤석원은 4위였다(윤석원은 용상과 합계에서는 각각 3위를 해서 동 2개를 땄다). [3] 15개팀 본선 진출 대회로 15강 조별리그 다음 8강 조별리그에서 각 조 1위만 결승행, 각 조 2위는 동메달전으로 갔다. [4] 당시 일화가 참으로 어이없고도 대담한데, 용상 1차 시도에서 180kg을 실패하고 대기실에서 에페드린을 복용하고 용상 2차 시도에서 190kg을 성공했다고 한다. 성공 직후 김일성 수령님 만세(X3)를 외쳤다는데, 행동도 행동이지만 당시 얼굴이 새빨개서 수상히 여긴 대회조직위 측이 곧바로 소변검사를 해서 걸렸다고 한다. # [5] 이 때문에 북한 측에서도 그 "남조선"에게 순위가 밀리게 되니 불같이 항의했지만 도핑 자체가 빼도박도 못해서 금메달 박탈을 막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