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20:31:03

효혜공주


조선의 왕녀
[[틀:조선의 왕녀/중종 ~ 철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사도세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중종의 왕녀
효혜공주 | 孝惠公主
출생 1511년 6월 23일( 음력 5월 18일)
사망 1531년 5월 16일( 음력 4월 20일)
(향년 19세)
묘소 고양 신원 원당면(高陽 新院 元堂面)[선원록]
본관 전주 이씨
옥하(玉荷[훈음])[선원록]
부모 부왕 중종
모후 장경왕후
부군 연성위 김희(延城尉 金禧)[4]
자녀 슬하 1녀
딸 - 김선옥(金善玉)
봉호 효혜공주(孝惠公主)
1. 개요2. 생애3. 어린 시절
3.1. 혼인3.2. 죽음3.3. 사후
4. 조상5. 가족관계6.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조선 공주.

조선 제11대 왕 중종과 계비 장경왕후의 적장녀.[5] 또한 인종 동복누나이자 명종의 이복누나이다.

2. 생애

3. 어린 시절

1515년(중종 10) 공주는 나이 5세에 어머니 장경왕후를 여의었다.[6] 어린 나이에 어머니를 잃은데다 유일한 친남매라는 공감대로 인종과 사이가 매우 돈독했으며, 연려실기술의 인종조 고사본말에서는 나중에 효혜공주가 죽자 인종은 너무 슬퍼하다 병을 얻을 정도였다고 한다.

3.1. 혼인

1520년(중종 15) 김안로의 아들 김희(金禧)[7]와 혼인하기로 결정되어 이듬해 11월 가례를 올렸다. 부마가 된 김희는 연성위(延城尉)에 봉해졌다.

한편 딸을 사랑한 중종은 공주의 시아버지가 된 김안로에게 "공주가 떠받드는 속에서만 자라서 시부모를 존대하는 예를 모르니 부드럽게 타일러 달라."라고 말했는데, 쉽게 말하자면 '내 딸이 귀하게 자라 버릇 없겠지만 심하게 혼내지 말고 잘 달래라'라는 것이다.[8] -이거 사실상 협박이다-

가례를 올린 공주는 중종이 진성대군일 적 잠저에서 신혼생활을 하였다. 중종과 신하들 모두 효혜공주와 연성위의 집을 중종의 잠저라고 말하고 있다.[9]

3.2. 죽음

1528년(중종 23) 공주가 이질을 앓았는데, 중종이 이를 걱정해 대간의 반대를 부릅쓰고 문병하였다.

그로부터 3년 후 외동딸을 출산한 후 산후병으로 향년 21세로 사망했다.[10]

3.3. 사후

효혜공주는 슬하에 김선옥(善玉)이라는 딸 하나만 두었다. 이 딸은 문정왕후의 남동생 윤원로의 아들 윤백원과 혼인했다. 그런데 윤백원은 명종대에 이량 일파에 가담하여 사림을 제거하려다가 유배되는 사람이다. 그 이유가 아버지 윤원로를 죽게 만든 윤원형에게 복수하고자 권신이자 외척인 이량의 말 잘 듣는 장기말이 되었던 것. 이때 효혜공주의 하나밖에 없는 사위라고 문정왕후가 언서를 내려 가까운 곳으로 유배지를 옮겨주었다.[11]

사실 문정왕후는 세간의 이미지와 달리 중종의 후궁들이나 자식들에게 야박하게 군 적은 없다.[12]

훗날인 1589년 효혜공주의 사위 윤백원이 의문사한다. 그의 첩 복이와 딸 윤개미치가 아버지/남편을 독살했다는 죄목으로 장을 맞다가 사망하는 참극이 벌어졌다. 13년 후인 1602년, 윤개미치의 아들 이순이 상언하여 재조사가 이루어졌다. 알고보니 진범은 윤백원의 아버지 윤원로의 서자들[13]이었고, 이들이 무고한 사람들에게 죄를 전가하였다는 것이 밝혀졌다. 진실이 밝혀진 뒤 복이와 윤개미치는 뒤늦게 신원(伸冤) 및 복권되었지만 이미 벌어진 일을 돌이킬 수는 없었다. 그야말로 비극. 그나마 진범들은 자신 때문에 억울하게 죽은 사람들이 당한 것과 완전히 똑같은 꼴을 그대로 되돌려받게 되었다.(출처: <조선의 명탐정들>)

4. 조상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효혜공주
(孝惠公主)
<colbgcolor=#fff3e4,#331c00> 중종
(中宗)
<colbgcolor=#ffffe4,#323300> 성종
(成宗)
덕종
(德宗)
소혜왕후
(昭惠王后)
정현왕후
(貞顯王后)
영원부원군 윤호
(鈴原府院君 尹壕)
연안부부인 전씨
(延安府夫人 田氏)
장경왕후
(章敬王后)
파원부원군 윤여필
(坡原府院君 尹汝弼)
윤보

순천부부인 박씨
(順天府夫人 朴氏)
박중선

5. 가족관계

5.1. 외가( 파평 윤씨)

6. 대중매체에서

파일:효혜공주(여인천하).jpg
2001년 SBS 월화 드라마 《여인천하》
배우: 이예림
파일:효혜공주(대장금).jpg
2003년 MBC 월화 드라마 《대장금》
배우: 미상

[선원록] # [훈음] 구슬 연꽃 [선원록] [4] 김안로의 아들로, 아내 효혜공주가 죽고 몇 달 뒤에 본인도 같은 해에 사망했다. [5] 적서를 통틀어서도 장녀이며, 중종이 장남 복성군 다음으로 본 둘째 자녀이다. [6] 이때 장경왕후는 아들 인종을 낳고 산후병을 얻어 25세 나이로 일찍 떠났는데, 딸인 효혜공주도 똑같이 산후병으로 25세도 넘기지 못하고 죽었다. [7] 실록에서는 몽룡(夢龍)이라는 이름으로 나오는데, 김희의 아명이거나 초명일 것이다. [8] 중종실록 43권, 중종 16년 11월 11일 기미 1번째기사. # [9] 중종실록 52권, 중종 19년 11월 4일 갑자 1번째기사. # [10] 중종실록 70권, 중종 26년 4월 20일 3번째 기사. # [11] 선옥은 태어나자마자 어머니 효혜공주가 사망하고 아버지 김휘도 몇 달 뒤에 죽는 바람에 부모님의 사랑을 받지 못했다. 문정왕후도 남동생 윤원로를 정계에서 축출하는 데 동의했을 테니, 그의 아들이자 자신의 친조카이기도 한 윤백원과 자신의 의붓외손녀인 선옥에게 미안한 감정이 있었을 것이다. [12] 중종의 후궁 희빈 홍씨, 창빈 안씨 등은 명종 대까지 궁중에서 살았고, 문정왕후의 행장에도 평상시에 왕자와 왕손들에게 두루 은전을 베풀었다고 쓰였다. [13] 즉, 윤백원의 이복동생들. [14] 세조비 정희왕후의 친정아버지이다. 친가로 보나 외가로 보나 공통조상인 윤번이 서로 겹친다. [15] 월산대군의 하나뿐인 아들로, 세조 의경세자를 공통 조상으로 하는 5촌 당숙-조카 관계이면서 이모부-조카 관계를 하는 겹사돈을 맺었다. 월산대군/가족과 후손 문서 참고. [16] 다만 김안로 부자와 달리 효혜공주는 어디까지나 친동생 인종을 지켜주기 위해서 가담한다. 비록 인종이 중종의 적장자에 세자였으나, 총애 받는 어머니가 살아있는 복성군과 알게 모르게 신경전을 펼치는데다 입지가 불안해서 김안로의 권세에 의지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