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09:14:04

향비파

아시아의 현악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colbgcolor=#e2dcd6,#6c5244> 찰현악기
동아시아
대한민국 해금 · 저음 해금 · 아쟁(a)
북한 소해금 · 중해금 · 대해금 · 저해금
중화권 쓰후 · 얼후 · 징후 · 징얼후 · 반후 · 마구후 · 자오후 · 투후 · 후루후 · 예후 · 가오후 · 디후 · 다후 · 종후 · 싼후 · 거후 · 디인거후 · 이인 · 콩히안 · 티친
정니(a) · 주이후(a) · 레이친(a) · 파친(a) · 라루안(a)
몽골 마두금 · 이킬 · 호치르 · 대마두금
일본 코큐 · 앗소(a) · 테이소(a) · 카이사츠코
중앙아시아
시베리아
알타이·투바
이킬리 · 비잔치
킵차크
카자흐·키르기스
코비즈
카를루크
우즈벡·위구르
아제크 · 기작
동남아시아
베트남 단 니 · 단 호 · 당 가오 · 냐 짜인(a)
태국 소 두앙 · 소 삼 사이 · 소 우 · 소 로
캄보디아 트로 · 트로 크메르
말레이시아 움방
(a) 발현악기의 형태 + 찰현악기의 연주 방식
발현​악기 ··
다현금 고금 · · 거문고 · · 대쟁 · 가야금 · 고토 · 야특 · 단 짜인 · 미 갸웅 · 철현금 · 한아고 · 제티겐
일현금 이치겐킨 · 단 보우
월금
비파 비파 · 향비파 · 당비파 · 비와
2현 텁쇼르 · 돔브라 · 주워르거 · 도이라
3현 싼시엔 · 산신 · 샤미센 · 샨즈 · 담탐 · 코무즈 · 더슈플루르
공후
공후 수공후 · 대공후 · 와공후 · 소공후 · 옥류금
이외 알타이 야특 · 사산도
타현​악기 양금
}}}}}}}}}

삼현삼죽
신라삼죽 新羅三竹
대금 중금 소금
신라삼현 新羅三絃
거문고 향비파 가야금


파일:향비파.jpg
향비파 (鄕琵琶)
파일:향비파1.jpg
악학궤범식 복원 향비파

1. 개요2. 상세3. 구조와 형태4. 연주법5. 구입 및 배우기6. 전문 연주자 및 단체7. 참고 논문

[clearfix]

1. 개요

▲ 노컷뉴스에서 취재한 비파 관련 동영상 / 연주자: 권세희

한국식 비파의 한 종류.

2. 상세

중국에서 들어온 당비파와 구분하고자 붙인 이름이다. 또한 삼국시대부터 조선 말기까지 궁중과 민간에서 쓰인 대표적인 향악기이다.

삼국사기에서는 '始於新羅(신라에서 비롯했다)'고 하는데 애초에 비파라는 악기가 중앙아시아에서 유래했다는 걸 생각해 보면 마치 현대의 기타 제작 업체들이 미국의 Gibson Fender를 참고하여 자체적인 기타를 만들듯이 기존에 있던 비파를 참고하여 신라에서 독자적으로 만든 비파라는 뜻으로 이해해야 한다. 간혹 중국에서 온 당비파는 원조, 향비파는 아류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 논리면 당비파도 중앙아시아 비파의 아류나 마찬가지이므로 애초에 논지를 벗어난 주장이다.

3. 구조와 형태

파일:향비파와 당비파 구성.png
왼쪽: 당비파 / 오른쪽: 향비파
파일:악학궤범식 향비파 주아.jpg 파일:악학궤범 - 향비파.png
악학궤범식 향비파 '주아'[1]의 모습. 악학궤범에 나오는 향비파의 모습
파일:숙종기로연-경현당 석연도-처용무.jpg

삼국사기 기록을 보면 신라 때는 가야금, 거문고와 함께 신라삼현으로 꼽히고, 향비파곡만 220곡 정도가 있다고 했을 정도로 메이저한 악기였다. 현은 명주실로 된 현이 5현이 있고, 무현-청현-대현-중현-유현을 각 僙-㑣-㑣-黃-仲으로 조율한다. 울림통에는 다른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울림 구멍[2]이 존재하며 괘[3]는 처음엔 5괘였다가 조선시대에서는 10괘, 근대에서는 12괘까지 증가하였다. 현대에 사용되는 향비파는 1988년 이성천 교수가 개량한 것으로[4] 괘의 수가 31개이다. 이하 "개량 비파"로 칭한다.

개량 비파는 기존 비파보다 음역과 음량이 넓어서 정악과 창작국악에서 두루 쓰일 수 있다는 듯. 한국 비파는 거문고와 마찬가지로 술대를 가지고 연주했는데[5] 지금도 종묘악에서 술대를 사용하여 합주에 응하는 한국 비파 모습을 볼 수 있다. 개량 이후로는 중국 비파와 마찬가지로 음량을 키우기 위해 손가락에 뾰족한 가조각을 끼우고 연주하기도 한다.[6]
파일:정창원 비파.jpg
일본 정창원에서 보관 중인 5현비파(향비파)

현재 남은 향비파 유물은 많지 않지만 일본에 있는 정창원 비파가 5현이므로 통일신라의 향비파였음이 거의 확실하다.

4. 연주법

향비파와 국악관현악을 위한 천장고임 - 학을 탄 선인 / 연주자: 정영범 현악별곡 연주[7]
향비파 커버 - 상사화 / 연주자: 김주원 가야금, 향비파 2중주 '출강'

가슴에 비파를 안은 뒤 왼손으로 목 밑을 쥐어 괘를 짚고, 오른손으로 술대를 잡거나 손가락을 이용하여 연주한다.

5. 구입 및 배우기

파일:개량 향비파.jpg
2003~2005년 개량하여 현재까지 어느 정도 대중화한 개량 향비파 모습

현재 향비파를 구입하거나 배우기에는 아직 어려움이 많다. 이는 한국 전쟁 이후로 한국 비파의 맥이 많이 소실하고, 향비파가 아직 대중들에게 국악기라고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는 점[8]과 상당히 높은 금액을 감수해야 한다는 점 등의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국악인 중 비파를 전공하는 이들은 거의 대부분 향비파를 연주하고, 당비파와 향비파를 모두 가진 경우도 많다. 향비파의 가격은 보통 300만원 대에서 시작하여 평균 400~500만원인데 가끔식 150만 원짜리 매물이 나오기도 한다.[9] 보통 당비파가 향비파보다 가격이 높다고 한다.

향비파와 당비파는 제대로 연주할 수 있는 인원이 별로 없기 때문에 경력이 짧아도 다른 전공 교수, 강사 및 연주자들과 협연을 하는 경우가 간혹 있다. 국악 오케스트라인 경우 향비파는 연주하는 사람들이 드물어서 대부분 오케스트라에서는 비파 연주가를 받아 주는 편이다.

6. 전문 연주자 및 단체

연주 활동이 확인된 전문 연주자와 전문 단체만 서술할 것

# 연주자
# 연주 단체

7. 참고 논문


[1] 향비파의 현을 조율하는 조임대 [2] 이 구멍을 음공(音孔)이라고 한다. [3] 기타의 프렛 역할 [4] 비슷한 발현악기인 월금도 개량하였다. [5] 거문고와 달리 현을 다룰 때 드는 힘이 적어서 술대 잡는 법이 좀 다르다. 또한 술대를 만들 때의 재료도 철남목을 사용하였다. [6] 이미 조선시대 초기부터 손가락에 가조각을 끼우고 연주했다는 기록이 있다. [7] 영상속에 향비파에서는 전통 방식대로 술대를 사용하여 연주하는것을 볼수 있다. [8] 실제로 지금도 당비파와 향비파를 가조각을 끼고 연주한다는 점을 들어 중국 비파라고 오인하는 경우와,(위에서 언급했듯 이미 조선시대 때도 가조각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형태가 비슷하다는 이유로 중국 악기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도 과거에 비하면 조금씩 인지도 개선은 이루어지고 있다. [9] 난계국악사의 향비파 가격 #, 영동 국악기 제작축제 때의 향비파 만들기 및 가격 # [10] 2022년 현재는 절판된 상태지만,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