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나무 Camphor tree |
||
|
||
학명: Camphora officinarum | ||
분류 | ||
<colbgcolor=#d7ffce,#0f4a02> 계 | 식물계(Plantae) | |
분류군 |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 |
속씨식물군(Angiosperms) | ||
목련군(Magnoliids) | ||
목 | 녹나무목(Laurales) | |
과 | 녹나무과(Lauraceae) | |
속 | 녹나무속(Camphora[1]) | |
종 | 녹나무(C. officinarum) |
[clearfix]
1. 개요
녹나무목[2] 녹나무과 상록활엽으로 장뇌목(樟腦木)이라고도 한다. 잎은 타원형이며 윤기가 돌며 향이 난다. 한국( 제주도), 일본, 대만, 중국, 인도네시아 등 비교적 아열대-온대 지방에 분포한다.2. 상세
녹나무는 토심이 깊고 비옥한 토양에 주로 자라는데, 그늘진 곳에서도 잘 자란다. 하지만 공해와 추위에 약하기 때문에 대도시나 내륙지방에서는 생장이 어렵다. 보통 높이 20 m, 지름 2 m 정도로 크게 자라며 국내에서는 대부분 제주도에서 자생한다. 제주도 서귀포시 도순리에는 1964년부터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녹나무 자생지가 있고, 제주 시내 삼성혈 경내에도 녹나무가 대부분이다.똑같이 녹나무과인 월계수처럼 잎을 향신료로 쓸 수 있다. 말린 녹나무 잎은 월계수 잎과 모양도 향도 매우 비슷한데, 더 고급스럽고 부드러운 향이 난다. 제주도에서는 녹나무의 향내가 귀신을 쫓는다고 알려져 있다. 제주도의 해녀들은 물질중에 잡귀의 접근을 피하기 위해 낫이나 칼 자루는 녹나무로 만들었으며, 목침을 만들어 베고 자면 잡귀가 접근하지 못해 편히 잘 수 있다고 믿었다. 또한 제사 때 조상의 혼백조차 접근할 수 없어 무덤가나 집 근처에 심는 것을 꺼렸다. 국내에서는 생산량이 매우 적어 향신료로 유통되지 않지만, 잎은 찻잎으로 가공하며 판매한다.
재목, 가지, 잎, 뿌리를 수증기로 증류하여 장뇌라는 기름을 얻는데 향료, 방충제, 강심제를 만드는 원료로도 사용한다. 그래서 장뇌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나무의 색과 결이 고와서 건축의 조각재, 완구, 내장재, 가구재로 사용되고 사찰의 목어(木魚) 재료로도 쓰인다. 정유 성분 덕에 균이 번식하지도 잘 썩지도 않는다. 그 덕분에 도마나 수저 등 주방용구를 만드는 데도 쓴다.
녹나무가 화석상으로 등장하는 것은 포르투갈의 백악기 하층의 응고되지 않은 퇴적암에서 물에 체질하여 꽃가루 화석을 채집한 것이 기록이다. #
3. 해외에서
호주에서는 토끼처럼 생태계 파괴 논란에 휩싸였다. 녹나무가 호주에 들어가자마자 새들이 열매를 먹고 씨앗을 퍼뜨린 탓에 유칼립투스를 밀어내고 빠른 속도로 번식했는데[3] 문제는 장뇌 성분이 다른 식물의 생장을 방해하고, 뿌리가 지반침하를 일으키는 데다가 코알라가 먹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정부에서는 보는 족족 베어버리기를 권장하지만[4] 넓은 그늘을 만들어주는 특성 때문에 일부 동네에서는 오히려 벌목 반대 시위를 벌이기도 한다.중국과 일본에서 쉽게 볼 수 있어 녹나무를 상징 나무로 지정한 지역이 상당히 많다. 중국의 경우, 거대도시만 나열하자면 부성급시 단위의 도시인 항저우시 및 닝보시 시목이며 성도 단위로는 난창시, 창사시, 구이양시의 시목으로 지정되어있고 한국인에게 유명한 쑤저우시 역시 녹나무가 시목이다. 그 외 단순한 지급시 단위로 들어가면 그 수는 더 많아진다. 일본의 경우,구목(区木)으로는 도쿄도 에도가와구, 시목(市木)으로는 후쿠오카시, 나고야시, 히로시마시 등의 수십 곳, 현목(県木)으로는 가고시마현, 구마모토현, 효고현.
특히 대만에서도 녹나무는 엄청 유명한데 이 나무에서 추출할 수 있는 장뇌 때문이다. 다른 동남아 아열대 지역에서도 녹나무가 자라고 장뇌향을 추출할 수 있지만 품종이 달라 약품이나 셀룰로이드 산업용 원료로 쓰기에 부적합하고, 오직 대만 북동부 고산지역의 녹나무 숲에서 나는 장뇌만이 품질과 생산량 모두 뛰어나 널리 쓰였다.
4. 미디어에서
- 학교괴담에서는 다크시니 등 요괴 일기에 적혀 있는 요괴들이 모조리 뒷산 녹나무 숲에 봉인되었는데, 숲이 파헤쳐졌기에 귀신들이 다시 튀어나올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이 때문에 학교괴담 대부분의 이야기가 전개될 수 있었다.
-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 녹나무의 파수꾼에서는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작품 주제로 쓰였다.
5. 여담
- 고려 원간섭기 때 제주도의 녹나무가 매우 귀한 나무로 취급됐었었다. 고려 원종14년(1273)에 원나라에서 황제의 용상을 만들 녹나무를 요구하였고, 이어서 10여 년 뒤인 충렬왕9년(1283)에는 특별히 탐라도의 녹나무를 보내 달라는 기록이 있다.
- 이순신 장군이 만든 거북선과 판옥선도 녹나무로 만들었다고 한다.
-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녹나무는 제주도에 있다. 우리나라에 최초의 감귤나무를 들여온 '면형의 집'의 타케 신부가 홍로성당을 새로 지을 때 기념 식수한 것이다. 수령 250년.
-
부산시민공원에 100년 된 녹나무가 있다. 원래 시청 옆 재활용 센터의 쓰레기 더미 속에서 자라고 있었으나, 2013년에 부산시민공원으로 옮겨졌다. 옮기는 과정에서 뿌리가 많이 훼손되어 풍성한 나뭇잎이 많이 줄어들었으나 공원의 중심에 심어지면서 지금은 '어머니 나무'로 불린다.
[1]
2022년 분자계통발생학 연구에 의하면 녹나무는 Cinnamomum속이 아닌 Camphora속에 속한다. 국가표준식물목록도 이 연구를 반영하여 녹나무를 Camphora속에 넣었다.
[2]
장뇌목이라고 쓰는 곳도 있는데,
장뇌는 녹나무에서 나오는 향료이므로 맞지 않다. '장뇌목'목이라고 쓰면 맞지만.
[3]
열매 씨앗을 그냥 받아다 뿌려도 발아율이 80%에 이른다고 한다. 새들이 먹고 똥으로 여기저기 퍼뜨리는 것은 나무 본래의 번식 방법이므로, 발아율이 그보다 못하지는 않을 테니 번성할 수밖에 없다.
[4]
그래서인지 인터넷에서 '캄포'라고 치면 호주산 녹나무 도마가 바로 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