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2 20:37:12

산신(악기)

아시아의 현악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colbgcolor=#e2dcd6,#6c5244> 찰현악기
동아시아
대한민국 해금 · 저음 해금 · 아쟁(a)
북한 소해금 · 중해금 · 대해금 · 저해금
중화권 쓰후 · 얼후 · 징후 · 징얼후 · 반후 · 마구후 · 자오후 · 투후 · 후루후 · 예후 · 가오후 · 디후 · 다후 · 종후 · 싼후 · 거후 · 디인거후 · 이인 · 콩히안 · 티친
정니(a) · 주이후(a) · 레이친(a) · 파친(a) · 라루안(a)
몽골 마두금 · 이킬 · 호치르 · 대마두금
일본 코큐 · 앗소(a) · 테이소(a) · 카이사츠코
중앙아시아
(튀르크 제족)
시베리아
알타이·투바
이킬리 · 비잔치
킵차크
카자흐·키르기스
코비즈
카를루크
우즈벡·위구르
아제크 · 기작
동남아시아
베트남 단 니 · 단 호 · 당 가오 · 냐 짜인(a)
태국 소 두앙 · 소 삼 사이 · 소 우 · 소 로
캄보디아 트로 · 트로 크메르
말레이시아 움방
(a) 발현악기의 형태 + 찰현악기의 연주 방식
발현​악기 ··
다현금 고금 · · 거문고 · · 대쟁 · 가야금 · 고토 · 야특 · 단 짜인 · 미 갸웅 · 철현금 · 한아고 · 제티겐
일현금 이치겐킨 · 단 보우
월금
비파 비파 · 향비파 · 당비파 · 비와
2현 텁쇼르 · 돔브라 · 주워르거 · 도이라
3현 싼시엔 · 산신 · 샤미센 · 샨즈 · 담탐 · 코무즈 · 더슈플루르
공후
공후 수공후 · 대공후 · 와공후 · 소공후 · 옥류금
이외 알타이 야특 · 사산도
타현​악기 양금
}}}}}}}}}
산신을 사용하는 밴드 BEGIN의 곡 三線の花(산신의 꽃)[1]
1. 개요2. 특징3. 연주하는 방법4. 그 외 정보

1. 개요

현악기의 일종으로 오키나와의 전통악기 가운데 하나다. 본디 중국의 전통악기인 싼시엔이 오키나와로 전해져 산신이 되었고, 이 산신이 또다시 일본 본토로 전해져서 토착화한 것이 바로 샤미센이다. 샤미센이 고양이 가죽을 쓰는 반면에 산신과 싼시엔은 울림통에 가죽을 입힌다. 현재도 오키나와 음악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류큐 문화권이지만 가고시마현에 속하는 지역인 아마미 군도에서도 민요 반주에 산신을 사용한다. 그러나 현의 재질, 주법, 형태 등 여러모로 차이를 보인다. 오키나와의 산신에 비해 좀더 딱딱하고 차가운 음을 낸다.

2. 특징

3. 연주하는 방법

工工四 음계
[7] C
D
E
[8] F
G
A
B
[9] C
D
E
F

4. 그 외 정보



[1] 일본영화 눈물이 주룩주룩 삽입곡 [2] 물론 여러개의 반시뱀 가죽을 합치는 식으로 만들 수는 있지만(전근대에는 그런 식으로 만들어진 산신이 일부 존재했을 가능성도 있고) 이렇게 하면 산신의 울림통이 내구성이 떨어진다. 한국의 각궁으로 치면 한우의 작은 뿔을 여러개 넣어서 만든 향각궁이 물소의 큰 뿔을 넣어서 만든 흑각궁에 비해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과도 비슷하다. [3] 광둥성 푸젠성 같이 기후가 동남아에 가까운 중국 남부 지역에는 비단뱀이 서식한다. [4] 오키나와 전투 이후 빈곤한 환경에서 등장한, 빈 깡통으로 만든 カンカラ三線도 있지만, 보통은 분류에서 제외한다. [5] 울림통이 어떤 재질로 만들어져 있는지 구분하는 방법은 손으로 표면을 쓸었을 때 물고기 비늘 같은 돌기와 한쪽방향으로의 거슬림이 있는 경우 뱀가죽을 사용한 것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 합성수지. [6] 오키나와 노래 중 가장 유명한 곡인 涙そうそう의 도입부. [7] 男弦의 가장 낮은 음. 손가락을 짚지 않는다. [8] 中弦의 가장 낮은 음. 손가락을 짚지 않는다. [9] 女弦의 가장 낮은 음. 손가락을 짚지 않는다. [10] 보통은 악기 수화물로 처리가 되지만, 국가에 따라서 상당히 민감하게 대응하는 경우가 있다. [11] 일본 항공사는 산신의 특성을 알고 있기 때문에 뽁뽁이를 이중삼중으로 감아 신경을 써 주지만, 타 국가의 항공사라면 그냥 악기라고 설명하는 게 편하다. [12] 이는 싼시엔(정확히는 남중국에서 만들어진 싼시엔)도 마찬가지다. 그나마 샨즈의 경우는 몽골과 북중국의 춥고 건조한 기후에 맞춰 가공가죽을 쓰는 경우가 절대다수라서 산신 및 싼시엔과 달리 한국의 기후에도 잘 버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