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3 04:48:30

대쟁


아시아의 현악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colbgcolor=#e2dcd6,#6c5244> 찰현악기
동아시아
대한민국 해금 · 저음 해금 · 아쟁(a)
북한 소해금 · 중해금 · 대해금 · 저해금
중화권 쓰후 · 얼후 · 징후 · 징얼후 · 반후 · 마구후 · 자오후 · 투후 · 후루후 · 예후 · 가오후 · 디후 · 다후 · 종후 · 싼후 · 거후 · 디인거후 · 이인 · 콩히안 · 티친
정니(a) · 주이후(a) · 레이친(a) · 파친(a) · 라루안(a)
몽골 마두금 · 이킬 · 호치르 · 대마두금
일본 코큐 · 앗소(a) · 테이소(a) · 카이사츠코
중앙아시아
시베리아
알타이·투바
이킬리 · 비잔치
킵차크
카자흐·키르기스
코비즈
카를루크
우즈벡·위구르
아제크 · 기작
동남아시아
베트남 단 니 · 단 호 · 당 가오 · 냐 짜인(a)
태국 소 두앙 · 소 삼 사이 · 소 우 · 소 로
캄보디아 트로 · 트로 크메르
말레이시아 움방
(a) 발현악기의 형태 + 찰현악기의 연주 방식
발현​악기 ··
다현금 고금 · · 거문고 · · 대쟁 · 가야금 · 고토 · 야특 · 단 짜인 · 미 갸웅 · 철현금 · 한아고 · 제티겐
일현금 이치겐킨 · 단 보우
월금
비파 비파 · 향비파 · 당비파 · 비와
2현 텁쇼르 · 돔브라 · 주워르거 · 도이라
3현 싼시엔 · 산신 · 샤미센 · 샨즈 · 담탐 · 코무즈 · 더슈플루르
공후
공후 수공후 · 대공후 · 와공후 · 소공후 · 옥류금
이외 알타이 야특 · 사산도
타현​악기 양금
}}}}}}}}}

파일:전통악기 대쟁.jpg

1. 개요

대쟁()은 한국 전통음악인 당악에 사용된 전통 현악기이다.

2. 상세

위 영상의 4:30초에 나오는 악기가 바로 대쟁이다.

은 그 역사가 삼국시대까지 올라가는데 탄쟁(彈箏), 추쟁(搊箏)이라는 이름의 악기가 사용되었으며 백제 가야의 가실왕 때도 이 있었다. 고려 예종 9년(1114)에 송나라에서 고려로 보낸 중국 속악기(俗樂器) 중에도 쟁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위에 열거한 쟁들의 줄 수효와 여부는 모두 알 수 없고, 『 고려사』악지(樂志)에 최초로 [대쟁이 15현의 당악기(唐樂器)로 소개되었다.
그 뒤 조선시대 『 세종실록』의 가례서례도(嘉禮序例圖)와 성종 때의 『 악학궤범』에 그 그림이 실려 있으나 숙종 기해(己亥, 1719)의 『 진연의궤』에는 전상악(殿上樂)에 아쟁은 있어도 대쟁은 없다.

현재는 악기만 남아 있으며 거의 쓰이지 않는다. 악기 모양은 (瑟)과 비슷하나 조금 작고, 가야금(法琴)보다는 약간 큰 편이다. 전면은 오동나무, 후면은 밤나무로 만든 긴 통에 명주실을 15줄 얹었는데, 제1현이 가장 굵고, 제15현쪽으로 가면서 점차로 가늘어진다. 미단(尾端)이 약간 구부러졌고 양쪽에 발(雲足)을 달았고 뒤판 네귀 모서리에는 오목(烏木)을 붙였으며, 가야금의 안족(雁足)과 비슷한 주(柱)로 줄을 괴었다.

요즘은 가야금 조율법에 준하여 쓰이기도 하나, 원래는 『 악학궤범』에서와 같이 가야금과는 다르게 조율한다. 음역은 두 옥타브로 가야금의 음역과 거의 같은데, 가야금보다 크기 때문에 낮은 음에서는 그윽하고도 중후하고, 높은 음에서는 밝고도 쟁쟁하다. 왼손의 줄 짚는 법과 오른손의 탄법(彈法)도 가야금의 경우와 대동소이한데, 가야금이나 거문고처럼 무릎 위에 비껴놓지 않고 바닥에 그대로 놓는 점이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