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clearfix]
1. 개요
이 문서는 한반도에서 나타나는 사회주의, 즉 Socialism in Korea에 대해 다룬다.1948년 이후에는 이북지역만 다루므로, 광복 이후 대한민국에서의 사회주의 역사에 대해서는 대한민국의 사회주의 문서 참조.
2. 역사
2.1. 1948년 이전
한국의 사회주의 역사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정확하게 알 순 없다. 일부 좌익 계열에서 정약용의 토지 정책이 사회주의적이였다고 말하기도 하지만 자유주의 쪽에서도 지공주의 같은 사례가 있기 때문에 다소 애매하다.사회주의가 처음 소개가 된 것은 한성순보(漢城旬報)에서 유럽의 사회당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남한 지식인들 사이에서 사회주의가 적극적으로 보급된 것은 1919년에 일어난 3.1운동이 실패함으로써 기존의 보수적인 민족주의 사상의 무기력함을 느끼면서부터이다. # 이후 남한의 사회주의 운동은 코민테른으로 대표되는 공산주의 계열과 의열단 등 아나키즘 계열로 나뉘었다.
한국의 사회주의 운동은 서구 국가들이나 당시 일본의 사회주의 운동과는 다소 다른 점이 있었는데,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라는 특수한 조건 속에서 성립한 식민지 자본주의 하에서 사회주의사상이 유입되었고 이것은 곧바로 민족해방과 계급해방을 동시에 추구하는 목적을 갖게 되었다.
일제 식민지였던 시절 사회주의 사상은 레닌의 민족자결주의의 영향을 받았고 공산주의 계열이 아나키즘 계열보다 좀 더 강세였다.
2.2. 1948년 이후 이북 지역
해방 이후 많은 이남의 사회주의자들이 서북청년단이나 우익 청년조직, 남의사 같은 극우 세력들의 테러 위협, 자유당 등 보수주의 세력들이 주도하는 남한 정부에 환멸을 느껴서 월북한 인사들도 꽤 있었다.광복 이후 이북 지역에서 공식적으로는 극좌 사회주의[1] 정당인 조선로동당이 일당독재를 하고 있다. 그래도 초반에는 나름 극좌 빅텐트로 갑산파, 연안파, 소련파, 남로당파 등 다양한 성향의 혁명적 사회주의자들이 존재했었으나 8월 종파사건으로 숙청당하고 만주파가 승리하며 김일성을 우상숭배하는 사실상의 봉건국가로 전락하지만, 이후로도 북한은 여전히 '공식적'으로 사회주의를 내세우고 있다.
3. 조직, 정당
3.1. 1948년 이전
3.1.1. 공산주의 계열
일제강점기 한국 공산주의 단체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대한제국 이전 | |||||
한인사회당 | 사회혁명당 | 전로한인공산당 | ||||
공산주의자그룹 | ||||||
상해파 | 이르쿠츠크파 | |||||
고려공산당 | ||||||
서울파 | 화요회 | 북성회 | 조선노동당 | 무산자동맹회 | ||
제1차 조선공산당 | ||||||
서울파 | ML파 |
제2차 조선공산당 정우회 |
||||
춘경원당 |
제3차 조선공산당 만주총국/일본총국 |
|||||
제4차 조선공산당 | ||||||
조선반제동맹 | 조선공산당재건설준비위원회 | |||||
조선공산당재조직중앙간부 | ||||||
조선공산당재건설동맹 | ||||||
조선공산당재건동맹 | ||||||
조선공산당조직준비위원회 | ||||||
경성 트로이카 | 권영태·김희성 그룹 | |||||
이관술·박진홍 그룹 | 원산 공산주의자 그룹 | |||||
경성 콤그룹 | ||||||
경성 콤그룹 | 공산주의자 협의회 | |||||
▼ 광복 이후 |
3.1.2. 아나키즘 계열
3.1.3. 그 외 사회주의 계열
3.2. 1948년 이후 이북 지역
4. 같이 보기
[1]
북한은
주체사상을 내세우며 공산주의에 대해서는 모호한 태도를 취한 바 있다. 헌법에서 공산주의를 삭제했던 적도 있고.. 반면에 공식적으로 사회주의 자체는 포기한 적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