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02afe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포천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fff> 직행좌석 | ||
좌석 | |||
일반 |
시내버스 맞춤형버스 공공버스(시군간) |
||
농협 | |||
1. 노선 정보
포천시 직행좌석버스 1386번 | |||||
|
|||||
기점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산정리(산정호수.상동주차장) | 종점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 ||
종점행 | 첫차 | 04:40 | 기점행 | 첫차 | 06:25 |
막차 | 21:40 | 막차 | 23:30 | ||
배차간격 | 25~50분 | ||||
운수사명 | 포천교통 | 인가대수 | 7대[1] | ||
노선 | 산정호수.상동주차장 - 산정리.우몰목 - 산정3교다리 - 운천5리 - 문암삼거리 - 영북중학교 - 야미리 - 성동5리 - 양문2리.공단입구 - 양문리터미널 - 금주3리, 만세교 - 윤중, 신포천아파트 - 골든아파트 - 포천시청 - 포천고등학교앞 - 어룡2통 - 자작2통 - 선단1통( 대진대학교) - 송우리터미널 - 송우6리시장 - 이동교4리, 대방아파트 -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 - 신평화로 - 의정부민락 - 서계로 -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
2. 개요
포천교통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29.3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과거에는 선진시내버스에서 운행했다. 당시에는 산정호수로 가는 138-6번[2]과 운천터미널에서 북쪽으로 조금 더 올라간 자일리에서 회차하는 138-7번(現 138-7번과는 무관한 노선)이 있었다. 하루 4번[3] 운행했으며, 자일1리삼거리에서 회차했다. 화면이 가리키고 있는 골목길 입구를 이용해 U턴한 다음 신호를 받아 좌회전해 왔던 길을 되돌아가는 방식이었다. 자일1리에서 북쪽을 바라보면 바로 철원군 경계표지판이 보일 정도로 포천시에서 가장 북쪽까지 가는 노선이었다.
- 이후 2009년 1월에 138-7번을 폐선시키면서 138-6번에 1대가 증차되었다. 관련 게시물 이 때 1일 16회 운행으로 증회. 그러나 138-7번 외에는 시외버스 밖에 없는 자일리 지역을 위해서 138-6번이 하루 세 번 자일1리까지 갔다가 오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일반적인 138-6번은 운천터미널에 들어갔다가 나온 후 산정호수 또는 의정부로 갔지만, 자일1리를 경유할 때는 운천터미널을 경유하지 않고 영북면사무소 앞 큰길로 쭉 올라가 자일리를 들른 다음 운천터미널에 들어갔다가 산정호수 또는 의정부로 갔다. 당시 시간표
- 양문공단 근로자들의 편의를 위해 2010년 11월 1일에 138-6번에서 1대를 빼와 138-9번(1일 4회 운행)을 만들었다. 당연히 138-6번을 타고 다니는 영북면 주민들이나 산정호수 관광객들의 불편이 커졌다. 참고로 경기도 시내버스 전산망에는 양문공단을 한 바퀴 순환한 다음 나오는 걸로 되어 있었으나, 실제로는 공단 안쪽으로 들어가지 않고 입구에서 바로 회차했다. 138-6번은 이 때 다시 1일 12회로 감회되었다. 당시 시간표
- 2011년 4월 14일에 138-9번을 양문공단에서 운천으로 연장, 2011년 8월 1일에 산정호수로 연장시켰다. 이에 따라 138-6번과 -9번은 합쳐서 대략 1시간~1시간 40분에 한 대씩 다니게 되었다. 당시 시간표 연선 인구밀도가 지나치게 희박하다고 쳐도 이 정도면 나름 선방하는 배차간격이지만 20~40분 배차인 도평리 방면(일동, 이동 경유) 노선들에 비하면 훨씬 좋지 못했던 편.
- 자일리는 아마 5번이 자일1리를 경유하게 되면서 사라진 듯하다.
- 2014년 2월 26일에 138-5번과 더불어 경복대학교 포천캠퍼스를 경유하지 않게 되었으며, 동시에 138-9번이 폐선되었다. 이에 따라 138-9번 차량이 138-6번으로 들어갔으며, 운행횟수가 1일 16회[4]에서 1일 20회로 늘어났다. 배차간격 또한 최대 120분에서 최대 80분으로 줄어들었다. 당시 시간표 대신 138-6번이 양문산업단지를 들어가게 되었다.
- 과거 선진고속관광 출신 차량들이 138-1번에서 다니다가 노선이 폐지되면서 138번에서 투입되었는데, 이 노선을 인수하고 얼마 안 가서 차돌리기를 통해 여기로 왔다. 아무래도 이 노선이 장거리 승객 위주의 노선인지라 단거리 위주의 138번보다는 여기가 적합하다고 판단한 듯하다. 다만 중간에 이 차량들은 중간에 김포출신 차량으로 대차되었고, 해당 차들은 선진시내로 이동하여 138-5번에 투입되었다.
- 2015년 9월 1일에 3대가 증차되어 총 7대로 1일 28회 운행하게 되었다. 배차간격도 도평리 방면과 얼추 비슷해진 30~40분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다만 막차가 산정호수의 경우 40분, 의정부역의 경우 50분 빨라졌다. 당시 시간표
- 2015년 11월 23일에 2대가 감차되어 총 5대로 1일 20회 운행하게 되었다. 배차간격은 출퇴근시간대에는 30~50분이지만 평시에는 50~70분으로 변경되었다. 그 대신 막차시간이 다시 산정호수 기준 22시 10분, 의정부역 기준 23시 50분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 버스 기사 휴식 시간 보장을 위해 2018년 1월 1일에 양문공단 미경유로 바뀌었다. 동시에 적자 해소를 위해 산정호수 막차가 22시 10분에서 21시 40분으로, 의정부역 막차가 23시 50분에서 23시 20분으로 단축되었다. 관련 게시물
- 주 52시간 근무제 실행과 인력 수급 문제에 따라 2019년 1월 1일에 5대에서 4대로 감차되었고, 1일 20회에서 16회 운행으로 감회되었다. 사실상 2014년 이전으로 회귀하는 셈이며, 일부 시간대는 90분까지 배차간격이 벌어지면서 연선 주민들과 산정호수 관광객들이 불편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일부 시간대에 한하여 양문공단 경유가 부활하였다. 관련 게시물
- 2019년 7월 11일에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되었고, 노선 번호도 1386번으로 바뀌었다. 관련 게시물 이와 함께 일부 정류장을 무정차 직통 운행하며, 운천리 구간도 일부 변경되어 영북중학교 U턴을 하지 않는 대신 운천4교차로로 운행한다.
- 2020년 6월 1일부터 도봉산역으로 종점이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이와 동시에 ‘의정부성모병원-의정부역’ 구간을 경유하지 않고, 자금IC를 통해 신평화로를 거쳐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에 회차한다.
- 2020년 8월 이후 3006번과 함께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었다.
- 2021년 9월 16일부터 3대가 증차되어 1일 28회로 운행하게 된다.
- 2022년 4월 18일부터 의정부민락(BRT) 정류장에 추가정차한다. 이 과정에서 전산상 회차지가 도봉산역환승센터 대신 의정부민락으로 표기되는 오류가 생겼다.
- 2022년 12월 1일부로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로 이관되었다. 관련 게시물
4. 특징
- 2013년에 폐선된 같은 지역 3800번에 이어 두 번째로 삼팔선을 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이다. 2023년 기준 현존하는 직행좌석버스들 가운데에는 최초이다. 다른 삼팔선을 넘는 노선으로는 연천 버스 G2001이 있으며, 현재까지 삼팔선을 넘는 노선은 이 둘뿐이다.
- 138-8번이 폐선되면서 한때[5] 일반좌석버스 최장거리 노선이었다.
- 138-6번 시절에는 하루 2번(산정호수 17:50 19:00 / 의정부 06:25 07:20) 양문공단으로 들어갔다.
- 연선에 일반 시내버스가 다니기는 하지만, 죄다 배차간격이 길다 보니 단거리 수요도 제법 있는 편이다.
- 영북면소재지 구간에서 양 방향 차량이 같은 정류장에 정차하여 주의가 필요했다.
===# 의정부에서 회차하던 시절 #===
- 1회, 2회차 차량(의정부역 06:25, 07:20)은 산정호수 방향에 한해 양문공단을 경유한다. 다만 GBIS에는 등록이 안 된 상태.
- 영북면소재지 구간에서는 주의가 필요하다. 138-6번 시절 양 방향 차량이 같은 정류장에 정차했던 것을 직행좌석으로 형간전환하면서 해소했으나, 운천터미널 승차 구간 방향이 다른 시외버스와 다르므로 이용시 주의해야 한다.
- 직행좌석버스로 전환하고 몇 달 지나지 않아 경기도 시내버스 요금 인상이 결정되면서 졸지에 2,050원 → 2,400원 → 2,800원으로 36%나 요금이 인상되어 버렸다. 기존의 138-6번 버스를 애용하던 시민들은 750원씩이나 올라간 요금을 보고 놀래서 기사들과 실랑이를 벌이는 모습도 꽤 보인다.
- SBS 드라마 낭만닥터 김사부2 8화(2020.01.28.)에서 닥터헬기와 구급차가 이식할 장기를 싣고 소속병원으로 돌아가는 장면에서 1386번 버스가 화면에 잡힌다. 이는 극 중 돌담병원이라는 곳의 실제 촬영지가 포천시 영북면 산정호수 근처이기 때문이다. 극 중 배경은 강원도 정선군이므로 재현 오류라고 볼 수 있다. 01:04:05초에 빨간색 버스가 있다. 그게 1386번인지는 알 수 없다.
4.1. 현재
- 주 수요는 역시 산정호수 관광객. 배차간격이 엄청나게 길지만 시즌에는 산정호수 관광객들로 매우 붐비는 노선이다. 게다가 산정호수에 명성산 등산로도 있기 때문에 등산객 수요도 많은 편. 주말에는 상동주차장부터 입석 승객이 생길 정도이며, 운천터미널에서 시외버스로 환승하는 승객들이 조금 내리긴 하지만 별 차이는 없다. 산정호수 대중교통수단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기 때문이다.
- 직행좌석버스로 형간전환할 때부터 도봉산역 연장과 관련해 서울시와 지속적으로 협의를 이어왔으며, 협의에 따라 2020년 6월부터 도봉산역 환승센터에 정차하기 시작한다. 관련 서울특별시 공문
-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에서 운천터미널까지는 시외버스 3003, 3005와 경쟁한 적이 있다. 본 노선은 가격 면에서 메리트가 있으며, 경쟁노선은 정차 정류소가 월등히 적은 덕에 소요시간 면에서 메리트가 있다.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본 노선에 탑승할 것을, 빠르게 이동하고 싶다면 경쟁 노선을 탑승할 것을 권한다. 단, 세 노선 모두 골라서 탑승할 수 있을만큼 배차간격이 좋은 편은 아니다. 하지만 3003번과 3005번이 2020년 12월 21일부터 운휴에 들어가게 되면서 해당 수요는 사실상 독점하게 되었다.
- 제1기갑여단 장병들이 휴가를 나갈 때 유용하게 쓰이는 노선이기도 하다. 배차간격도 30~40분대인데다 바로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로 직행하기에 목적지까지 비교적 빠르게 도착할 수 있다. 그 동서울터미널을 거칠 필요도 없다.[6]
- 도봉산 탑승도 만만치 않지만, 도봉산 등산을 갔다가 산정호수로 산책을 가는 등산객도 제법 많은 편이다.
- 특히 주말에는 산정호수 수요가 많아 기점부터 종점까지 계속 혼잡하다. 도봉산역에서 출발하는 방향 기준 송우리를 지나면 오히려 좌석수가 더 줄어들 정도. 애초에 포천시내 이남 구간수요는 72번, 138번 등 더 저렴한 노선들이 주로 담당한다.
- 이 노선과 72번의 관계가 G2001번과 39번 그리고 G9311번과 2000-2번의 관계와 비슷하다. 결정적인 차이점은 나머지 두 지역은 직행좌석쪽이 완행버스보다 압도적으로 배차가 많은 것과 달리 포천시는 오히려 직행좌석이 약간 적다는 것. 철도교통수단이 없는 곳이라서 나타난 특성일 수도 있다.
- 영북면사무소에서 철원으로 향하는 12, 22(-1), 32번과 연계된다.[7] 이를 이용하여 철원에서 서울로 향하는 시외버스 막차가 끊기는 19:30 이후의 서울행 대체루트로 사용이 가능하다.[8][9]
- 영중면이나 영북면에서 서울로 갈 때는 동서울행 시외버스(3000번, 3001-1번. 단 3002번은 의정부를 경유하니 타면 안 된다)를 타도 되지만 이 버스를 타고 포천시청에서 1403번(고속터미널), 농업기술센타에서 3006번(잠실역)으로 갈아타는 게 가성비가 좋다. 물론 시외버스는 포천IC부터, 직행좌석버스는 소흘IC부터 고속도로를 타므로 속도차이는 나지만 가격 면에서 비교가 안 된다. 의정부로 가는 3001번도 운행구간 더 길고 정류장 개수가 더 적고 요금이 아주 비싼 138번에 불과하니 송우리나 축석검문소에서 갈아타자. 애초에 3001번은 자일3리 이북에서만 진가가 나오는 노선이다. 물론 배차가 잘 맞고 조금이라도 빨리 가야 된다면 타도 된다.
4.2. 시간표
1386번 운행시간표 | |||||
{{{#!folding [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 횟수 | 산정호수 출발 |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출발 | ||
1회 | 04:40 | 06:25 | |||
2회 | 05:20 | 07:05 | |||
3회 | 06:00 | 07:45 | |||
4회 | 06:35 | 08:25 | |||
5회 | 07:10 | 09:00 | |||
6회 | 07:45 | 09:35 | |||
7회 | 08:20 | 10:10 | |||
8회 | 08:55 | 10:45 | |||
9회 | 09:30 | 11:20 | |||
10회 | 10:10 | 12:00 | |||
11회 | 10:50 | 12:40 | |||
12회 | 11:30 | 13:20 | |||
13회 | 12:10 | 14:00 | |||
14회 | 12:50 | 14:40 | |||
15회 | 13:30 | 15:20 | |||
16회 | 14:10 | 16:00 | |||
17회 | 14:50 | 16:40 | |||
18회 | 15:30 | 17:20 | |||
19회 | 16:10 | 18:00 | |||
20회 | 16:40 | 18:35 | |||
21회 | 17:20 | 19:10 | |||
22회 | 17:55 | 19:45 | |||
23회 | 18:30 | 20:20 | |||
24회 | 19:05 | 20:55 | |||
25회 | 19:40 | 21:30 | |||
26회 | 20:20 | 22:10 | |||
27회 | 21:00 | 22:50 | |||
28회 | 21:40 | 23:30 |
5. 일평균 승차인원
포천시 직행좌석버스 1386번 | ||
<rowcolor=#ffffff> 연도[10] | 일평균 승차인원 | 전년대비 변동폭 |
2021년 | 3,551명 | - |
2022년 | 5,264명 | △ 1,713 |
2023년 | 6,873명 | △ 1,609 |
2024년 | - | - |
2025년 | - | - |
2026년 | - | - |
※ 하차 인원 미포함 |
6.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도봉산역
- 수도권 전철 7호선: 도봉산역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53864> |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준공영제 대상 노선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광역급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직행 좌석 |
<colbgcolor=#ee2737><colcolor=#fff>가평 | · · · · · | |
고양 | · | ||
광명 | · · · | ||
광주 | · · · · · | ||
구리 | · | ||
군포 | |||
김포 | · · · · · · · · · | ||
남양주 | · · · · · · · · · · · · | ||
성남 | · · · · · · · · · · · · | ||
수원 | · · · · | ||
시흥 | · | ||
안성 | · · | ||
양주 | · · · · | ||
양평 | · | ||
연천 | |||
오산 | · · | ||
용인 | · · · · · · · · · · · · · · · · · · | ||
의정부 | · · · | ||
의왕 | |||
이천 | · | ||
파주 | · · | ||
평택 |
· · |
||
포천 | · · · | ||
하남 | · · · · | ||
화성 | · · · · · · · · · · |
도봉산광역환승센터 경유 노선 |
[1]
예비차 1대
[2]
당시 3대로 1일 12회 운행하였다.
[3]
자일리 기준 06:55, 12:00, 17:00, 21:50. 의정부 기준 08:40, 13:40, 19:00, 23:40(2008년 기준)
[4]
당시 138-6번과 -9번을 합친 횟수.
[5]
말이 한때지, 굉장히 오랜기간 운영한 버스인 만큼 최장기간 동안 차지한 장거리 노선버스였다.
[6]
도봉산역까지 가면 지방으로 가는 열차가 다니는 주요 철도역인 서울역, 용산역, 청량리역 등을 환승없이 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지하철과 환승할인이 되기에 요금이 상당히 싸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로 갈 때도 포천시청에서 1403번으로 갈아타면 아주 편리하다.
[7]
주의할 점은 아침과 오후 3시경을 제외하면 전부 5시 이후의 저녁시간대에 연계가 가능하다.
[8]
단, 12번 막차(22:00)는 서울방면으로 연계가 불가능하다. 실질적으로 이평리발 20:50 22번과 와수리발 21:10 32번이 막차 역할을 맡게 되며, 역방향은 도봉산발 20:55 차량과 연계되는
7600번이 막차(22:50)가 된다.
[9]
동송 버전으로는
13번 -
G2001번 루트가 있다.
[10]
2019년 이전은 개편 전 500번과 510번 노선의 자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