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23:03:51

포뮬러 1/2019시즌/13R~17R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포뮬러 1/2019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포뮬러 1/2019시즌/7R~12R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포뮬러 1/2019시즌/18R~21R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1. 개요2. 파일:벨기에 국기.svg 13R: 포뮬러 1 조니 워커 벨기에 그랑프리 2019 (벨기에 GP)
2.1. 퀄리파잉2.2. 레이스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4R: 포뮬러 1 하이네켄 그란 프레미오 디 이탈리아 2019 (이탈리아 GP)
3.1. 퀄리파잉3.2. 레이스
4.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15R: 포뮬러 1 싱가포르항공 싱가포르 그랑프리 2019 (싱가포르 GP)
4.1. 퀄리파잉4.2. 레이스
5. 파일:러시아 국기.svg 16R : 포뮬러 1 VTB 러시아 그랑프리 2019 (러시아 GP)
5.1. 퀄리파잉5.2. 레이스
6. 파일:일본 국기.svg 17R : 포뮬러 1 일본 그랑프리 2019 (일본 GP)
6.1. 퀄리파잉6.2. 레이스

1. 개요

포뮬러 1의 2019 시즌 중 13R부터 17R까지를 정리한 문서.

2. 파일:벨기에 국기.svg 13R: 포뮬러 1 조니 워커 벨기에 그랑프리 2019 (벨기에 GP)

후반기 시작 직전, 드라이버 라인업에 변동이 생겼다. 전반기 레드불에서 부진을 면치 못하던 피에르 가슬리가 반 시즌만에 토로 로쏘로 강등당하고 만 것이다. 그의 빈 자리는 토로 로쏘에서 데뷔한 신예 알렉산더 알본이 대체하게 되었다.

한편 퀄리파잉 종료 후, 레이스 전날 F2 레이스 도중 아르덴 소속의 앙투안 유베르트가 큰 사고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F1의 관계자를 비롯해 수많은 팬들이 이 사고에 큰 충격을 먹었고, 해당 여파로 F2 레이스들은 취소, F1 드라이버들은 앙투안을 추모하는 행사를 가졌다.

앙투안뿐만 아니라, 미국 출신의 후안 마누엘 코레아도 이 사고로 의식을 잃을 정도로 중상을 입었다. 하반신에 큰 부상을 입어 급히 병원에 후송되었으며, 그는 약 3주가 지나서야 의식을 회복하였다.[1]

2.1. 퀄리파잉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1:42.519 1번째
P2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 페라리)
+ 0.748s 2번째
P3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 0.763s 3번째
<colcolor=#fff> P4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 메르세데스)
+ 0.896s 4번째
P5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1.171s 5번째
P6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 르노)
+ 1.738s 10번째[2]
P7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 르노)
+ 2.023s 12번째[3]
P8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2.038s 6번째
P9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2.187s 7번째
P10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 하스 - 페라리)
+ 2.567s 8번째
2019 벨기에 GP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후반기 첫 레이스에서 폴 포지션을 차지한 주인공은 샤를 르클레르였다. 지난 바레인 GP 이후 오랜만에 차지한 폴 시터의 자리이며, 연습 세션부터 직선에서 압도적인 속도를 자랑하고 있는 페라리이기에 이번 경기에서 우승의 가능성은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전까지 보여준 어수선한 전략과 분위기를 이번 레이스에서마저 이어간다면 이번 시즌의 후반기 자체마저 일그러질 가능성이 높기에 집중해야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페텔도 2위를 기록하며 페라리의 두 드라이버가 모두 프런트 로우를 독점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메르세데스 듀오가 그 뒤를 이으며 반격을 준비한다.

레드불은 막스가 5위를 차지한 가운데, 그의 새로운 팀메이트가 된 신예 알렉산더 알본은 레이스 위크에 정해진 대로 레이스카 부품들을 대거 교체하였기에 사실상 최후미에서 스타트하는 것이 예정되었다. 그렇기에 퀄리파잉은 본격적으로 달리지 않고 예열하는 듯이 달렸으며, 익일 레이스는 최후미에서 스타트할 예정이다. 얼마나 많이 순위를 올려나갈지가 관전 포인트. 르노 듀오가 막스의 뒤를 차지하며 톱3 팀을 제외하곤 가장 좋은 기록들을 보였다. 킹 오브 스파라 불리는 키미도 8위로 강세를 이어갔다.

토로 로쏘로 강등된 이후 첫 경기를 치루는 피에르 가슬리는 16위로 Q1에서 탈락하며 쉽지 않은 퀄리파잉을 마쳤다. 다행히 앞선 드라이버들이 대거 페널티를 받으며 13위에서 시작하지만, 과연 포인트권으로 진입할 수 있을지도 지켜봐야 한다. 맥라렌의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도 17위로 부진하였으며, 혼돈의 퀄리파잉이 그렇게 마무리되었다.

2.2. 레이스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1:23:45.710 25
2위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 0.981s 18
3위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 메르세데스)
+ 12.585s 15
<colbgcolor=#000><colcolor=#fff> 4위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 페라리) 파일:패스티스트랩.png
+ 26.422s 12+1[F]
5위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1:21.325 10
6위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24.448 8
7위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29.657 6
8위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 르노)
+ 1:46.639 4
9위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49.168 2
10위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49.838 1
패스티스트 랩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 페라리)
1:46.409 (Lap 36)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 맥라렌 - 르노)
21.2%
2019 벨기에 GP 하이라이트

이 날 경기 바로 직전에 열린 F2 벨기에 레이스에서 앙투안 유베르트가 사고로 사망하는 일이 발생했기에 유베르트를 추모하는 행사를 먼저 하고 경기가 진행되었다.

여름방학 이후 열린 첫 번째 경기인 벨기에 그랑프리에서 르클레르가 폴 포지션을 페텔이 P2를 가져갔다. 이후 레이스에서 르클레르가 드디어 커리어 첫 우승 겸 페라리의 시즌 첫 우승을 일궈냈다.
레이스에서는 초반 7번 코너에서 코스를 이탈한 것만 빼면 이렇다 할 실수는 없었다. 레이스 전반적으로 무난한 크루징과 타이어 관리 능력을 보여줬지만 메르세데스의 피트스탑 실수와 레이스 전반 페텔의 순위 방어가 없었다면 10랩을 남기고 무섭게 추격해오던 해밀턴을 떨쳐냈을지는 과연 미지수.[5] 또한 첫 우승임에도 불구하고 르클레르는 숨진 유베르트를 추모하기 위해 포디움 셀레브레이션을 생략했다. 또한 3일 내내 드라이버들, 해설위원들 모두 비교적 차분한 분위기에서 경기를 치렀고, 함께 포디움에 오른 2등 해밀턴과 3등 보타스 역시 샴페인으로 과도한 축하같은건 없이 포디움에서 내려왔다.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268
2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203
3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181
4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169
5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157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독일|]][[틀:국기|]][[틀:국기|]] 메르세데스
471
2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페라리
326
3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레드불 레이싱 - 혼다
254
4
[[영국|]][[틀:국기|]][[틀:국기|]] 맥라렌 - 르노
82
5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51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4R: 포뮬러 1 하이네켄 그란 프레미오 디 이탈리아 2019 (이탈리아 GP)

3.1. 퀄리파잉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1:19.307 1번째
P2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 0.039s 2번째
P3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 메르세데스)
+ 0.047s 3번째
<colcolor=#fff> P4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 페라리)
+ 0.150s 4번째
P5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 르노)
+ 0.536s 5번째
P6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 르노)
+ 0.742s 6번째
P7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 맥라렌 - 르노)
+ 1.148s 7번째
P8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No time 8번째
P9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No time 9번째
P10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No time PL[6]
2019 이탈리아 GP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서킷 특성상 슬립 스트림이 타 서킷보다 더 중요시되다 보니, Q3에선 남의 차의 뒤로 달릴려고 계속해서 눈치보다 NO TIME만 10명중 3명이 나오는 진풍경이 나왔다. 이런 대혼돈의 상황 속에서 폴 포지션은 팀의 홈 그랑프리를 맞이한 샤를 르클레르가 다시 한 번 차지하였으며, 메르세데스 듀오를 0.1초 내로 누르고 올라선 것이었다. 팀메이트인 페텔은 4위로 나쁘지 않은 위치에 서게 되었다. 반면, 레드불 팀은 알렉산더 알본이 랩을 시작하지도 못하며 8위에 그쳤고, 막스 베르스타펜은 파워 유닛 교체로 인해 퀄리파잉 시작도 못하며 19위에서 시작하게 되었다. 직선 주로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 레드불이기에 레이스에선 더욱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르노 듀오는 5,6위에 오르며 좋은 퀄리파잉을 선보였다.

3.2. 레이스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1:15:26.665 25
2위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 메르세데스)
+ 0.835s 18
3위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파일:패스티스트랩.png
+ 35.199s 15+1[F]
<colbgcolor=#000><colcolor=#fff> 4위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 르노)
+ 45.515s 12
5위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 르노)
+ 58.165s 10
6위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59.315s 8
7위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13.802 6
8위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1:14.492 4
9위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 Lap 2
10위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 맥라렌 - 르노)
+ 1 Lap 1
패스티스트 랩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1:21.779 (Lap 51)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34.9%
2019 이탈리아 GP 하이라이트

샤를 르클레르가 이탈리아 GP 우승을 차지하며 9년 만에 이곳 몬차 서킷에서 페라리 소속으로 우승을 차지한 드라이버가 되었다. 좋은 스타트와 함께 일찍이 리드를 가져갔으나, 초중반부터 뒤따르는 해밀턴이 반격해오기 시작했고, 타이어의 차이와 코너링 스피드 열세로 순위 방어는 점점 어려워져갔다. 그러나 르클레르가 철통같은 방어를 후반부까지 선보여나갔고, 오히려 해밀턴은 실수를 범하며 뒤따르던 보타스에게 자리를 내주며 그대로 마무리되었다. 제바스티안 페텔이 아스카리 시케인에서 스핀하며 르클레르와 페라리에겐 더욱 어려운 레이스가 되었지만, 그 마무리는 다행히도 서킷의 곳곳을 붉게 만든 결말이었다.

르노 듀오도 모처럼 포디움에 가장 가까운 포지션들을 차지하며 훌륭한 레이스를 펼쳤고, 그 덕분에 컨스트럭터 5위 자리에까지 오를 수 있었다. 레드불의 막스는 대단한 추월쇼를 선보이며 8위까지 올랐고, 홈 그랑프리를 맞이했던 안토니오 지오비나치도 모처럼 조국에서 포인트를 가져올 수 있었다.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284
2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221
3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185
4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182
5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169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독일|]][[틀:국기|]][[틀:국기|]] 메르세데스
505
2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페라리
351
3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레드불 레이싱 - 혼다
266
4
[[영국|]][[틀:국기|]][[틀:국기|]] 맥라렌 - 르노
83
5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르노
65

4.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15R: 포뮬러 1 싱가포르항공 싱가포르 그랑프리 2019 (싱가포르 GP)

4.1. 퀄리파잉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1:36.217 1번째
P2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 0.191s 2번째
P3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 페라리)
+ 0.220s 3번째
<colcolor=#fff> P4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596s 4번째
P5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 메르세데스)
+ 0.929s 5번째
P6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1.194s 6번째
P7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 맥라렌 - 르노)
+ 1.601s 7번째
P8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 르노)
+ 2.047s 8번째
P9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 맥라렌 - 르노)
+ 2.112s 9번째
P10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No time 15번째[8]
2019 싱가포르 GP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페라리의 샤를 르클레르가 3연속으로 폴 포지션을 차지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특히 큰 다운포스를 요구하는 이곳 마리나 베이에서 연습 세션 전까지는 메르세데스나 레드불의 강세가 예상되었기에 더욱 놀라운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르클레르는 몇 번의 실수가 있었음에도 2그리드를 차지한 해밀턴을 0.19초 차로 누르고 폴을 따내는 대단한 퍼포먼스를 보여주었다. 팀메이트인 페텔도 해밀턴에게 근소하게 뒤진 3위를 차지하며 티포시들을 기대케 하였다. 메르세데스 듀오는 해밀턴이 아쉽게 2위를 기록하며 폴 포지션을 놓쳤고, 보타스는 5위를 기록하며 무난하면서도 아쉬운 퀄리파잉을 맞이했다. 특히 다운포스를 요구하는 서킷 특성상, 우승을 노리고 왔었지만 페라리 듀오의 힘은 꽤나 만만치 않았다. 레드불은 막스가 4위, 알본이 6위를 차지하며 무난한 퀄리파잉을 맞이하였다.

중위권에선 맥라렌의 사인츠가 7위를 기록하며 빅3를 제외하곤 가장 좋은 기록을 맞이하였다. 다니엘 리카도가 얼마 차이나지 않는 기록으로 8위를 기록했으나, Q1에서 MGU-K의 한계 파워를 넘은 것이 발견되어 실격 처리되고 말았다.[9] 맥라렌 듀오가 어찌됐건 7-9위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이어갔고, 르노는 니코만이 8위로 톱10 위치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4.2. 레이스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 페라리)
1:58:33.667 25
2위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 2.641s 18
3위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3.821s 15
<colbgcolor=#000><colcolor=#fff> 4위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 4.608s 12
5위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 메르세데스)
+ 6.119s 10
6위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11.663s 8
7위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 맥라렌 - 르노)
+ 14.769s 6
8위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5.547s 4
9위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 르노)
+ 16.718s 2
10위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27.855s[10] 1
패스티스트 랩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 하스 - 페라리)
1:42.301 (Lap 58)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 페라리)
21.2%
2019 싱가포르 GP 하이라이트

페텔이 작년 벨기에 GP에서의 우승 이후 약 1년만에 우승을 차지하였다. 사실 레이스 전반적으로는 폴 시터였던 르클레르가 우세한 기록과 함께 크루징하며 우승을 차지하는 듯 싶었으나, 페라리가 페텔을 르클레르보다 1랩 먼저 피트로 불러들인 것이 우승의 향방을 바꿔버리게 되었다. 싱싱한 타이어로 페텔이 격차를 매우 빠르게 좁혀나가기 시작했고, 여기서 해밀턴은 물론 르클레르까지 제쳐버리며 선두로 올라섰다. 이 와중에 한 이탈리아인이 데뷔 처음으로 레이스 리드를 하긴 했다. 이후 조지 러셀 로맹 그로장의 충돌로 인해 세이프티카가 발동되는 변수가 있었지만, 페텔이 리드를 잘 지키며 이번 시즌 첫 우승을 해내었다. 한편 2위로 떨어진 르클레르는 팀라디오로 불만을 토로하였으나, 모처럼 페라리가 원투 피니쉬를 향해 가고 있던 만큼, 별다른 액션을 취하지 않고 페텔의 우승을 축하해주었고, 원투 피니쉬를 만끽할 수 있었다.[11]

4위에서 출발한 막스는 좋은 레이스 페이스로 메르세데스의 해밀턴을 제치며 포디움에 들어서게 되었다. 팀메이트인 알본은 조금 떨어지는 롱런 페이스를 보이긴 했으나, 안전하게 6위권을 사수하며 좋은 기량을 이어가고 있다. 메르세데스에겐 실망스러운 주말이었는데, 레이스에서 페텔의 어마어마한 레이스와 열심히 추격해온 막스에 의해 해밀턴은 포디움에 오르는 데에도 실패하였다. 보타스는 이번에도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며 5위에 그친 것이 메르세데스에겐 아쉬운 주말로 이어졌다.

맥라렌에게도 아쉬운 주말이었다. 노리스가 7위에 오르며 좋은 주말을 이루긴 하였으나,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가 스타트 이후 르노의 니코 휠켄베르크와의 컨택으로 인해 펑쳐가 나며 경쟁에서 멀어지고 말았다. 열심히 순위를 회복해 나갔으나 아쉽게 12위로 완주하게 되었다. 강등된 피에르 가슬리는 이번 경기에서 좋은 레이스를 선보이며 8위로 완주해 분위기 전환에 성공하였고, 한때 데뷔 첫 레이스 리드를 기록한 지오비나치는 10위로 완주하며 2연속 포인트 피니쉬에 성공하였다.

이외에 레이스 후반에는 다닐 크비얏이 잘 달리던 키미 라이코넨을 무리하게 추월하려다 들이받으며 어뢰 본인은 살고, 키미만 리타이어시키는 진기명기를 선보이는 해프닝도 연출되었다.

한편, 이 레이스에서 케빈 마그누센이 무려 패스티스트 랩을 가져갔다. 하지만 10위 안에 들지 못했기 때문에 10위에 들었던 작년과는 달리 1점은 놓쳤다.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296
2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231
3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200
4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200
5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194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독일|]][[틀:국기|]][[틀:국기|]] 메르세데스
527
2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페라리
394
3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레드불 레이싱 - 혼다
289
4
[[영국|]][[틀:국기|]][[틀:국기|]] 맥라렌 - 르노
89
5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르노
67

5. 파일:러시아 국기.svg 16R : 포뮬러 1 VTB 러시아 그랑프리 2019 (러시아 GP)

5.1. 퀄리파잉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1:31.628 1번째
P2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 0.402s 2번째
P3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 페라리)
+ 0.425s 3번째
<colcolor=#fff> P4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682s 9번째[12]
P5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 메르세데스)
+ 1.004s 4번째
P6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 맥라렌 - 르노)
+ 1.594s 5번째
P7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 르노)
+ 1.661s 6번째
P8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 맥라렌 - 르노)
+ 1.673s 7번째
P9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 하스 - 페라리)
+ 1.889s 8번째
P10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 르노)
+ 2.033s 10번째
2019 러시아 GP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페라리의 샤를 르클레르가 엄청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올 시즌 5번째 폴 포지션이자 4연속 폴 포지션을 기록한 것이다. 퀄리파잉 세션 내내 최상위권을 마크하며 폴 포지션을 노렸고, Q3에서도 엄청난 기록으로 압도적인 폴 포지션 차지에 성공하였다. 도합 9챔을 기록하고 있는 두 베테랑 드라이버를 누르고 연이어 훌륭한 숏런을 선보이며 스타성을 자랑하게 되었다. 막스는 무난한 기록으로 4위를 기록하였으나 파워 유닛 부품 교체로 9위에서 시작하게 되었고, 팀메이트인 알렉산더 알본은 스핀하여 벽에 충돌하며 제대로 된 기록을 찍지 못한 채 Q1에서 탈락하는 이변을 연출하였다. 이때 차량의 손상이 다소 심각하였기에 익일 레이스는 피트레인에서 출발하게 된다.

중위권에선 맥라렌 듀오가 가장 좋은 모습을 보였고, 르노가 그 뒤를 이어 좋은 그리드를 확보해 나갔다. 하스의 로맹 그로장도 모처럼 좋은 기록으로 톱10 위치에서 출발하게 된다.

5.2. 레이스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파일:패스티스트랩.png
1:33:38.992 25+1[F]
2위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 메르세데스)
+ 3.829s 18
3위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 5.212s 15
<colbgcolor=#000><colcolor=#fff> 4위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14.210s 12
5위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38.348s 10
6위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 맥라렌 - 르노)
+ 45.889s 8
7위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48.728s 6
8위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 맥라렌 - 르노)
+ 57.749s 4
9위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 하스 - 페라리)
+ 58.779s[14] 2
10위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 르노)
+ 59.841s 1
패스티스트 랩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1:35.761 (Lap 51)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 페라리)
22%
2019 러시아 GP 하이라이트

레이스 스타트 직후 3위에서 출발한 페텔이 엄청난 스타트와 함께 해밀턴을 제쳤고, 슬립스트림으로 선두인 르클레르도 추월하며 레이스 리드를 차지하였다. 이 덕분에 페라리는 레이스 초반부터 1-2위를 가져가는 좋은 시나리오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꽃길은 오래가지 못했는데, 2위로 쳐진 르클레르가 페텔에게 순위를 양보해달라는 팀오더를 요청하자 팀오더를 요청받은 페텔은 "내 뒤로 빨리 붙으라."고 응수하며 거절한다. 이러한 혼란스러운 상황에 페라리 피트월은 어떠한 조치도 하지 못한 채 이어지다가 르클레르에게 가장 먼저 피트스톱을 지시한다. 페텔은 27랩 째에 피트스톱을 가졌기에 격차를 상쇄한 르클레르가 페텔을 앞서게 되었다. 그러나 바로 다음 랩에 페텔의 파워 유닛이 사망하며 허무하게 리타이어를 맞이하고 말았고, Bring Back Fxxking V12 이 과정에서 발동된 세이프티카로 인해 아직 피트인을 하지 않았던 메르세데스 듀오가 1-2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후 순위 변동은 더 이상 없었고 메르세데스가 원투 피니쉬를 달성하며 페라리에겐 재앙같은 결과로 이어지게 되었다. 반대로 메르세데스에겐 어부지리와도 같은 최상의 결과를 얻었다. 페라리와 기록 자체는 비등비등했고, 직선 주로에서 속력이 부족했기에 페라리와 격차가 오히려 벌어지는 레이스 초반이었으나, 페라리 팀이 내부 갈등으로 우왕좌왕하던 사이에 페텔의 리타이어라는 행운까지 겹치며 원투 피니쉬를 맞이한 것이었다.

레드불은 할 수 있는 선 안에선 최상의 결과를 맞이했다. 막스가 완벽한 레이스 페이스를 선보이며 9위에서 4위까지 올라섰고, 더군다나 이제 레드불 소속 4번째 경기를 맞이한 알본이 꼴지에서 시작해 5위까지 점프하는 엄청난 추월쇼를 선보이며 크리스티안 호너 감독을 미소짓게 만들었다. 중상위권에선 맥라렌 듀오가 별 이상 없이 훌륭한 레이스로 6,8위를 기록하였고, 페레즈가 모처럼 7위로 완주하며 레이싱 포인트에 귀중한 6점을 선물하였다. 케빈 마그누센도 9위를 하며 모처럼 포인트 획득에 성공할 수 있었다.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322
2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249
3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215
4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212
5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194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독일|]][[틀:국기|]][[틀:국기|]] 메르세데스
571
2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페라리
409
3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레드불 레이싱 - 혼다
311
4
[[영국|]][[틀:국기|]][[틀:국기|]] 맥라렌 - 르노
101
5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르노
68

6. 파일:일본 국기.svg 17R : 포뮬러 1 일본 그랑프리 2019 (일본 GP)

6.1. 퀄리파잉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 페라리)
1:27.064 1번째
P2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 0.189s 2번째
P3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 메르세데스)
+ 0.229s 3번째
<colcolor=#fff> P4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 0.238s 4번째
P5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787s[同] 5번째
P6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787s[同] 6번째
P7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 맥라렌 - 르노)
+ 1.240s 7번째
P8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 맥라렌 - 르노)
+ 1.400s 8번째
P9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772s 9번째
P10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 하스 - 페라리)
+ 2.277s 10번째
2019 일본 GP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후반기에 막강한 퀄리파잉을 보여주고 있는 페라리가 일본에서도 완벽한 결과를 내었다. 오랜만에 페텔이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으며, 르클레르가 0.18초 차이에 불과한 2그리드를 차지하며 페라리가 프런트 로우를 독점하는 최상의 결과를 맞이했다. 이어 메르세데스와 레드불, 맥라렌이 뒤를 이으며 대체로 레이스카의 숏런 퍼포먼스대로 결과가 나온 퀄리파잉이었다.

6.2. 레이스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 메르세데스)
1:21:46.755 25
2위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 페라리)
+ 13.343s 18
3위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파일:패스티스트랩.png
+ 13.858s 15+1[F]
<colbgcolor=#000><colcolor=#fff> 4위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59.537s 12
5위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 맥라렌 - 르노)
+ 1:09.101 10
6위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 1 Lap[18] 8
7위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 Lap 6
8위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 Lap[19] 4
9위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 Lap 2
10위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 Lap 1
패스티스트 랩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1:30.983 (Lap 45)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 메르세데스)
21%
2019 일본 GP 하이라이트

엄청난 스타트로 단숨에 선두로 올라선 보타스가 그대로 크루징에 성공하며 오랜만에 우승을 달성하였다. 팀메이트인 해밀턴은 한 계단 올라선 3위로 완주하였고, 마지막까지 페텔과 치열하게 배틀하였으나 아쉽게 추월에는 실패하였다. 레드불에겐 아쉬운 주말이었는데 막스 베르스타펜이 오프닝 랩 첫 코너에서 르클레르와의 컨택으로 플로어 손상을 입어 리타이어해야 했기 때문이다. 더구나 혼다 엔진의 홈 그랑프리이기도 했기에 더욱 아쉬웠던 결과. 그나마 알본이 4위로 완주하며 체면치레할 수 있었다. 맥라렌의 사인츠가 모처럼 5위로 완주하며 최상의 결과를 가져왔고, 팀메이트인 랜도 노리스는 11위로 완주하며 포인트 획득에는 실패했다. 르클레르에겐 여러모로 아쉬우면서 좋은 레이스이기도 했는데, 오프닝 랩에서 막스와의 컨택으로 상당한 순위를 잃었지만 이후 추월쇼를 선보이며 상위권으로 복귀할 수 있었다.

한편, 레이스 종료 후 체커기가 예정보다 1랩 먼저 등장하였기에 레이스 최종 결과는 53랩 째의 결과가 아닌 52랩 째의 결과로 인정되었다. 따라서 페레즈가 마지막 랩에 리타이어했음에도 그는 가슬리에게 근소하게 뒤쳐진 채로 완주할 수 있었다. 여기에 레이싱 포인트가 르노의 드라이버 보조 장치 규정에 관해 FIA에 항의하였고, 이 항의가 인정되며 르노의 두 드라이버는 모두 실격처리 되었다. 이에 따라 최종 순위는 7,10위를 달성한 르노 드라이버들의 결과가 삭제되어 7~10위는 가슬리, 페레즈, 스트롤, 크비얏 순이 되었다.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338
2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274
3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223
4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212
5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212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독일|]][[틀:국기|]][[틀:국기|]] 메르세데스
612
2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페라리
435
3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레드불 레이싱 - 혼다
323
4
[[영국|]][[틀:국기|]][[틀:국기|]] 맥라렌 - 르노
111
5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르노
68


[1] 다행히 코레아는 완치 후 2021년 F3에 복귀하였고, 현재까지 정상적으로 레이싱계에서 활동하고 있다. [2] 파워 유닛 파츠 교체로 인한 5그리드 페널티 적용. [3] 파워 유닛 파츠 교체로 인한 5그리드 페널티 적용. [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 [5] 페라리는 이런 면에서 다시 한 번 롱런 페이스의 치명적인 약점을 드러냈다. 미디엄과 하드 타이어 페이스는 메르세데스에 한참 뒤떨어지고 소프트를 착용하더라도 첫 2~3바퀴를 빼곤 갈수록 페이스를 유지하지 못했다. [6] 파크 페르메 상황에서 파워 유닛 교체로 인해 피트레인 스타트 [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 [8] 기어박스 교체로 인한 5그리드 페널티 적용. [9] 이에 따라 리카도는 최후미에서 출발한다. [10] 레이스 디렉터 지시 위반으로 10초 페널티 적용. 순위 변동은 없다. [11] 하지만 이후 페라리는 이후 3년동안 그랑프리 우승을 하지 못한다. [12] 파워 유닛 부품 교체로 5그리드 페널티 적용. [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 [14] 8위로 완주했으나 트랙 이탈로 이득을 얻어 5초 페널티 적용. 이에 따라 최종 순위는 9위로 1계단 하락했다. [同] 기록이 같으나, 막스가 알본보다 먼저 랩 타임을 기록했기에 막스가 앞선 그리드를 배정받는다. [同] 기록이 같으나, 막스가 알본보다 먼저 랩 타임을 기록했기에 막스가 앞선 그리드를 배정받는다. [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 [18] 막스 베르스타펜과의 충돌로 5초 페널티, 차량 수리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그대로 주행하여 10초 페널티가 적용되어 합산 15초 페널티 적용. 그러나 순위 변동은 없다. [19] 마지막 랩에 리타이어했으나 체커기가 1랩 일찍 나왔기에 리타이어 직전인 52랩 째의 결과가 적용되었다. 9위로 완주한 셈이 되었으나 르노의 두 드라이버가 레이스카 보조 장치 규정 위반 등으로 실격처리되어 1계단 상승한 8위가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51
, 7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5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