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0 03:17:03

Fate/Zero/애니메이션

페제 애니에서 넘어옴
파일:페이트제로 로고.png [br]
발매 현황 | 특징 | 등장인물 | 설정 ( 제4차 성배전쟁) | 비판
미디어 믹스 ( TVA · 코믹스 · 게임) | 외전 ( 만우절 특집 · 블루레이 특전)
페이트/제로 (2011, 2012)
Fate/Zero
파일:fatezero_part1_keyvisual.jpg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e1c56f,#e1c56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어반 판타지
원작 우로부치 겐 / TYPE-MOON
원안 나스 키노코
캐릭터 원안 타케우치 타카시
감독 아오키 에이
감독 보좌 츠네마츠 케이(恒松 圭)
각본 ufotable[1]
미야지마 타쿠미(実弥島 巧)
각본 제작 ufotable
캐릭터 디자인 스도 토모노리
이카리야 아츠시
미술 감독 에토 코지(衛藤功二)
색채 설계 치바 에미(千葉絵美)
촬영 감독 테라오 유이치
3D 감독 시시도 코지로(宍戸幸次郎)
편집 카미노 마나부(神野 学)
음향 감독 이와나미 요시카즈
음악 카지우라 유키
프로듀서 이와카미 아츠히로(岩上敦宏)
오오타 카츠시(太田克史)
타케우치 토모타카(竹内友崇)
도이 요시나오(土居由直)
콘도 히카루
라인 프로듀서 스즈키 류(鈴木 龍)
시스템 매니저 카사하라 켄이치로(笠原健一郎)
제작 프로듀서 콘도 히카루
애니메이션 제작 ufotable
제작 애니플렉스
성해사(星海社)
노츠
니트로플러스
ufotable
방영 기간 2011. 10. 02. ~ 2011. 12. 25.파트 1
2012. 04. 08. ~ 2012. 06. 24.파트 2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MX / (일) 00: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플러스 / (일) 00:30[2]
파일:투명.png 애니맥스 코리아
스트리밍
[[애니플러스|
ANIPLUS
]]


한국 정식발매 애니플러스 ( BD)
편당 러닝타임 24분[3]
화수 25화 ( 분할 2쿨)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9세 이상 시청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2.2. 키 비주얼
3. 등장인물
3.1. 성우 캐스팅
4. 설정5. 주제가
5.1. 파트 1
5.1.1. OP5.1.2. ED
5.2. 파트 2
5.2.1. OP5.2.2. ED5.2.3. 18, 19화 ED
6. 회차 목록7. 각 화 참여 원화 애니메이터8. 해외 공개
8.1. 대한민국
9. 평가
9.1. 원작자로부터의 피드백9.2. 다크 나이트와의 유사점
10. 원작과의 차이점11. 한국과 일본에서의 선행상영회 대성공12. ufotable의 Fate/stay night 애니화13. BD 특전: 부탁해! 아인츠베른 상담실14. 기타
14.1. 니코니코 동화의 한국어 자막 해프닝
15. 관련 문서1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Fate/stay night》의 프리퀄이자 외전격 작품인《 Fate/Zero》의 애니메이션. 감독은 아오키 에이.

2011년 10월 분할 2쿨 방식의 TV 애니메이션으로 방영했다. 제작사는 이전에 《 극장판 공의 경계》를 제작한 적이 있는 ufotable. 본작이 ufotable의 첫 2쿨짜리 TV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각본 제작부터 촬영까지의 모든 제작 과정에서의 작업을 그로스 하청을 주지 않은 채 ufotable이 모두 담당했다.

원작자 우로부치 겐도 각본 회의 및 애프터 레코딩 작업에 매번 참여했다. 우로부치 혼자서 판단이 서지 않는 부분이 있으면 나스 키노코와 함께 식사하며 의논했다고 한다. 원작에서 사용하지 않은 아이디어를 활용한 오리지널 스토리를 기반으로 한 에피소드의 방영이 예정되었는데 10화, 18화, 19화가 해당한다.

니코동 방영 시간은 토요일 24시 30분(일요일 0시 30분)이었다. 2분기는 2012년 4월 8일 0시 30분부터 방영되었다.

2021년 10월 2일. 방영 10주년을 맞이했으며, 그 기념으로 ufotable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당시의 PV를 재업로드했다.

2. 공개 정보

원래 TYPE-MOON 게임으로 제작하려 했던 Girls' Work를 애니메이션 제작으로 노선을 변경하게 되면서 공의 경계를 제작한 프로듀서 이와카미 아츠히로(Aniplex)가 Girls' Work를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면 재미있을 것 같다고 ufotable의 프로듀서 콘도 히카루와 대화하는 동시 타케우치 타카시에게 " Fate/Zero와 Girls' Work를 하나의 프로젝트로 애니메이션화를 진행하면 어떨까?"하고 제안을 하게 되었고 " 공의 경계 극장판 7부작 제작"이라는 아이디어의 창시자이자 실천자인 콘도에 의하여 TYPE-MOON×ufotable 프로젝트가 시작하게 된다.

콘도는 극장판 공의 경계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ufotable의 스튜디오 체제가 완성되었고 그러한 제작 스탭들이 해산하지 않고 계속 남아있었기에 시기적으로 Fate/Zero를 만드는데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고 한다. 공의 경계 1장 감독인 아오키 에이를 비롯한 유능한 외부 크리에이터들과도 계속 작업을 같이 하고 있었고 동화나 마무리까지 하청을 주지 않고 전부 회사 안에서 가능하게 된 현재의 전력 100% 상태여야만 영상 퀄리티를 Fate/Zero에 걸맞은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사실 아오키는 극장판 공의 경계 제작 당시 콘도와 험악한 관계가 되었기 때문에 ufotable과 두 번 다시 함께하지 않을 거라 생각했다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첫 번째 극장판의 1장을 제작하는 작업이었기에 부담감과 압박감이 엄청났고, 선례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1장이 완성된 이후엔 이를 참고하게 되면서 2장 살인고찰 제작시엔 부담을 많이 덜었을 정도였다 하니 얼마나 1장이 어려웠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1장 상영 직후 객석에서 기립박수가 터져나오면서 원작자 나스 키노코가 아오키에게 악수를 청해왔고, 부감풍경 상영시 극장 팸플릿에 우로부치 겐이 소개글을 집필하였다고 한다. 당시의 인연들이 모여서 Fate/Zero의 애니메이션화로 이어지게 된다.

2.1. PV

PV 제1탄
PV 제2탄
2nd 시즌 트레일러

2.2. 키 비주얼

파일:페제_10주년.jpg
10주년 비주얼

3.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ate/Zero/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 성우 캐스팅[4]


비슷한 시기 작품들의 신인 성우 위주 캐스팅과는 달리, 이토 하스미(토오사카 아오이)와 아베 아키나(어새신)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주역 성우진이 경력 10년 이상의 베테랑 성우들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눈에 띈다.물론 게스트 성우진도 화려한 라인업을 자랑한다.

게다가 이러한 일류 성우진이 철저한 오디션을 거쳐서 캐스팅되었고 이미 드라마 CD 작업으로 경험과 검증을 거치고 임하는 더빙이니 뛰어난 퀄리티는 보장된 거나 마찬가지. 사실 이런 캐스팅은 상업적으로 성공할 수 있다는 자신감 + 제작진의 퀄리티 우선주의가 동반되어야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만큼 성우 개런티도 많이 든다.

녹음 현장 분위기는 캐스팅 전원이 원작을 숙독하고 연기한 경험이 있는 만큼 작품과 캐릭터에 대한 감상을 서로 주고받는 경우가 많다고. 다른 현장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화기애애한 모습이고, 그만큼 서로가 통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한다. 작품 분위기는 어둡고 무겁지만 녹음 현장은 "오늘도 함께 놀아보자!"는 활기찬 분위기라며 오오츠카 아키오는 자신의 강연회에서 즐겁게 언급하였다.

Talk CD나 Talk Session, 애니메이션 잡지의 성우진 인터뷰들을 읽어보면 영령에 관련된 전승이나 Material 설정집, 심지어 자신이 출연하지 않은 타 성우진의 인터뷰나 토크까지 숙지하고 있다는 사실이 나타난다. Fate/Zero라는 작품에 성우진들이 얼마나 정성을 기울이는지 알 수 있는 내용이다. 성우 미도리카와 히카루"이런 작품에 연기자로서 참여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 영광"이라 소감을 밝혔으며 함께 있던 성우들이 절대적으로 동감하기도 하였다.

애니메이션 팬들에게는 신가키 타루스케 츠루오카 사토시 두 성우의 인지도가 높아지는 계기가 된 작품이기도 하다. 신가키 타루스케는 원래 애니보다 외화쪽 커리어가 높았던 성우라 애니팬들에게도 그 이름이 알려지는 계기가 된 정도지만, 츠루오카 사토시는 이 작품을 계기로 15년간 단역만 전전하던 무명 성우에서 상당히 인지도 있는 성우로 올라가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츠루오카는 Fate/Apocrypha Fate/Grand Order에도 출연하면서 Fate시리즈의 단골 성우 중 한 명으로 유명해졌다.

4.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ate/Zero 문서
번 문단을
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주제가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5.1. 파트 1

5.1.1. OP

OP1
oath sign
TV ver. 논크레딧판
Full ver.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e1c56f,#e1c56f> 노래 LiSA
작사 와타나베 쇼(渡辺 翔)
작곡
편곡 토쿠(とく)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e1c56f,#e1c56f> 콘티 미우라 타카히로
츠네마츠 케이(恒松 圭)
테라오 유이치
콘도 히카루
연출 미우라 타카히로
작화감독 스도 토모노리
이카리야 아츠시
}}}}}}}}} ||
{{{#!folding 가사 ▼ 繰り返す世界 何度手を伸ばしたら
쿠리카에스 세카이 난도 테오 노바시타라
반복되는 세계 얼마나 손을 뻗어야

儚い涙は黒い心溶かすの?
하카나이 나미다와 쿠로이 코코로 토카스노?
덧없는 눈물은 새까만 마음을 녹일까?

芽生え出した想いが胸に響いたなら
메바에다시타 오모이가 무네니 히비이타나라
싹트기 시작한 마음이 가슴에 울린다면

君の隣でずっと変わらず守るだろう
키미노 토나리데 즛토 카와라즈 마모루다로우
네 곁에서 쭉 변치 않고 지켜나갈 거야

落ちた希望を拾って 明日に繋いで行けば
오치타 키보우오 히롯테 아스니 츠나이데 유케바
무너진 희망을 주워서 내일로 이어갈 수 있다면

絡まった歪な願いだって解ける
카라맛타 이비츠나 네가이닷테 호도케루
얽히고 일그러진 소망이라도 풀 수 있어

光を翳して躊躇いを消した
히카리오 카자시테 타메라이오 케시타
빛을 비춰서 망설임을 없앴어

上げたかったのは 未来で
아게타캇타노와 미라이데
주고 싶었던 건 미래라서

泣いてる夜 抱いたまま 嘆きを叫んで
나이테루 요루 다이타마마 나게키오 사켄데
울고 있는 밤을 끌어안은 채 탄식하고

踏み入れた足を遠くの理想がそっと癒して行く
후미이레타 아시오 토오쿠노 리소우가 솟토 이야시테 유쿠
내딛은 발을 저 멀고 먼 이상이 살며시 달래가

確かな絆を強く握り進もう
타시카나 키즈나오 츠요쿠 니기리 스스모우
확실한 인연을 세게 붙잡고 나아가자

どこまでも
도코마데모
어디까지고

汚れきった奇跡を背に
케가레킷타 키세키오 세니
더럽혀진 기적을 등에 지고
}}} ||

1화에서는 엔딩 테마로 사용되었다. 11화는 오프닝 테마가 없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았다.

초반부 스토리의 오프닝이라 그런지 분위기는 매우 활기찬 편. 후유키의 브로드 브릿지부터 시작해서 브로드 브릿지로 끝나는 연출이 일품이다. 각 마스터와 서번트 진영을 골고루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키리츠구와 키레이가 서로 대응되는 모습을 보여주어 이 둘의 관계가 어떻게 될지 암시해주고 있다.

오프닝 영상에서 원작과 차이점이 있다면 바로 어새신과 세이버가 싸우는 씬이다. 실제로 스토리상 둘은 직접 싸운 적은 한 번도 없으며, 11화(성배문답)에서 어새신이 왕들의 술자리를 습격할 때 잠깐 마주칠 뿐이다(…). 액션 위주로 연출한 오프닝인 만큼 어새신의 액션 씬을 추가해 넣은 듯 하다.[5] 어새신이 여러 명이라는 사실이 밝혀진 후인 4화부터는 해당 장면의 어새신이 3명으로 늘어난다.

그리고 세이버의 엑스칼리버 방출 씬도 원래 스토리상 1쿨에서는 나오지 않지만 오프닝에서 먼저 보여주었다. 후에 2쿨에서 정식으로 엑스칼리버를 사용했을 때도 1쿨 오프닝에서 나온 것처럼 빛의 기둥이 치솟는 모습으로 연출된다.

참고로 이 곡은 LiSA가 자신의 이름으로 처음 낸 애니송이다.[6]

5.1.2. ED

ED1
MEMORIA
TV ver. 논크레딧판
Full ver.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e1c56f,#e1c56f> 노래 아오이 에일[7]
작사 Eir
야스다 후미오(安田史生)
작곡 야스다 후미오(安田史生)
편곡 시모카와 카요(下川佳代)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e1c56f,#e1c56f> 콘티 아오키 에이
연출
작화감독 스도 토모노리
이카리야 아츠시
}}}}}}}}} ||
{{{#!folding 가사 ▼ 静かに移り行く 遠い記憶の中
시즈카니 우츠리 유쿠 토오이 키오쿠노 나카
고요하게 변해가는 머나먼 기억 속에서

思い出に寄り添いながら 君を思えるなら
오모이데니 요리소이나가라 키미오 오모에루나라
추억에 기대어 너를 생각할 수 있다면

いつも見慣れてる窓辺に映った
이츠모 미나레테루 마도베니 우츳타
항상 낯익은 창가에 비춰진 

沈む君の横顔
시즈무 키미노 요코가오
침울한 너의 옆모습

涙声さえ冷たく飲み込んだ
나미다고에사에 츠메타쿠 노미콘다
울음소리마저 냉정히 집어삼킨

その瞳は明日を向いていた
소노 히토미와 아시타오 무이테이타
그 눈동자는 내일을 향하고 있었어

ああ 逆らえぬ定めとしても
아- 사카라에누 사다메토시테모
아- 거스를 수 없는 운명일지라도 

怖くない 心から信じている
코와쿠나이 코코로카라 신지테이루
무섭지 않다고 진심으로 믿고 있어

静かに移り行く 遠い記憶の中
시즈카니 우츠리 유쿠 토오이 키오쿠노 나카
고요하게 변해가는 머나먼 기억 속에서

君と過ごした証は 確かにここにある
키미토 스고시타 아카시와 타시카니 코코니 아루
너와 함께 했던 증표는 확실히 여기에 있어

溢れ出す気持ちを 教えてくれたから
아후레다스 키모치오 오시에테쿠레타카라
흘러넘치는 마음을 가르쳐 주었으니까

この世界が無くなっても 私はそこにいる
코노 세카이가 나쿠낫테모 와타시와 소코니 이루
이 세계가 없어진다고 해도 나는 그곳에 있을 거야

海にきたいと いつしか話した
우미니 이키타이토 이츠시카 하나시타
바다에 가고 싶다고 언젠가 말했었지

君と二人で叶わぬ夢を見た
키미토 후타리데 카나와누 유메오 미타
너와 둘이서 이뤄지지 않을 꿈을 꿨어

ああ 降りしきる雪の中 彷徨い
아- 후리시키루 유키노 나카 사마요이
아- 퍼부어 내리는 눈 속을 떠돌다

傷つく君はもう独りじゃない
키즈츠쿠 키미와 모- 히토리쟈나이
상처입은 넌 더 이상 외톨이가 아냐

どんなに離れても 忘れることはない
돈나니 하나레테모 와스레루 코토와 나이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어도 잊지 않아

君が私に光を 教えてくれたから
키미가 와타시니 히카리오 오시에테쿠레타카라
네가 나에게 빛을 가르쳐 주었으니까

溢れ出す涙は 君へのありがとう
아후레다스 나미다와 키미에노 아리가토-
넘쳐흐르는 눈물은 너를 향한 고마움이야

あの日 交わした約束の空は色褪せない
아노 히 카와시타 야쿠소쿠노 소라와 이로아세나이
그 날 나누었던 약속의 하늘은 빛 바래지 않아

静かに移り行く 遠い記憶の中
시즈카니 우츠리 유쿠 토오이 키오쿠노 나카
고요하게 변해가는 머나먼 기억 속에서

思い出に寄り添いながら 君を思えるなら
오모이데니 요리소이나가라 키미오 오모에루나라
추억에 기대어 너를 생각할 수 있다면

どんなに離れても 忘れることはない
돈나니 하나레테모 와스레루 코토와 나이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어도 잊지 않아

君と過ごした証は 確かにここにある
키미토 스고시타 아카시와 타시카니 코코니 아루
너와 함께 했던 증표는 확실히 여기에 있어

溢れ出す気持ちを 教えてくれたから
아후레다스 키모치오 오시에테쿠레타카라
넘쳐흐르는 마음을 가르쳐 주었으니까

この世界が無くなっても 私はそこにいる
코노 세카이가 나쿠낫테모 와타시와 소코니 이루
이 세계가 없어진다고 해도 나는 그곳에 있을 거야

あの日 交わした約束の空は色褪せない
아노 히 카와시타 야쿠소쿠노 소라와 이로아세나이
그 날 나눈 약속의 하늘은 빛 바래지 않아
}}} ||

MEMORIA 엔딩은 3기사 클래스라 불리는 세이버, 랜서, 아처를 필두로 각 클래스를 상징하는 체스말을 어필하며[8] 성배전쟁에 참여하는 일곱 서번트들의 생전 이미지를 보여준다. 이 사이에 차례차례로 등장하는 물품들은 나오는 서번트들의 차례에 맞게 보여주는 것으로 각각 라이더의 망토, 아처가 영체화했을 때의 황금색 잔해, 랜서의 쌍창, 캐스터의 수정구슬, 어새신의 해골가면, 버서커의 검은 안개, 세이버의 엑스칼리버이다.

이미 본편 초반부에서 진명을 대놓고 까발렸거나 진명을 까발리지 않았어도 정체를 알법한 몇몇을 빼고는 그쪽 계열에 관심있는 사람들이 눈치챌만한 스포일러가 많으며, 특히 등을 돌린 채 호수에 서 있는 기사의 모습을 보고 정체(중대한 스포일러)가 뭔지 알아차린 이들도 있다고 한다.. 여담이지만 엔딩의 이미지는 전부 현존하는 예술작품과 유물을 기반[9]으로 한 것이며, 캐스터는 이 장면에서 교수대로 끌려가고 있다. 그나마 캐스터는 이미지라도 얼추 맞지 어쌔씬은 엔딩에서 보여준 그 포스를 생각하면 완전 다른 사람이다.

뉴타입 인터뷰에 따르면 oath sign(맹세의 증표)는 세이버의, MEMORIA(라틴어로 기억과 회상)는 아이리의 마음을 나타냈다고 한다. 이를 반영한 것인지, 초회한정판과 일반판의 앨범 자켓의 아오이 에일의 눈동자에 키리츠구 이리야의 실루엣이 보인다.

또한 끝부분의 세이버가 나오는 장면은 한 쪽 눈으로만 보면 3D영상으로 보이는 연출이 있다. 일부러 3D 효과를 노렸다기보다는, 2D로 그린 그림을 3D로 패널 세우듯이 여러 레이어로 세운 후 줌인을 시킴으로써 생긴 효과다. 애니메이션에서 그럭저럭 널리 쓰이는 기법이라고 한다.

본편의 서번트들 외에도 뒷모습 뿐이긴 하지만 모드레드가 등장한다. 영상의 마지막 파트인 세이버의 기억에서 세이버의 [10] 꿰뚫리는 기사가 바로 캄란 전투의 모드레드다.

5.2. 파트 2

5.2.1. OP

OP2
to the beginning
TV ver. 논크레딧판
Full ver.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e1c56f,#e1c56f> 노래 Kalafina
작사 카지우라 유키
작곡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e1c56f,#e1c56f> 콘티 아오키 에이
연출
작화감독 스도 토모노리[11]
}}}}}}}}} ||
{{{#!folding 가사 ▼ あと一度だけ奇跡は起こるだろう
아토 이치도다케 키세키와 오코루다로-
앞으로 단 한 번 기적은 일어나겠지

優しい声で描く歪んだ未来
야사시이 코에테 에가쿠 유간다 미라이
상냥한 목소리로 그리는 일그러진 미래

もう誰も泣かない世界のために
모- 다레모 나카나이 세카이노 타메니
이제는 그 누구도 울지 않는 세계를 위해서

赤く穢された空のどこにも
아카쿠 케가사레타 소라노 도코니모
붉게 더럽혀진 하늘의 그 어디에도

届かず消える叫びと祈り
토도카즈 키에루 사케비토 이노리
닿지 않고 사라지는 외침과 기도

慰めは捨ててゆける
나구사메와 스테테 유케루
위안은 버리고 갈 수 있어

奇麗な月の光が
키레이나 츠키노 히카리가
아름다운 달빛이

始まりへと沈み行くその彼方へ
하지마리에토 시즈미유쿠 소노 카나타에
시작점을 향해 저물어가는 그 저편으로

閉ざされてく瞳で
토자사레테쿠 히토미데
감겨져가는 눈동자로

まだ遠くへ手を伸ばす
마다 토오쿠에 테오 노바스
아직 저 먼 곳으로 손을 뻗는

君の嘆きを信じて
키미노 나게키오 신지테
너의 한탄을 믿고

本当は誰が救われたくて
혼또와 다레카가 스쿠와레타쿠떼
사실은 누군가가 구원받고 싶어서
迷う心が空に穴を穿つ
마요우 코코로가 소라니 아나오 우가츠
망설이는 마음이 하늘에 구멍을 뚫네


君を選んで
키미오 에란데
그대를 선택하고
たった二人の歓びを探せたなら
탓따 후타리노 요로코비오 사가세타나라
단 둘만의 기쁨을 찾아냈다면
どんな冷たい焔に身を焼かれても
돈나 츠메타이 호노오니 미오 야카레떼모
그 어떤 차가운 불꽃에 몸이 불태워져도
微笑みの近く
호호에미노 치카쿠
미소의 근처야.

のたうつ夢 命の意味
노타우츠유메 이노치노 이미
몸부림치도록 괴로운 꿈, 생명의 의미
怯えてる この世界を
오비에떼루 코노 세카이오
두려움에 떠는 이 세상을
澄んだ水の中へ還したい
슨다 미즈노 나카에 카에시타이
맑은 물 속으로 되돌려주고 싶어


哀しみだけ消せはしない
카나시미다케 케세와시나이
슬픔만 지울 수는 없는
そんな人の心の理さえ
손나 히토노 코코로노 코토와리
그런 사람의 마음의 이치조차
この手で切り裂いて
코노 테데 키리사이떼
이 손으로 찢어내어
down to zero we go


綺麗な月の光は
키레이나 츠키노 히카리와
아름다운 달빛은
ただ静かに
타다 시즈카니
그저 조용히
始まりへ朽ちて行くよ
하지마리에 쿠치떼유쿠요
시작을 향해 스러져 가네
閉ざされた憧れは
토자사레타 아코가레와
닫혀져버린 동경은
まだ遠くへ
마다 토오쿠에
아직 저 멀리
闇の中
야미노 나카
어둠 속
君と生きた
키미또 이키타
그대와 살았던
日々の全て
히비노 스베떼
그 모든 날들이
優しい歌
야사시이 우타
상냥한 노래
}}} ||
25화에서는 엔딩 테마로 사용되었다. 18화, 19화, 24화는 오프닝 테마가 없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았다.

소설의 중반부 이후의 분위기를 충실히 반영해서 노래와 영상 구성 모두 어둡고 비장미 넘치는 분위기로 나왔다. 오프닝의 주 테마는 에미야 키리츠구 아이리스필 폰 아인츠베른.

사실 Fate/Zero 파트 2 오프닝 곡은 세컨드 파트 스토리에 맞춰서 비극적이고 빠른, 무섭고 어두운 노래로 만들었었다고 한다. 그러나 제작진은 오프닝에서 '내일의 희망'을 제시하고 싶어했고 그에 맞게 수정하여 지금의 'to the beginning'[12]이 완성되었다. 이에 따라 엔딩곡 또한 상냥하고 따스한 노래로 이루어졌고 이렇게 오프닝과 엔딩에서 '구원'을 그려낸 제작진의 선택이 옳았다고 카지우라 유키는 2012년 뉴타입 5월호 인터뷰에서 밝힌 바 있다.

영상과 노래 분위기 가사가 결합되어 후반부의 전개와 결말을 암시하고 있으며[13] 웨이버를 비롯하여 키리츠구의 측근들이 보여주는 상반된 자세[14] 외에도 고퀄리티 3D로 모델링된 총기와 세이버가 탄 야마하 브이맥스가 일품. 오프닝곡은 파트 1의 총집편 중 REMIX II의 엔딩으로도 나왔다. 마지막의 키리츠구가 잡는 손이 번갈아 바뀌는 사소한 연출까지도 훌륭한 퀄리티를 보여준다. 제일 처음 잡는 손은 색깔도 다르다! 에미야와 인연이 있던 여성들로 순서대로 샤레이> 나탈리아> 아이리스필의 손으로 보인다. 마이아 지못미 사실 잡는손이 바뀌는 연출은 오프닝 시작의 걷는 모습이 세번 바뀐 것과 정확히 매칭된다. (알리망오섬>나탈리아의 아지트>아인츠베른가문)

가사는 키리츠구의 심리를 완벽히 대변하고 있다. 1절과 2절은 각각 성배전쟁 종료 전후의 심리를 표현하고 있다.[15] 마지막 엔딩에선 가사가 ED1절에서 OP2절로 바뀌는데 모든게 끝나고 안식을 찾은 키리츠구의 변화를 얘기해준다. 가사 전체적으로 키리츠구의 인생을 함축하고 있다.

키리츠구의 관점에서 본 오프닝 첫번째 가사의 의미를 해석한 사람의 글

참고로 'To the beginning'의 음악 톤은 무슨 이유인지 소드 아트 온라인 -오디널 스케일-의 테마중 하나인 ' Longing'으로 재활용되었다. Longing을 이용한 페이트 제로 오프닝

5.2.2. ED

ED2
空は高く風は歌う
TV ver. 논크레딧판
Full ver.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e1c56f,#e1c56f> 노래 하루나 루나[16]
작사 카지우라 유키
작곡
편곡 모리 소라오(森 空青)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e1c56f,#e1c56f> 콘티 아오키 에이
연출 츠네마츠 케이(恒松 圭)
작화감독 스도 토모노리
}}}}}}}}} ||
{{{#!folding 가사 ▼ どうして空はこんなに青くて
도우시테 소라와 콘나니 아오쿠테
어째서 하늘은 이리도 푸르며
何も悲しみを知らぬように
나니모 카나시미오 시라누요우니
무엇 하나 슬픔을 모른다는 듯이
いつも躊躇わず明日へと崩れ落ちる
이츠모 타메라와즈 아시타에토 쿠즈레오치루
언제나 망설임 없이 내일을 향해 무너져 내리나

いのちは足りないまま生まれて来るのね
이노치와 타리나이마마 우마레테쿠루노네
생명은 부족한 채로 태어나는 거겠지
痛みが満たすものもあるのね
이타미가 미타스모노모 아루노네
아픔이 채워주는 것도 있겠지
欠け落ちた心に貴方が触れて
카케오치타 코코로니 아나타가 후레테
떨어져 나간 마음에 당신이 만져져서

二人で行く未来は
후타리데 유쿠 미라이와
둘이서 나아가는 미래는
穢れの無い強さで
케가레노 나이 츠요사데
더러움 없는 강함으로

空は高く風は歌う
소라와 타카쿠 카제와 우타우
하늘은 높고 바람은 노래하는
夢を見てた
유메오 미테타
꿈을 꾸었어
歓びへと
요로코비에토
기쁨을 향해
人はいつか辿り着ける
히토와 이츠카 타도리츠케루
사람은 언젠가 도달할 수 있어
子供の瞳で貴方は信じた
코도모노 히토미데 아나타와 신지타
아이 같은 눈동자로 당신은 믿었어
側にいるよ
소바니 이루요
곁에 있을게
凍り付いた森を抜けて
코오리 츠이타 모리오 누케테
얼어붙은 숲을 나와서
その瞳が世界の嘆きに
소노 히토미가 세카이노 나게키니
그 눈동자가 세상의 비탄에
迷わぬように
마요와누요우니
방황하지 않도록

どうして届かない光だけが
도우시테 토도카나이 히카리다케가
어째서 닿지 않는 빛만이
いつも何よりも眩しい正しさで
이츠모 나니요리모 마부시이 타다시사데
언제나 무엇보다도 눈부신 올바름으로
叶わない明日へと人を裁く
카나와나이 아시타에토 히토오 사바쿠
가망 없는 내일을 향해 사람을 벌하나

冷たい背中にそっと触れてみた
츠메타이 세나카니 솟또 후레테미타
차가운 등을 살짝 만져보았어
世界の優しさを信じない人だから
세카이노 야사시사오 신지나이 히토다카라
세상의 상냥함을 믿지 않는 사람이니까
誰よりも優しかった
다레요리모 야사시캇따
누구보다도 상냥했어

生きていたよ未来へ
이키테이타요 미라이에
살아있었어 미래를 향해
空に風を残して
소라니 카제오 노코시테
하늘에 바람을 남겨두곤

夢は何処に眠るのだろう
유메와 도코니 네무루노다로우
꿈은 어디서 잠에 드는 걸까
いつか誰もいなくなった
이츠카 다레모 이나쿠낫따
어느새 아무도 없어졌어
この岸辺に寄せて返す
코노 키시베니 요세테 카에스
이 물가에 밀려들고 돌아가는
光の欠片になれると信じた
히카리노 카케라니 나레루토 신지타
빛의 조각이 될 수 있으리라 믿었어
闇に還る想いたちが
야미니 카에루 오모이타치가
어둠으로 돌아가는 바람들이
燃え尽きてく
모에츠키테쿠
불타 없어져가
その灯りを標に
소노 아카리오 시루베니
그 등불을 길잡이로
世界はまた夢を見る
세카이와 마타 유메오 미루
세상은 또 다시 꿈을 꿔

空は高く風は歌う
소라와 타카쿠 카제와 우타우
하늘은 높고 바람은 노래하는
貴方が見た夢の記憶
아나타가 미타 유메노 키오쿠
당신이 꾸었던 꿈의 기억
その叫びが
소노 사케비가
그 외침이
優しい木霊を
야사시이 코다마오
상냥한 메아리를
返しているよ
카에시테 이루요
돌려주고 있어
}}} ||

수염이 없던 키리츠구와 죽은 눈을 한 아이리스필의 과거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둘의 첫대면부터 인형과 같았던 그녀가 점점 사람의 마음을 만들어 가는 과정을 시간순서의 일러스트로 표현하였으며, 파트 1에서는 지나가는 이야기로 언급된 두 사람 사이의 관계와 과거를 엿볼수 있도록 구성되었다.[17] Blu-ray 박스 특전 드라마 CD 시니라오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영상이 완전히 3D라기보다는 한쪽 눈을 가리고 3D로 보이도록 연출했다.

2쿨 방영을 기념하여 아오이 에이르가 부른 4차 성배전쟁의 일곱 영령들의 테마곡을 수록한 트리뷰트 앨범 Prayer도 2012년 4월 11일에 발매되었다.
키레이 버전도 있다.[18]

5.2.3. 18, 19화 ED

18, 19화 ED
満天
Full ver.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e1c56f,#e1c56f> 노래 Kalafina
작사 카지우라 유키
작곡
편곡
{{{#!folding 가사 ▼ 静かに瞬く
시즈카니 마바타쿠
조용히 깜빡이는
星たちの散り逝く空
호시타치노 치리유쿠 소라
별들의 스러져가는 하늘
届かぬ祈りが
토도카누 이노리가
닿지않는 기도가
天と地を満たしてた
텐또 치오 미타시떼타
하늘과 땅을 가득 채우고 있었네

細い枝に光るのは
호소이 에다니 히카루노와
가느다란 가지에 빛나는 것은
咲き忘れた未来
사키와스레타 미라이
피는 것을 잊은 미래
まだ名残惜しそうに蕾を落とした
마다 나고리오시소오니 츠보미오 오토시타
아직 아쉬워 하듯 봉오리를 떨어뜨렸다

ほら、もう時は満ちて
호라, 모오 토키와 미치떼
봐, 이제 때가 되어
実る黄金の果実
미노루 킨노 카지츠
결실을 맺는 황금빛 과실
その手で摘み取るだけで
소노테데 츠미토루다케데
그 손으로 따기만 하여도
世界は終わるから
세카이와 오와루카라
세상은 끝날테니

穢れぬものとして降る雪の白さは
케가레누 모노또시떼 후루 유키노 시로사와
더럽혀지지 않은 채 내리는 눈의 새하얌은
温もりを知れば消えてしまうの
누쿠모리오 시레바 키에떼 시마우노
온기를 알게되면 사라지는 것임을
綺麗な夢だけが貴方を切り裂いた
키레이나 유메다케가 아나타오 키리사이타
깨끗한 꿈만이 그대를 찢어 갈랐던
冷たぺの優しさと真実
츠메타이 히토미노 야사시사또 신지츠
차가운 눈동자의 상냥함과 진실

激しく瞬く星たちは天に背いて
하게시쿠 마바타쿠 호시타치와 텐니 소무이테
격렬하게 깜빡이는 별들은 하늘을 등지고
仇なす祈りが
아다나스 이노리가
대적하는 기도가
この空を墜とすまで
코노 소라오 오토스마데
이 하늘을 떨어뜨릴때까지

私を弔う為の
와타시오 토무라우 타메노
나를 애도하기 위한
花束はいらない
하나타바와 이라나이
꽃다발은 필요없네
心が潰えぬうちに願いを叶えて
코코로가 츠이에누 우치니 네가이오 카나에떼
마음이 무너지기 전에 소원을 이루어줘

見届けてみたい
미토도케떼미타이
끝까지 지켜보고 싶네
人の望みが
히토노 노조미가
사람의 소망이
燦々と光に満ちる時を
산산또 히카리니 미치루 토키오
눈부신 빛으로 가득찰 그 때를

翼を欲しがって誰もが泣いていた
츠바사오 호시갓떼 다레모가 나이떼이타
날개를 원하며 모두가 울고있었던
命が奏でる
이노치가 카나데루
생명이 연주하는
満天のコーラス
만텐노 코-라스
온 하늘의 코러스


焼け焦げた願いが
야케코게타 네가이가
타서 눌어붙은 소원이
空を抉じ開ける頃に
소라오 코지아케루고로니
하늘을 비집어 열 때에
懐かしい故郷は
나츠카시이 코쿄-와
그리운 고향은
きっと花の盛りでしょう
킷또 하나노 사카리데쇼
분명 꽃이 한창일 때겠죠

激しく瞬く星たちの夢の跡
하게시쿠 마바타구 호시타치노 유메노 아토
격렬하게 깜빡이는 별들의 꿈의 흔적

安らぎのあると人の言う
야스라기노 아루또 히토노 이우
평온함이 있다 사람들이 말하는
最果てまで
사이하테마데
그 최후까지
月影優しく
츠키카게 야사시쿠
달그림자여 상냥하게
行く路を教えてよ
유쿠미치오 오시에떼요
갈 길을 알려다오

静かに瞬く星たちの
시즈카니 마바타쿠 호시타치노
조용히 깜빡이는 별들의
祈りの空
이노리노 소라
기도로 가득한 하늘
貴方の叫びで
아나타노 사케비데
그대의 절규로
この夢が終わるまで
코노 유메가 오와루마데
이 꿈이 끝날때까지
}}} ||
과거편인 18화, 19화에서 나온 특별 엔딩. Kalafina의 'to the beginning' 앨범에 커플링 곡으로 수록된 곡이다. 'Fate/Zero OST Vol.1'에 수록된 2번 트랙 'Let the stars fall down'을 어레인지하여 가사를 붙인 곡. 때문에 익숙하게 들릴 것이다. 비장미가 기존 엔딩곡에 비해 더욱 강조되어 있기에 유난히 비극적이었던 18화, 19화에 잘 어울렸다. 제목인 '만천'은 온 하늘, 혹은 하늘을 가득 메운 무언가를 의미하는 말이니 만큼 일반적으론 별 등을 가리키지만, 가사의 첫 단락부터 전혀 다른 것을 의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엔딩 영상은 따로 없고 검은 화면에 캐스팅 목록만 지나간다. 그래서 더욱 황량한 느낌도 든다.[19]

이후 24화에서도 보컬이 삭제된 상태로 등장하는데 이 에피소드는 Fate 시리즈 전체를 통틀어서 굉장히 절망적인 전개가 펼쳐지기 때문에[20] 본 에피소드의 최악으로 암울한 분위기를 더욱 극도로 끌어올린다.

6. 회차 목록

<rowcolor=#e1c56f,#e1c56f> 회차 제목[21]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rowcolor=#e1c56f,#e1c56f> 파트 1
제1화 英霊召喚
영령소환
아오키 에이 스도 토모노리
이카리야 아츠시
日: 2011.10.02.
韓: 2011.10.09.
제2화 偽りの戦端
거짓된 싸움
츠네마츠 케이
(恒松 圭)
츠네마츠 케이 日: 2011.10.09.
韓: 2011.10.16.
제3화 冬木の地
후유키의 땅
사사지마 케이이치
(笹島啓一)
日: 2011.10.16.
韓: 2011.10.23.
제4화 魔槍の刃
마창의 날
스하라 타카시 시미즈 케이타
(清水慶太)
日: 2011.10.23.
韓: 2011.10.30.
제5화 凶獣咆吼
흉수포후
스도 토모노리 스도 토모노리
이카리야 아츠시
日: 2011.10.30.
韓: 2011.11.06.
제6화 謀略の夜
모략의 밤
사사지마 케이이치 노나카 타쿠야
(野中卓也)
모테기 타카유키
(茂木貴之)
日: 2011.11.06.
韓: 2011.11.13.
제7화 魔境の森
마경의 숲
노나카 타쿠야 日: 2011.11.13.
韓: 2011.11.20.
제8화 魔術師殺し
마술사 킬러
아오키 에이 아오키 에이
노나카 타쿠야
츠네마츠 케이
타카하시 타쿠로오
이카리야 아츠시
모테기 타카유키
시라이 토시유키
스도 토모노리
日: 2011.11.20.
韓: 2011.11.27.
제9화 主と従者
주인과 종
스하라 타카시 오부나이 미츠루 日: 2011.11.27.
韓: 2011.12.04.
제10화 凛の冒険
린의 모험
히야마 아키라
(桧山 彬)
오가사와라 아츠시
(小笠原 篤)
키쿠치 준야
(菊池隼也)
日: 2011.12.04.
韓: 2011.12.11.
제11화 聖杯問答
성배문답
후쿠야마 마사루
(福山 大)
시미즈 케이타 日: 2011.12.11.
韓: 2011.12.18.
제12화 聖杯の招き
성배의 인도
노나카 아토
(野中阿斗)
모테기 타카유키 日: 2011.12.18.
韓: 2011.12.25.
제13화 禁断の狂宴
금단의 광연
우다 아키히코
(宇田明彦)
이카리야 아츠시
스도 토모노리
日: 2011.12.25.
韓: 2012.01.01.
<rowcolor=#e1c56f,#e1c56f> 파트 2
제14화 未遠川血戦
미온천 혈전
츠네마츠 케이 스도 토모노리
이카리야 아츠시
日: 2012.04.08.
韓: 2012.04.15.
제15화 黄金の輝き
황금의 빛[22]
사사지마 케이이치 미우라 타카히로 日: 2012.04.15.
韓: 2012.04.22.
제16화 栄誉の果て
영예의 끝
스하라 타카시 시라이 토시유키 日: 2012.04.22.
韓: 2012.04.29.
제17화 第八の契約
제 8의 계약
노나카 타쿠야 모테기 타카유키 日: 2012.04.29.
韓: 2012.05.06.
제18화 遠い記憶
아득한 기억
-sometime,somewhere-
스하라 타카시 키쿠치 준야 日: 2012.05.06.
韓: 2012.05.13.
제19화 正義の在処
정의의 행방
-sometime,somewhere-
미우라 타카히로 시미즈 케이타 日: 2012.05.13.
韓: 2012.05.20.
제20화 暗殺者の帰還
암살자의 귀환
사사지마 케이이치 노나카 아토 후지사키 시즈카
(藤崎静香)
이카리야 아츠시
日: 2012.05.20.
韓: 2012.05.27.
제21화 双輪の騎士
쌍륜의 기사
아오키 에이 우다 아키히코 타카하시 타쿠로오
시라이 토시유키
日: 2012.05.27.
韓: 2012.06.03.
제22화 この世全ての悪
이 세상의 모든 악
무로이 후미에
(室井ふみえ)
노나카 아토 모테기 타카유키 日: 2012.06.03.
韓: 2012.06.10.
제23화 最果ての海
세상 끝 바다
츠네마츠 케이 이카리야 아츠시
스도 토모노리
日: 2012.06.10.
韓: 2012.06.17.
제24화 最後の令呪
최후의 영주
아오키 에이 아오키 에이 키쿠치 준야
시미즈 케이타
시라이 토시유키
후지사키 시즈카
日: 2012.06.17.
韓: 2012.06.24.
제25화 Fate/Zero 아오키 에이
츠네마츠 케이
노나카 타쿠야
스도 토모노리
이카리야 아츠시
日: 2012.06.24.
韓: 2012.07.01.

7. 각 화 참여 원화 애니메이터

회차 원화
<rowcolor=#e1c56f,#e1c56f> 파트 1
제1화 키무라 마사루, 쿠니히로 마사유키, 야스다 신스케(安田慎介), 시라이 토시유키, 타카하시 사토시(高橋 聡), 키무라 마사히로(木村雅広), 오오마가리 타케요시(大曲健克), 키쿠치 준야(菊池隼也), 후쿠야마 마사루(福山 大), 우메다 타카츠구, 이지마 케이코(井嶋けい子), 이시즈카 미유키(石塚みゆき), 후지사키 시즈카(藤崎静香), 야마자키 미키(山崎美紀), 이가라시 사토미(五十嵐理美), 미우라 타카히로, 타카하시 타쿠로오, 오가사와라 아츠시(小笠原 篤), 오부나이 미츠루
제2화 키무라 마사루, 오오마가리 타케요시, 키쿠치 준야, 노나카 아토(野中阿斗), 이토 유이치(伊東優一), 츠지 마사토시, 니와 야스토시(丹羽恭利), 코노 에츠코(河野悦子), 스도 토모노리, 이카리야 아츠시
제3화 키무라 마사루, 시라이 토시유키, 야스다 신스케, 나가모리 마사토(永森雅人), 이카리야 아츠시
제4화 쿠니히로 마사유키, 키무라 마사루, 오오마가리 타케요시, 아베 노조무, 타케우치 마사시(竹内 將), 코야마 마사하루(小山将治), 후지사키 시즈카, 키무라 마사히로, 니와 야스토시, 시모츠카사 아키오(下司晃生), 스하라 타카시, 시미즈 케이타(清水慶太)
제5화 쿠니히로 마사유키, 키무라 마사루, 오오마가리 타케요시, 코야마 마사하루, 타케우치 마사시, 키무라 마사히로, 우스키 키요타카(臼木清貴), 슈토 타케오(首藤武夫), 시라이 토시유키, 후지사키 시즈카, 이시즈카 미유키, 야마자키 미키, 시모츠카사 아키오, 미마타 히로시(三股浩史), 시모다 쇼타로(下田正太郎), 야마치 케이코(山地京子), 히나타 마사키(日向正樹), 카츠키 쿠니오(香月邦夫)
제6화 나가모리 마사토, 우토 코스케(宇都功介), 무라카미 류노스케(村上竜之介), 츠지 마사토시, 이토 유이치, 야마모토 신지(山元伸治), 카네하라 나츠미(金原夏美), 하타노 유시로(旗野遊史朗), 시미즈 아이코(清水愛子), 모테기 타카유키(茂木貴之)
제7화 이토 유이치, 츠지 마사토시, 나가모리 마사토, 무라카미 류노스케, 우토 코스케, 하타노 유시로, 타카하시 사토시, 코노 에츠코, 야마모토 신지, 모테기 타카유키
제8화 야스다 신스케, 미우라 타카히로, 우메다 타카츠구, 야마모토 신지, 나가모리 마사토, 츠지 마사토시, 무라카미 류노스케, 우토 코스케, 이토 유이치, 모테기 타카유키, 아오키 타쿠야(青木拓也), 아베 노조무, 시라이 토시유키, 코야마 마사하루, 타케우치 마사시, 이카리야 아츠시, 키무라 마사루, 타카하시 사토시, 시모츠카사 아키오, 사사지마 케이이치(笹嶋啓一), 카츠키 쿠니오, 오오마가리 타케요시, 스도 토모노리
제9화 미우라 타카히로, 키무라 마사루, 야스다 신스케, 니와 야스토시, 타케우치 마사시, 우메다 타카츠구, 노나카 아토, 야마자키 미키, 이시즈카 미유키, 후지사키 시즈카, 혼마 유카(本間友佳), 이가라시 사토미, 스하라 타카시, 오부나이 미츠루
제10화 니와 야스토시, 이토 테츠히토(伊藤哲人), 이시즈카 미유키, 야마자키 미키, 코야마 마사하루, 후쿠야마 마사루, 우다 아키히코(宇田明彦), 안지키 케이(安食 佳), 쿠니히로 마사유키, 오오마가리 타케요시, 키쿠치 준야, 오가사와라 아츠시
제11화 시미즈 케이타, 이토 테츠히토, 키무라 마사히로, 후지사키 시즈카, 우메다 타카츠구, 나카무라 마코토, 니와 야스토시, 키무라 마사루, 우스키 키요타카, 타카하시 사토시, 슈토 타케오, 스하라 타카시
제12화 우토 코스케, 하타노 유시로, 무라카미 류노스케, 야마모토 신지, 이토 유이치, 츠지 마사토시, 카네하라 나츠미, 노나카 아토
제13화 시모츠카사 아키오, 야마자키 미키, 이시즈카 미유키, 슈토 타케오, 니와 야스토시, 오오이시 미에(大石美絵), 야스다 신스케, 우다 아키히코, 쿠니히로 마사유키, 이카리야 아츠시, 오부나이 미츠루, 우스키 키요타카, 아오키 타쿠야, 오오마가리 타케요시, 시라이 토시유키
<rowcolor=#e1c56f,#e1c56f> 파트 2
제14화 키무라 마사루, 오오마가리 타케요시, 나카무라 마코토, 후쿠야마 마사루, 마츠다 소이치로, 시모츠카사 아키오, 오부나이 미츠루, 쿠니히로 마사유키, 키쿠치 준야, 니와 야스토시, 타카하시 사토시, 코야마 마사하루
제15화 오부나이 미츠루, 이토 테츠히토, 야스다 신스케, 우스키 키요타카, 아베 노조무, 후지사키 시즈카, 타케우치 마사시, 아오키 타쿠야, 오가사와라 아츠시, 타카하시 사토시, 우다 아키히코, 모리 사토시(森 賢), 한자와 아야(半澤 彩), 야마모토 치에(山本知絵)
제16화 이시즈카 미유키, 후쿠야마 마사루, 니와 야스토시, 키무라 마사루, 오오마가리 타케요시, 야마자키 미키, 코야마 마사하루, 시모츠카사 아키오, 나카모리 코타로(中森晃太郎), 우메다 타카츠구, 세라이 유카코(瀬来由加子), 시라이 토시유키
제17화 츠지 마사토시, 야마모토 신지, 무라카미 류노스케, 우토 코스케, 카네하라 나츠미, 이토 유이치, 모테기 타카유키
제18화 오부나이 미츠루, 타케우치 마사시, 우스키 키요타카, 야스다 신스케, 정영훈(チョン ヨンフン), 오가사와라 아츠시, 아오키 타쿠야, 키쿠치 준야, 후지사키 시즈카, 시오지마 유카(塩島由佳), 스하라 타카시, 시모츠카사 아키오, 세라이 유카코, 코바야시 아유미(小林あゆみ), 카와무라 이쿠미(河村郁美), 타카하시 사토시
제19화 사이토 요시나리, 아오야기 류헤이(青柳隆平), 나가카와 모모코(永川桃子), 나카니시 마미코(中西麻実子), 시게하라 카츠야, 시모츠카사 아키오, 오오마가리 타케요시, 키무라 마사루, 우메다 타카츠구, 이시즈카 미유키, 코야마 마사하루, 니와 야스토시, 나카무라 마코토, 오가사와라 아츠시, 타카하시 사토시, 카와무라 이쿠미, 야마자키 미키, 미우라 타카히로, 시미즈 케이타
제20화 카토 미호(加藤美穂), 요시하마 노부유키(吉浜伸之), 무로타 에리(室田恵梨), 카미야 토모미, 나카모리 코타로, 시오지마 유카, 코바야시 아유미, 아오키 타쿠야, 야스다 신스케, 정영훈, 우메다 타카츠구, 우스키 키요타카, 야마모토 치에, 노나카 아토, 이카리야 아츠시
제21화 키무라 마사루, 오부나이 미츠루, 쿠니히로 마사유키, 오오마가리 타케요시, 이시즈카 미유키, 쿠도 토시하루(工藤利春), 야마자키 미키, 니와 야스토시, (伊島名畝), 나카타 히로후미(中田博文), 후쿠야마 마사루, 한자와 아야, 타가시라 사오리(田頭沙織), 카나이 유코(金井裕子), 츠치가미 아야카(辻上彩華), 무로타 에리
제22화 이토 유이치, 사토 테츠히토(佐藤哲人), 카네하라 나츠미, 츠지 마사토시, 우토 코스케, 무라카미 류노스케, 나가모리 마사토, 야마모토 신지, 후지사키 시즈카
제23화 이카리야 아츠시, 타케우치 마사시, 키무라 마사루, 나카무라 마코토, 스하라 타카시, 세라이 유카코, 타나카 오리에(田中織江), 타카하시 사토시, 코마츠바라 키요시(小松原 聖), 쿠니히로 마사유키, 오오마가리 타케요시, 마츠다 소이치로, 나카모리 코타로, 요시하마 노부유키, 카와무라 이쿠미, 야마모토 치에, 카미야 토모미, 오부나이 미츠루, 슈토 시오리(首藤志保里), 모테기 타카유키, 노나카 아토
제24화 오부나이 미츠루, 야스다 신스케, 시모츠카사 아키오, 타카하시 사토시, 니시다 아사코, 닛타 야스나리(新田靖成), 야마다 유케이, 나카무라 마코토, 정용훈, 셴홍(沈宏), 타케우치 마사시, 아오키 타쿠야, 코야마 마사하루, 우메다 타카츠구, 야마자키 미키, 후쿠야마 마사루, 우스키 키요타카, 시오지마 유카, 한자와 아야, 마루 히데오(丸 英男), 니와 야스토시, 키쿠치 준야, 시미즈 케이타
제25화 쿠니히로 마사유키, 오가사와라 아츠시, 시라이 토시유키, 야스다 신스케, 후지사키 시즈카, 아오키 타쿠야, 무라카미 류노스케, 사토 테츠히토, 모테기 타카유키, 우토 코스케, 이토 유이치, 야마모토 신지, 츠지 마사토시, 카네하라 나츠미, 노나카 아토, 카토 미호, 아오야기 류헤이, 아라카와 마사츠구(荒川真嗣), 치바야마 나츠에(千葉山夏恵), 무로타 에리, 스도 토모노리

8. 해외 공개

8.1. 대한민국

한국에선 애니플러스 애니맥스 코리아[23]에서 모두 방영되었다.[24][25] 그 외 애니플러스에서 BD BOX를 정식발매하였다. 다만 애니플러스에서만 판매하고 있다.

9. 평가

본 작품의 원작이 2011년도 최대 화제작인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의 각본을 담당했던 우로부치 겐이 집필한 작품임이 알려지면서 방영 전부터 큰 화제를 모았고, 수많은 팬들이 2006년 소설 발매 당시부터 오랜 시간 동안 영상화를 기대한 작품인 만큼 방영이 시작되면서 더욱 높은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2012년 3월 7일에 발매된 Fate/Zero 파트 1 블루레이 박스의 판매량은 4만 3천 세트로, 오리콘 주간 차트 1위를 차지함과 동시에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블루레이 컴플리트 박스'가 세운 약 3만 1천 세트의 기록을 누르며 첫 주 매상 역대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26] Fate/Zero 파트 2 블루레이 박스 또한 파트 1과 비슷한 수치로 첫 주에 4만 2천 세트가 팔리며 압도적인 1위를 차지.

또한 Fate/stay night가 TV애니메이션으로 방영된 당시 잡지 뉴타입 인기랭킹에서 단 한 부문도 1위를 차지하지 못했으나 Fate/Zero방영 전에 이미 작품 부문 1위, 세이버가 여성 캐릭터 랭킹 1위를 차지하면서 정식 ISBN판의 발매된지 얼마 되지도 않았던 원작 소설의 높은 인기를 입증하더니 기어이 남성 캐릭터 부문마저 라이더가 1위를 차지. 현대의 트렌드를 완전히 벗어난 작품과 캐릭터임에도 모든 인기랭킹에서 1위를 차지하는 놀라운 성과를 일구어냈다. 이후 발매된 2012년 6월호에서는 세이버 라이더가 역시나 1위에 랭킹한데 이어서 길가메쉬 또한 2위에 랭킹, 오랜만에 동일 작품에서 1,2위를 모두 차지하며 '캐릭터 랭킹에서조차 왕들의 광연 중'이라며 열띤 호응을 받고 있다. 랜서 또한 이전 투표에서 6위로 작중 인물중에서는 라이더 다음의 순위에 랭킹되더니 6월호에서는 4위에 랭크되고 에미야 키리츠구가 8위로 재진입, TOP 10중 무려 4명이 Fate/Zero 캐릭터들이 차지하는 위업을 달성하였다. 7월호에서도 연속으로 전 부문 1위를 가져가고 있다. 방영 종료 후에도 꾸준히 선두권을 유지하다가 1위를 재탈환하는 등 식지 않은 인기를 과시 중.

마치아소비에서 개최된 뉴타입 아니메 어워드 2012에서 작품상을 수상, 비평과 흥행 양쪽 면에서 인정 받았다. 사운드상, CM상, 스튜디오상에서도 1위를 수상하였고 남성 캐릭터 부문에서는 라이더가, 남성 성우 부문에서는 라이더를 연기한 오오츠카 아키오가 수상하였다. 게다가 전 부문에서 1위 아니면 2위에 Fate/Zero가 랭크되는 이른바 제로 무쌍을 달성.

작품 내적인 평가에서도, 작화 및 액션신의 연출이 뛰어나 높은 평가를 받았다. 작화의 경우에는 물방울에 비치는 장면까지 빠짐없이 묘사하는 등의 연출로 "작화팀을 갈아넣는다."는 말이 심심찮게 나올 정도. 이런 안정적인 작화에 힘입어 액션씬의 박력도 대단하며, 특히 풀 3D 처리한 캐릭터가 날뛴 5화와 속도감 넘치는 공중전을 보여준 14~15화 등에서는 갈채를 받았다. 언급되지 않은 전투 장면도 원작의 세세한 요소까지 반영하며 높은 평가를 이어갔다.

반면, 액션신이 없는 정적인 연출이나 이야기 분배 면에서는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꽤 괜찮은 퀄리티가 나온 극장판 공의 경계는 본디 좀 정적인 작품이라 유포테이블의 정적인 연출과 꽤 어울렸던 반에, 원래부터 화려했던 페이트제로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대화하는 인물들을 통째로 잡아두고 그대로 목소리만 나오게 하는, 소위 CCTV인 연출이 잦다는 것이 주된 비판. 이런 연출의 부족함은 텍스트에 비하면 캐릭터 각각의 내면묘사를 상세하게 할 수 없다는 애니메이션의 한계와 맞물려 원작 소설을 보지 않은 시청자들이 캐릭터의 행동을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고 한다. 또한 아오키 에이 감독이 선호하는 '설명을 최대한 자제하고 화면을 통해 보여주는' 연출과 맞물려서, 덕분에 관련 게시판에는 각 화가 종료된 이후 '무엇 때문에 그런거냐', '어떻게 한거냐', '그건 뭐냐' 라는 맥락의 질문 글들이 빼곡히 올라온다.[27]

이야기의 비중 분배에서도 특정한 인물들에게 지나치게 시간을 많이 할애해서 그만큼 다른 인물들의 분량이 줄어든다는 데에 대한 불만이 표출되고 있다. 단순히 시간 문제 뿐 아니라 작화의 질까지 떨어지는(...) 기현상을 보인다. 특히 오리지널 에피소드였던 10화에서 어린 토오사카 린 에피소드에 한 화 전체를 투자하고 최상급의 작화를 보여준 반면 직후 11화의 성배문답 편은 연출·작화 양쪽 모두 크게 미흡했던 사건이 터지면서 이 문제가 크게 불거지게 되었다. 이후 그 정도로 크게 논란이 되는 문제는 벌어지지 않고 있으나, 파트 2에 들어선 이후에도 큰 의미 없는 장면에 시간을 많이 할애하고, 그 전후의 장면에서 배우들이 을 하듯이 대사를 빨리 말하는 경우가 심심찮게 반복되고 있다. 시간 제한 없이 성우의 재량껏 녹음을 할 수 있었던 드라마 CD가 이미 존재하는지라 애니메이션의 연기와 비교하기 쉽다는 것도 약점을 잘 드러내게 하는 요소.

그러나 이러한 연출을 호의적인 시선으로 보는 이들 또한 많이 있다. 아라카와 언더 더 브릿지, 바케모노가타리를 연출한 신보 아키유키 감독은 잡지 뉴타입에서 연재하는 자신의 칼럼에서 "보통 어깨에 힘이 들어가기 마련인데 차분한 장면으로 구성된 것이 자연스럽게 연출해서 강한 의욕이 보이지 않는 것이 오히려 좋다."고 언급하였고, 카지우라 유키 또한 'ufotable의 연출은 프레임 바깥까지 펼쳐진 듯한 깊이 있는 영상과 광원효과가 무척이나 인상적으로 그러한 영상에 맞추어 음악을 만들고 있다.'라고 인터뷰에서 설명하였다.

자주 언급되는 카메라가 한 바퀴 도는 회전 시점 연출 또한 실사에서나 볼 수 있는, 애니메이션에서는 상당히 표현이 어려운 연출 기법으로 시청자들이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묘사되는 극중 인물의 심정에 몰입하는데 효과적인 안배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원작 소설과는 인물이 서있는 위치가 다르고 세세하게 묘사된 경우가 많은데, 이는 인물의 위치만으로도 직접적인 대사보다 더 많은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기에 이러한 롱테이크 기법의 특징을 잘 알고 감상한다면 정적인 이야기 파트 연출에서 기존의 애니메이션과는 다른 매력을 느낄 수 있다. 성우 나카타 조지 또한 "그림의 밀도나 아름다움에 시선을 빼앗기기 쉽지만 캐릭터의 일상적인 표현이나 동작에도 주목해보면 얼마나 세세한 부분까지 표현되어 있는지 느끼실 겁니다."라고 인터뷰에서 당부하였다.

이 작품을 기점으로 Fate 시리즈의 인기가 다시 반등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이후에 Fate/stay night [Unlimited Blade Works] , Fate/Grand Order와 같은 초 인기작을 내는 기반이 되었기에 어찌보면 TYPE-MOON의 기념비적인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9.1. 원작자로부터의 피드백

Fate/stay night TV애니메이션이 방영된 2006년의 애니메이션 잡지 기사들을 살펴보면, 원작자인 나스 키노코 타케우치 타카시의 인터뷰들에서 S/N 애니메이션의 연출이나 작화, 액션, 나아가 스튜디오 딘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었음을 알 수 있다. 오히려 원작에는 없던 음성이 들어갔다는 측면만 높이 평가하여 기사 대부분이 성우진 인터뷰와 성우의 연기에 대한 칭찬으로 채워졌고 스태프 인터뷰 또한 성우진의 연기를 직접적으로 지도하고 캐스팅에도 관여한 음향 감독 츠지타니 코지[28]가 메인으로 담당하였다. 감독인 야마구치 유지는 신작 애니메이션 특집 기사와 완결 애니메이션 특집 기사에만 등장했을 뿐이다.[29] 심지어 4년 뒤에 만드어진 극장판 Unlimited Blade Works에서도 잡지를 보면 애니메이션 메인 스태프 인터뷰는 츠지타니가 담당하였다.

그에 반해 Fate/Zero 애니메이션 관련 기사는 일찌감치 작화, 연출, 액션 씬, 음악, CG, 음향, 성우진 연기 등 애니메이션이라는 영역(필드)에서 보여줄 수 있는 거의 모든 점에 대해서 꾸준히 특집 기사를 다루고 있으며 원작자인 나스, 타케우치, 우로부치 겐도 위의 사항들을 매우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ufotable을 향해 칭찬과 의견제시를 아끼지 않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가장 단적인 예로, 스튜디오 딘 페스나 애니메이션 제작 당시 나스가 TYPE-MOON 대표로 매주 애프터레코딩에 참관하였는데 그때 나스가 전해준 말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소감이 무엇이냐고 묻자 타케우치는 “‘이리야 짱이 너무 귀여워!’ 정도..? 그 말은 자주해서 기억에 남는군요.”라고 소극적으로 대답하였다. 반면 Fate/Zero에 관련하여 나스는 “지난번에 완성된 그림 콘티를 보고 '부럽다!'라고 외쳤어요. 질투가 난 거죠. 어째서 이 현장에 제가 없는 건가요! 후회스럽습니다.”라고 아주 적극적으로 어필하고 있다.[30]

이에 걸맞게 2011년 뉴타입 11월호 부록 책자에는 스무 명이 넘는 ufotable 스태프들에게 Fate/Zero 애니메이션에 관한 Q&A 식 인터뷰 기사를 수록하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애니메이션 잡지에도 감독과 시나리오 라이터, 성우진 위주로 기사가 작성된다는 것을 생각하면 매우 이례적인 경우로 그만큼 크리에이터들에게 주목 받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후에도 감독인 아오키 에이를 비롯한 ufotable 스태프와 음악 감독인 카지우라 유키의 인터뷰가 꾸준히 실리고 있다.

9.2. 다크 나이트와의 유사점

2011년 2월호 뉴타입에서 Fate/Zero 애니메이션 특집이 처음으로 다루어지면서 감독 아오키 에이가 페이트 제로의 방향성은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의 배트맨 시리즈 중 《 다크 나이트》라고 언급한 사실이 잡지 발매 전 플라잉으로 알려지면서, 《다크 나이트》 팬이 특히 많은 한국에서 이상만 크다느니, 주제를 모르는 소리라는 등 부정적인 반응만 나왔다.

그러나 이는 인터뷰 기사의 극히 일부만 잘라내어 편협한 해석을 강조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원문을 살펴보자.

Q. 이번 Fate/Zero를 만들면서 스태프들과 어떤 방향성을 가진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자고 말씀하고 계신가요?

A. 배트맨의 《다크 나이트》를 목표로 삼자고 스태프들과 이야기합니다. 배트맨 시리즈에는 팀 버튼 감독의 작품도, 코미디 색깔이 강한 조엘 슈마허 감독의 작품도 있지만, 그 중에서도 《다크 나이트》의 이미지입니다. 무게감 있는 하드보일드한 작품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2월호 정식 발매 3주 전에 이미 위의 해석만이 강조되어 끊임없이 언급되었고, 게다가 잡지 정식 발매 후에도 직접 뉴타입을 구매하여 위의 기사 원문을 읽은 이보다 인터넷 논란만을 접한 사람들의 숫자가 훨씬 많았기에, 방영 전에도 루리웹에선 《다크 나이트》를 언급하여 악플을 다는 이들이 적지 않았다.

정작 일본에서는 별다른 논란거리가 되지 않았고, 이후에도 아오키 감독과 원작자인 우로부치 겐은 인터뷰에서 《Fate/Zero》 제작에 대하여 영화적인 연출과 배경화면을 자주 언급하며 자신들이 이러한 작품의 팬임을 밝혔다.

방영 후, 많은 시청자들은 타 작품들과 차별화되는 《Fate/Zero》 특유의 사실적이면서도 무거운 질감의 연출에 만족하였고 따라서 위의 논란은 거의 사라진 상태. 오히려 최근 댓글들을 보면 《다크 나이트》와의 우열을 언급하며 비난한 악플에 대해 '그런 인터뷰가 아닌, 배트맨 시리즈 중에서도 《다크 나이트》와 같은 하드보일드한 작품을 지향한다는 내용이었다'며 논리적인 반론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24화에서 정말로 《다크 나이트》를 오마주한 장면이 나왔다. 키리츠구와 키레이가 대결하는 장소가 다크나이트에 등장하는 배트맨의 비밀기지이다. 또한 24화에서 키리츠구가 성배 내부로 들어가서 300명이 승선한 배와 200명이 승선한 두 개의 배 중에 하나만 선택하는 장면도 다크나이트에서 다룬 죄수의 딜레마를 차용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다크나이트의 경우는 양측 배에 승선한 인원이 동일한 상황에서 승선한 사람들에게만 해당되는 죄수의 딜레마를 충실히 반영했고, 24화에서는 양측 배의 인원이 다를 뿐더러 키리츠구가 승선한 인원이 아닌 제3자의 입장에서 선택을 하는 내용이라 차이점은 있다.[31]

10. 원작과의 차이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ate/Zero/애니메이션/원작과의 차이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읽으며 독자들이 스스로 상상하게 만드는 소설과 달리 영상의 경우 보여주는 면이 정해져 있는 데다 2쿨, 총 25화로 소설 4권(개정판은 6권.)의 중심 이야기를 다 넣다보니 당연히 원작과 상이한 점이 있다. 소설의 내용을 단축하는 동시에 비교 등의 효과를 높이려 작위적으로 훌륭하게 바꾼 부분이 꽤 있으니 비교하며 시청하는 것도 재미 중 하나.

11. 한국과 일본에서의 선행상영회 대성공

파트 2 방영을 앞두고 애니플러스는 코엑스 메가박스에서 13, 14, 15화의 세 편 연속 선행상영 이벤트를 계획하였다. 2012년 3월 19일 정오, 예매가 시작되자 약 5분 만에 500장이 전부 매진되며 마감되었다. 이에 애니플러스는 팬들의 열정에 보답하듯 예정되지 않았던 추가 상영관을 확보, 약 300장을 추가로 예매하여 이조차도 일찌감치 매진시키는 성과를 보였다.

선행상영회에서는 우로부치 겐이 한국 팬에게 전하는 친필 메시지도 공개되었다. Google 번역기를 이용했기에 문법이 안 맞는 부분도 있으나 이해못할 정도의 내용은 아니며 오히려 한국 팬에 대한 진솔한 애정이 담겨 있다 하여 호평을 받았다. # 기념품 추첨에서는 고급 피규어와 Fate/Zero 일본판 블루레이 박스가 선물로 전해졌다.

티켓 배포시 관객 전원에게 선물한 포스트카드는 일본 상영회와 동일한 특전이었다. 그리고 함께 나누어준 Fate/Zero 애니메이션 1, 파트 2 키비주얼 일러스트로 제작된 양면 포스터는 초고급 재질의 종이에 인쇄되어 소장가치를 높였고, 영화관 곳곳에 캐릭터 등신대 모형을 설치하여 팬들이 즐겁게 기념사진을 촬영하는 모습이 눈에 띄었다.

애니플러스 대표와의 인터뷰를 보면 일본 쪽도 한국의 Fate/Zero 선행상영회의 흥행에 대해 놀라움을 표했다고 한다. 선행상영회를 성공리에 마친 후, 참석자들에게 설문조사 이메일이 발송되었으며 설문에 응할 경우 애니플러스 멤버십 15일 이용권이 추가로 증정되었다.

12. ufotable의 Fate/stay night 애니화

2013년 7월 13일에 극장판 공의 경계 제1장 '부감풍경'이 재개봉할 당시에 극장에서 나온 PV를 본 사람들의 말에 따르면 헤븐즈 필 루트일 가능성이 높아 보였다고 한다. 호오가 극단적으로 갈리는 루트다보니 벌써부터 달빠들은 찬반으로 갈라져 곳곳에서 키배가 벌어지는 중이었으나, 정식 PV가 나온 것을 보면 헤븐즈 필 루트가 아닐 가능성이 높아 보였다.

2013년 7월 27일 Fate 프로젝트 발표회에서 결국 TV판은 무한의 검제, 극장판은 헤븐즈 필로 정해졌다.

13. BD 특전: 부탁해! 아인츠베른 상담실

BD박스 특전으로 부탁해! 아인츠베른 상담실이 수록되어 있다. 주역은 아이리스필과 정체불명의 여자.

14. 기타

14.1. 니코니코 동화의 한국어 자막 해프닝

특이하게도 니코니코 동화에서 전세계에 8개 언어( 한국어, 중국어 번체자, 중국어 간체자,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로 자막을 첨부한 영상을 무료전송하였다. 전송 사이트[39] 이 영상은 일본에서 접속이 차단되었다.[40] 니코동 방영시 한국어 자막 수준이 왈도체이라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 자세한 것은 Fate/Zero/애니메이션/자막 참고.

다만 이 작품을 소설판으로 보지 않고 애니메이션으로 처음 접하는 사람은 틀자마자 코멘트를 끄고 보기를 권한다. 코멘트에 스포일러가 아주 한가득하니 페이트 제로를 끝까지 보지 않았다면 반드시 꺼야한다. 온갖 개드립과 스포일러가 난무하기 때문에 애니를 보는 건지 디씨를 하는 건지 분간이 안 갈 정도다. 속칭 페이트 제로 갤러리로, 이젠 영상 초반부에 입갤이라는 탄막이 지나가는 경지에 이르렀다.

만일 페이트 제로 원작을 끝까지 본 사람이라면 한 번 다 본 뒤에 코멘트 켜고 다시 보도록 하자. 몬더그린을 이용한 개그,[41] 웨이버 등장시의 각종 게이스러운 코멘트들, 자막의 오역을 비웃는 개그[42] 등을 비롯해 매 화마다 온갖 각종 코멘트들이 쏟아져나왔다. 영상에 달리는 태그는 개드립 일베(커뮤니티 사이트 말고 일간 베스트 게시물)나 다름없다(…)

파일:attachment/Fate/Zero/애니메이션/vs.jpg

광매체까지 발매가 완료된 후, 니코동에서는 한국 IP에서의 관람을 막아버려 현재는 그 당시의 난리통을 직접 볼 수는 없어졌다. Fate/Grand Order 한국 정식 출시 후, 특별상영관에서 First Order, UBW와 더불어 애니플러스판이 기간한정 무료상영되기도 했다. 제로는 오픈 직후인 2017년 12월, 제로 콜라보를 앞둔 2018년 6월에 각각 1개월씩.

15. 관련 문서

16. 둘러보기

||<-4><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11245c><color=white><#11245c>
||<tablebordercolor=#11245c><tablebgcolor=#11245c> 파일:tmlogohd.png || TYPE-MOON 세계관
기반 애니메이션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0px -11px; min-width: 50%"
{{{#!folding [ Fate 시리즈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stay night
스튜디오 딘 제작
Fate/stay night
Unlimited Blade Works
ufotable 제작
Unlimited Blade Works
Heaven's Feel
presage flower | lost butterfly | spring song
에미야 가의 오늘의 밥상
Grand Order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First Order MOONLIGHT/LOSTROOM Grand Carnival
절대마수전선 바빌로니아 신성원탁영역 카멜롯
Wandering; Agateram | Paladin; Agateram
관위시간신전 솔로몬 }}}
만화로 배우는! Fate/Grand Order 후지마루 리츠카는 잘 모르겠다
kaleid liner
프리즈마☆이리야
2wei! | 2wei herz! | 3rei!!
설하의 맹세 프리즈마 판타즘 Licht: 이름없는 소녀
Zero Apocrypha
Zero Apocrypha
EXTRA 로드 엘멜로이 Ⅱ세의 사건부
EXTRA Last Encore {Rail Zeppelin} Grace note
strange Fake
Fate/strange Fake -Whispers of Dawn- Fate/strange Fake
TVA
OVA
극장판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0px -11px; min-width: 50%"
{{{#!folding [ 기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월희 뱀파이어 레전드 진월담 월희
공의 경계 부감풍경 | 살인고찰(전) | 통각잔류 | 가람의 동 | 모순나선 | 망각녹음 | 살인고찰(후) | 에필로그| 미래복음 | 미래복음 ec
마법사의 밤 마법사의 밤
크로스오버 카니발 판타즘
TVA
OVA
극장판
}}}}}}}}}||



[1] 사토 카즈하루(佐藤和治), 히야마 아키라(桧山 彬), 요시다 아키히로(吉田晃浩). [2] 1화는 1시간 분량에 맞춰 00:00에 편성되었다. [3] 1화 한정 48분 편성. [4] 드라마 CD와 동일 [5] 세이버의 마스터인 키리츠구와 어쌔신의 마스터인 키레이가 대립하게 된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볼 수도 있다. [6] 그 전엔 엔젤비트의 걸데몬이라는 밴드의 명의로 낸 곡들이 있다. [7] 이 곡으로 데뷔한 가수. 평소에 입을 가리는 컨셉으로 자켓 또는 블로그에서까지 그렇게 했었다. 최근에는 얼굴이 공개되어서 그런 컨셉은 줄었다. [8] 초반의 체스판과 말은 12화에서 누군가의 소유물로 밝혀졌다(...). 위의 영상 17초 기준. 왼쪽부터 라이더, 어새신, 랜서, 세이버, 아처, 버서커, 캐스터 순서로 배열되어있다. [9] 아카이브 [10] FGO 이후로 랜스 형태로 정립된 현재의 롱고미니아드와 달리, 과거의 설정대로 장창의 형태로 그려졌다. [11] 스도가 잘 못 그리는 캐릭터들은 얼굴이 안 보이거나 뒤통수만 나온다. [12] 제목에서도 원작의 Zero(0=無)가 아닌 시작이라는 단어가 대신하고 있다. [13] 특히 32초 부근에 마스터들이 모이는 장면을 보면 오른쪽부터 사망 순이다. 하지만 다른 마스터들과 정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는 웨이버의 모습은 그들과는 다른 행보와 결말을 맺을 것을 암시하고 있다. [14] 이후 등장하는 마이아와 아이리의 경우 뭔가에 쫓기는 것처럼 시선을 피한 채로 초조하게 자리를 뜬다. 그러나 세이버는 거울을 정면으로 응시하며 넥타이를 고쳐매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인다. [15] 2절은 관점에 따라 아이리도 가능하다. [16] 이 곡으로 데뷔한 신인가수. MV에서 평소 좋아하는 고스로리 의상을 입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17] 애니 본편에서 보여주는 냉혈적인 모습을 떠올려보면 56초 쯤 돼서 만감이 교차한다. [18] 2분 30초에 나오는 여자는 카렌 이다. [19] 특히 해당 화의 전개가 18화에선 키리츠구가 자기 아버지를, 19화에선 어머니나 다름없던 사람을 죽이고 난 뒤라 더욱 비장함과 애절함이 묻어난다 [20] 키리츠구는 앙리 마유가 보여주는 환상속에서 자신이 평생을 추구하던 정의의 사도가 틀렸다는 것을 깨닫고 앙리 마유의 환상이 보여준 자신의 아내와 딸마저 자신의 손으로 죽이면서 그들과 영영 이별하게 되었으며, 세이버는 랜슬롯과의 싸움에서 자신의 무력함을 깨달은채 자신이 브리튼의 왕이 됐으면 안됐었다며 절망한다. 어찌저찌 랜슬롯을 이기고 성배에 도착한 세이버는 길가메쉬에게 일방적으로 밀리다가 키리츠구의 최후의 영주로 인하여 자신의 죄를 씻기 위해 그토록 필요했던 성배를 자신의 손으로 파괴하게 되고, 파괴된 성배에서 흘러나온 앙리 마유로 인해 후유키 시의 수많은 무고한 시민이 목숨을 잃게 된다. [21]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22] 이건 Fate/Stay Night Realta Nua의 OP 이름이기도 하다. 거기서도 세이버의 엑스칼리버를 상징하는 의미였으니. [23] 애니맥스는 5차를 소재로 한 Fate/stay night를 더빙한 전적이 있다. [24] 계약상의 문제로 애니플러스가 먼저 계약한 후 애니맥스가 계약하여 애니플러스 방영버전을 그대로 송출해야 했다. [25] 공교롭게도 애니플러스는 2023년에 애니맥스 코리아를 인수하여 한 식구가 되었다. [26] 하루히의 경우 전편을 묶은 블루레이 박스만이 나온 Fate/Zero와 달리, 따로 DVD가 먼저 팔리고 난 뒤에 나온 블루레이 박스가 또 저만큼 팔린것이긴 하지만 그래도 Fate/Zero가 엄청난 판매량을 달성한건 분명한 사실. [27] 여담으로 아오키 에이 감독의 이 특성은 훗날 알드노아. 제로의 감독이 되었을때 안좋은 의미로 포텐이 폭발해버려, 엄청난 비판을 받게 된다. [28] 애니메이션 2화에서 토오사카 토키오미의 목소리 연기도 담당하였다 [29] 신작/완결 특집 기사는 워낙 감독들의 코멘트 위주로 구성된 기획 기사다. [30] 이 인터뷰가 Fate/Zero TV방영 9개월 전의 것임을 감안하면 스튜디오 딘은 일찌감치 원작자에 의해 버려졌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결국 2014년 4분기부터 나스의 작품인 페스나도 유포테이블에서 제작하고 방영하기 시작했으니 소원(?)을 이뤘다고 볼 수 있겠다. 제작진에 의하면 원작에 없는 오리지널 장면들은 거의 다 그가 쓴것이며 매 회 제작때마다 빠짐없이 출석해서 거의 애니 제작진이라 불러도 좋을 정도라고 한다. [31] 게다가 다크 나이트에서는 해피엔딩으로 끝나지만, 이 애니메이션은 주인공의 신념을 깨뜨리는 암울한 결과가 된다. 여담으로 이동진 평론가는 이 장면을 영화의 명장면으로 꼽고 둘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을 포기하여 둘 다 살 수 있다고 했는데, 여기선 그 반대다. 강제적으로 선택하게 되고 둘 다 죽고 만다. [32] 이 부분의 경우 결국 애니플러스 애니맥스 방영분에서는 '여색'이라고 번역되었다. 물론 의미 자체는 많이 바뀌지 않았으므로 그렇게 순화된 거라고는 볼 수 없다. [33] 특히 사쿠라의 음충 능욕씬은 성폭행이라는 설정을 배제하고 보더라도 수백 마리의 벌레떼가 사람 위를 기어다니는 끔찍하고 징그러운 광경을 지켜보는 것 자체가 엄청난 거부감과 혐오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34] 여담으로 한국에 방영된 페제와 클레이모어는 공통점이 꽤 많은데, 둘 다 장르가 액션 판타지라는 점, 한국에서는 애니맥스에서 방영되었다는 점, 19세 등급으로 심야에 방송되었다는 점, 한국어 더빙이 아닌 원어자막방송이었다는 점, 그리고 한국 방영 시기가 2011년 하반기였다는 점이 있다. [35] 대표적으로 4차 버서커가 나오는 장면들을 꼽을 수 있다. [36] 그런데 가끔 예고편에서만 나오고 다음화 본편에서는 잘려버리는 대사가 나올때도 많다. 보통 그런 대사는 BD판 추가씬에서 나온다. [37] 분기가 나눠지는 14화의 예고편, 그리고 과거편에 해당되는 18화, 19화의 예고편은 예외다. [38] 특히 6화의 기원탄이나 20화의 예고편에서 키레의 계략에 놀아나는 다른 서번트, 그리고 카저씨(...)의 비탄을 묘사하는 대목은 그야말로 백미. [39] 첫날 이 사이트에 자막 문제로 배신을 연기한다는 표현이 나왔는데, 일본어로 "방영하다"라는 뜻을 지닌 配信(배신)과 한국어의 배신이 동음이의어란 걸 이용한 말장난. 일본어의 配信을 그대로 한국 한자음으로 옮기면서 생겨난 오역이다. 이것이 모든 것의 시작이었다. [40] 전무후무한 일이었는데, 니코채널은 원래 기본적으로 해당 애니의 본방보다 1주일 늦게 송신되는데 페이트 제로는 본방 30분 후라는 경이적인 시간을 자랑했다. 오히려 일본쪽 채널은 1주일 늦게 송신돼서 역차별을 당했다.(…) [41] 성배전쟁=SAY HI SENSE ALL(…) 캐스터를 본 세이버의 "외도!"=" 개독!" 등… [42] 창쟁이 영령 랜서, 경상도 대행자 코토미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