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01818, #a01e1e 20%, #a01e1e 80%, #801818);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나사우의 엥겔베르트 2세 | 윌리엄 드크루아 | 마르가레테 폰 외스터라이히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 ||
<rowcolor=#fff> 스페인령 네덜란드 | |||||
<rowcolor=#fff>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사보이아의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 파르마의 마르가레테 | 페르난도 알바레스 데톨레도 | 루이스 데레케센스 이 수니가 | ||
<rowcolor=#fff>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돈 후안 데아우스트리아 | 파르마-피아첸차의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 페테르 에른스트 1세 폰만스펠트포어데로르트 | 오스트리아의 에른스트 | ||
<rowcolor=#fff>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페드로 엔리케스 데아세베도 | 오스트리아의 알브레히트 7세[A] | 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A] | 페르난도 데 아우스트리아 | ||
<rowcolor=#fff>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프란시스코 데멜로 | 마누엘 드모라 | 오스트리아의 레오폴트 빌헬름 | 돈 후안 호세 데 아우스트리아 | ||
<rowcolor=#fff>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루이스 데베나비데스 카리요 | 프란시스쿠 드모라 | 이니고 멜코르 데벨라스코 | 후안 도밍고 데수니가 이 폰세카 | ||
<rowcolor=#fff>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카를로스 데아라곤 데구레아 | 파르마의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 오토네 엔리코 델카레토 | 프란시스코 안토니오 데아구르토 | ||
<rowcolor=#fff> 제29대 | 제30대 | ||||
바이에른의 막시밀리안 2세 | 이시도로 데라쿠에바 이 베나비데스 | ||||
<rowcolor=#fff>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 |||||
<rowcolor=#fff>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제34대 | ||
사보이아의 외젠 | 비리히 필리프 폰다운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엘리자베트 |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폰하라흐로라우 | ||
<rowcolor=#fff> 제35대 | 제36대 | 제37대 |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안나 | 마리아 크리스티나 | 카를 루트비히 | |||
카를 알렉산더 | 알베르트 카지미어 | ||||
[A]: 1598년 5월 6일에서 1621년 7월 13일까지 일시적으로 총독이 아니라 주권자였다. | |||||
}}}}}}}}} |
<colbgcolor=#F4A460><colcolor=#000000> 스페인의 카르디날 인판테 페르난도 데 아우스트리아 Cardenal-Infante Fernando de Austria |
|
|
|
이름 |
페르난도 데 아우스트리아 이 아우스트리아 (Fernando de Austria y Austria) |
출생 |
1609년
5월 16일 스페인 왕국 산로렌소데엘에스코리알 |
사망 |
1641년
11월 9일 (향년 32세) 스페인령 네덜란드 브뤼셀 |
아버지 | 펠리페 3세 |
어머니 |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테 |
형제 | 아나, 펠리페 4세, 마리아 아나, 카를로스, 마르가리타, 알론소 |
종교 | 가톨릭 |
[clearfix]
1. 개요
합스부르크 가문에서 테셴 공작 카를과 그 궤를 같이하는 최고의 명장으로 꼽힌다. 나폴레옹 전쟁에 카를 루트비히가 있다면 30년 전쟁에는 이 사람이 있다.2. 생애 초기
1608년 엘 에스코리알에서 스페인 국왕 펠리페 3세와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테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이 두 부부 역시도 다른 합스부르크 가문 사람들처럼 6촌 겸 5촌간이었다.형제로는 펠리페 4세, 아나, 마리아 아나가 있었다.[1]
3. 추기경이 되다
추기경 때의 문장
당시 합스부르크 가문의 경우에는 왕위 계승권과는 거리가 있는 남계 후손들은 성직자가 되게 하는 관행이 있었다.[2] 이러한 관행으로 인해 아버지 펠리페 3세는 페르난도가 추기경이 되기를 바랐고, 그는 10살의 나이에 톨레도 대교구의 대주교가 된다.
곧 그는 추기경이 되는데, 이 과정에서 그의 이름은 Cardinal-infante Fernando가 되고 흔히 '카디날 인판테'라고 불리게 된다.[3]
4. 30년 전쟁
30년 전쟁 당시 합스부르크 가문은 초반에는 백산 전투에서의 승리와 발렌슈타인의 등장으로 선전했지만, 뒤로 갈수록 스웨덴군과 프랑스의 리슐리외의 지원으로 틸리가 1631년 전사하고 발렌슈타인 역시 암살되어 물자가 부족해지고, 태산북두의 군 지휘관들이 전사함에 따라 밀리게 된다. 전쟁으로 인해 장군이 부족해지자 합스부르크 가에서는 추기경 왕족들을 장군으로 만들기로하여, 1630년 페르난도는 펠리페 2세의 딸 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의 뒤를 이어 스페인령 네덜란드의 총독이 되고 군사 작전에 나서게 된다.
이후 총독직을 수행하다가 1634년 뇌르틀링겐 전투에 나서게 된다. 당시 신교도 군대는 뇌르틀링겐을 수복하여 도나우뵈르트와 레겐스부르크를 탈환하려 했기 때문에 이는 매우 중요한 문제였다. 그리하여 페르난도는 당시 헝가리 왕국 국왕이었던 페르디난트(훗날의 페르디난트 3세)와 연합하여 뇌르틀링겐 전투에 임한다. 이 전투에서 개신교 측은 상당히 자만하고 있었을 뿐더러[4], 지휘관인 구스타프 호른과 작센바이마르의 베른하르트는 서로를 정말 싫어해 원수 보듯 하였지만 합스부르크의 군대는 소위 오래된 테르시오라고 불리는 정예병들과 충분한 병력 덕에 스웨덴-작센 군대를 무려 8번이나 막아내고 격파까지 하는 기염을 선보인다.
이 전투를 통해서 전세는 합스부르크 쪽으로 기울었다. 아울러 스웨덴 역시 전쟁에서 거의 이탈(!)할 뻔 했으니, 뇌르틀링겐의 승전의 영향은 그에게 지대한 것이었다.
5. 위협과 형의 시기질투
이렇게 페르난도는 승승장구하고 그 이후 네덜란드의 여러 지방을 위협하고 탈환한 후 급기야는 프랑스를 위협하지만 첫째 매형인 루이 13세[5]와 네덜란드 독립군에게 1637년부터 패배한 후 그의 위신과 명예는 떨어진다.아울러 그의 명성을 질투한 궁정 내의 귀족과 펠리페 4세는 그가 루이 13세의 조카[6]와 결혼하려 한다는 헛소문을 퍼뜨린다.
거기다가 스페인의 행정과 재정 역시 포르투갈 왕정 복고 전쟁과 카탈루냐 반란으로 매우 좋지 않아서 페르난도는 어려운 시간을 보내다가 1642년 브뤼셀에서 병사했다. 사망 이후 총독이 된 프란시스코 데 멜로는 그만한 자질이 없는 인물인 탓에 로크루아 전투에서 대 콩데에게 대패하여 스페인이 무너지고 베스트팔렌 조약, 합스부르크의 쇠퇴로 이어진다.
[1]
이 페르난도의 외조카들인
루이 14세(아나의 아들)와
레오폴트 1세(마리아 아나의 아들)는 나중에 적이 되어
9년 전쟁과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 죽어라고 싸운다. 참고로 페르난도의 형제관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루이 14세와 레오폴트 1세는 이종사촌이기도 했다.
[2]
대표적으로
페르디난트 3세의 동생 레오폴트 빌헬름,
요제프 2세와
마리 앙투아네트의 막내 동생 막시밀리안 프란츠.
[3]
여담이지만 가장 어린 카디날 인판테는
펠리페 5세의 아들 루이스
추기경으로, 7살에 카디날 인판테가 되었다. 루이스는 페르난도의 조카 루이 14세와 마리 테레즈의 증손자니
현손자뻘이다.
[4]
병력 수까지 잘못 알고 있었다
[5]
큰누나
아나의 남편.
[6]
앙리 4세의 차남 오를레앙 공작 가스통의 딸인 몽팡시 여공작 안 마리 루이즈 도를레앙. 사촌인
루이 14세 시절에 프랑스 귀족들이 일으킨 프롱드의 난에 가담했다. 하지만 이로 인해 루이 14세와의 사이가 멀어져 난이 진압된 이후, 자신의 영지에 칩거하다가 간신히 궁정에 복귀했지만 결국 독신으로 생을 마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