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중동역에 대한 내용은 중동역(부산) 문서
, 인근에 있는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신중동역
문서
참고하십시오.중동역 | ||
연천 방면 부 천 ← 1.7 ㎞ |
1호선 (149) |
인천 방면 송 내 1.0 ㎞ → |
역명 표기 | ||
경인선 |
중동 Jung-dong 中洞 / [ruby(中洞, ruby=チュンドン)] |
|
1호선 | ||
주소 | ||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중동로 73 ( 송내동 632) | ||
관리역 등급 | ||
무배치간이역 (
백운그룹 소속 /
KN 광역사업처) ( 부천역 관리 / 코레일 수도권서부본부) |
||
운영 기관 | ||
경인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경인선 | 1987년 12월 31일 | |
1호선 | ||
역사 구조 | ||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 ||
승강장 구조 | ||
2복선 쌍섬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구로 방면 부 천 ← 1.7 ㎞ |
경인선 중 동 |
인천 방면 송 내 1.0 ㎞ → |
현 역사(1999년 준공) |
구 역사(1987년 준공, 1997년 철거) |
[clearfix]
1. 개요
1987년
중동신도시 교통수요 맞춰[오류] 영업개시
중동역은 중동신도시 건설로 인한 교통 수요 증가에 따라[오류] 1987년 12월 3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당시 역사는 163.65㎡ 규모에 70.3㎡ 부대 건물을 갖춘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지붕의 선상 2층 역사였으며 이후 1999년 2월 27일 현재의 역사로 이전하였다. 부천시의 중심 상권과 주거지가 인접하여 접근성이 뛰어나다. 더불어 시민들의 여가생활을 위하여 시민회관 및 공원, 시민운동장이 설립되어 각종 육상경기 및 다양한 스포츠 활동과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1호선 149번.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중동로 73 (
송내동 632) 소재.중동역은 중동신도시 건설로 인한 교통 수요 증가에 따라[오류] 1987년 12월 3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당시 역사는 163.65㎡ 규모에 70.3㎡ 부대 건물을 갖춘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지붕의 선상 2층 역사였으며 이후 1999년 2월 27일 현재의 역사로 이전하였다. 부천시의 중심 상권과 주거지가 인접하여 접근성이 뛰어나다. 더불어 시민들의 여가생활을 위하여 시민회관 및 공원, 시민운동장이 설립되어 각종 육상경기 및 다양한 스포츠 활동과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1987년 12월 31일 신규로 개통된 역이다. 1987년에 신설되었으나 얼마 가지 않아 경인선 2복선화가 결정되면서 1997년, 10년도 못 쓴 역사를 철거하고 새로 지었다.2015년 12월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어 현재는 작동 중이다. 완행구간에만 설치되어 있다.
부천시 관내 수도권 전철 1호선 역들 중 가장 수요가 적은 역이기도 하다. 송내역은 인천과 부천의 접경 지역으로서 부천 서부의 소도심이자 교통의 요충지, 부천역은 부천의 전통적인 중심 상권, 소사역은 수도권 전철 서해선과의 환승역이 되었고, 역곡역은 부천 동부의 소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는데, 이 역만 남다른 특징이 없다.
2번 출구 지붕에 철도청체로 된 큼지막한 구형 역명판이 남아 있다. 상단의 사진에 찍힌 흰 배경에 검은 글씨로 된 중 동 역이라는 간판이 바로 그것. [3]
동인천 방면 급행이 다른 통과역들에 비해 더 빠르게 고속으로 통과하는 역이다.
3. 역 주변 정보
▲ 계획 당시 중동역 버스베이 조감도[4] |
역 옆에는 중동역상가가 있다. 중동역상가의 이름은 코레일체를 사용하였다.
역 바로 위로 중동고가차도가 존재하는데, 옛날 이 고가차도는 왕복 2차선이었으나 팰리스카운티가 조성됨에 따라 당시 주공아파트를 가로지르던 중동로를 왕복 2차선에서 4차선으로 확장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고가도로도 왕복 4차선으로 확장한다. 이때 고가도로 중간에 버스 정류장을 두어 중동역과 인도교로 대합실을 연결, 직접 환승하는 계획을 세워두었었고, 실제로 고가도로 중간에 버스 정류장으로 사용할 공간을 만들어 두었다. 그 공간 양 옆에는 중동역과 연결되는 계단과 엘리베이터가 있다. 하지만 소리 소문 없이 이 계획은 묻혔다. 현재는 가끔가다 화물차들이 주차하는 용도로 쓰이며, 중동고가차도 비상시 대피공간으로 쓰인다고 한다. 훗날 이 환승 개념은 송내역 환승센터에 적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고가차도 북동쪽에는 부천서초등학교가 위치해 있다.
역 안에는 네이처리퍼블릭, 스토리웨이 등이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bgcolor=#0052a4>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88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88년 | 20,022명 | |||
1989년 | 24,530명 | ||||
1990년 | 27,728명 | ||||
1991년 | 32,191명 | ||||
1992년 | 35,391명 | ||||
1993년 | 37,210명 | ||||
1994년 | 36,299명 | ||||
1995년 | 34,786명 | ||||
1996년 | 32,507명 | ||||
1997년 | 28,531명 | ||||
1998년 | 27,031명 | ||||
1999년 | 25,532명 | ||||
2000년 | 24,176명 | 비고 | |||
2001년 | 28,080명 | ||||
2002년 | 29,923명 | ||||
2003년 | 30,760명 | ||||
2004년 | 23,079명 | [5] | |||
2005년 | 21,029명 | ||||
2006년 | 21,153명 | ||||
2007년 | 20,739명 | ||||
2008년 | 19,664명 | ||||
2009년 | 22,260명 | }}}}}}}}} | |||
2010년 | 22,463명 | ||||
2011년 | 22,618명 | ||||
2012년 | 22,325명 | ||||
2013년 | 20,684명 | ||||
2014년 | 20,610명 | ||||
2015년 | 20,299명 | ||||
2016년 | 19,952명 | ||||
2017년 | 19,601명 | ||||
2018년 | 19,198명 | ||||
2019년 | 19,427명 | ||||
2020년 | 14,515명 | ||||
2021년 | 14,919명 | ||||
2022년 | 16,289명 | ||||
2023년 | 16,962명 | ||||
출처 |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중동역은 배후 인구가 상당히 많은 역이지만 급행,특급열차가 서고 교통망과 상권이 탄탄한 부천역과 송내역이 양 옆으로 끼어있어 상대적으로 이용률이 낮다. 부천역과 송내역은 각각 지역을 대표하는 번화가를 끼고 있어 유동인구와 연계 노선이 굉장히 발달한 반면에, 여기는 출입구 바로 앞에 아파트와 초등학교가 있을 정도로 평범하다 못해 미약한 역세권을 가졌다.
이와 더불어 일평균 이용객이 2만 명 내외로 적은 편이다. 양 옆의 역들이 최대 10만명 이상 끌어모았던 것과 비교하면 매우 적은 수치인데, 이는 주변 유동인구를 제대로 흡수하지 못한다는 의미가 된다. 중동고가차도에 버스정류소를 세우려고 했지만 계획이 무산되어 중동역에서 가까운 정류소까지 최소 5분 넘게 걸어가야 환승이 가능하고, 게다가 출구 위치 선정에도 한계가 있어서 집객에 있어서도 이용률 신장이 원활하지 못했으며 환승 수요는 원래부터 많지가 않으므로 역세권이 미약하다. 결정적으로 출구가 골목길에 있어 역의 위치를 찾기가 굉장히 힘든 게 이용률 저조의 원인 중 하나이다.
5. 승강장
승강장 |
↑ 부천 | ↑ 통과 | 부천 ↓ | |||||
ㅣ | 1 | 2 | ㅣ | ㅣ | 3 | 4 | ㅣ |
↑ 송내 | 통과 ↓ | 송내 ↓ |
1 | 수도권 전철 1호선 | 완행 | 부천· 구로· 광운대· 소요산 방면 |
2 | 급행 | 당역 통과 | |
3 | |||
4 | 완행 | 송내· 제물포· 동인천· 인천 방면 |
6. 연계 버스
7. 둘러보기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5daa> 경원선 |
연천 -
전곡 -
청산 -
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양주 -
녹양 -
가능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광운대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
서울 지하철 1호선 |
제기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각 -
시청 -
|
|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
|
경부선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금천구청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당정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평택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
|
천안직결선 |
두정 -
|
|
장항선 |
천안 -
봉명 -
쌍용(나사렛대) -
아산 -
탕정 -
배방 -
온양온천 -
|
|
병점기지선 |
병점 -
|
|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금천구청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경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