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5 12:46:58

코레일체

<colbgcolor=#333><colcolor=#fff> 코레일체/코레일 둥근고딕
Korail/Korail Round
파일:코레일체.svg }}}
분류 돋움
제작 아시아소프트[1], FONTLAB[2]
출시 2003년(코레일체)
2007년(코레일 2007체)
2017년(코레일 둥근고딕 Light)
2018년(코레일 Condensed)
2019년(코레일 둥근고딕 Medium, 코레일 둥근고딕 Bold)
활자 가족 코레일체
코레일 Condensed
코레일 둥근고딕 Light
코레일 둥근고딕 Medium
코레일 둥근고딕 Bold
링크 https://info.korail.com/info/contents.do?key=721
1. 개요2. 역사3. 타 운영기관에서의 사용4. 여담

[clearfix]

1. 개요

한국철도공사에서 아시아폰트, 폰트랩(주)과 제작한 한글 글꼴. 코레일체는 2003년, 코레일 둥근고딕은 2007년에 제작되었다. 처음 제작되었을 때는 코레일2007체였지만 2022년 들어 좀 낡아보여서 그런지 코레일 둥근고딕 Bold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울릉도체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코레일2007체의 영문 글꼴은 어도비가 제작한 Myriad Pro가 사용된다.

2. 역사

2003년 철도청에서 아시와소프트와 함께 신규 기관 상징인 "코레일" 브랜드를 발표하면서 공개된 폰트로, 2004년 일부 개정을 거친 1.01 버전부터 일반에 배포되었다. 그 전에도 HY울릉도를 기반으로 철도청 자체적으로 한국철도체를 사용하였지만 배포되지는 않았다.

2007년 한국철도공사에서 코레일2007체를 발표하며, 로고나 제목용 서체로 사용하게 되었다.

2017년~2019년 한국철도공사와 폰트랩(주)이 코레일 Condensed/코레일 둥근고딕 Light/Medium/Bold를 제작하였다. 다만 코레일체와 구 2007체와는 달리 공개 배포되지 않았으며, 내부적으로 홈페이지 등 배너에서만 사용되었다.

2021년 코레일 메인 홈페이지가 개편되면서[3] 그 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코레일 Condensed와 둥근고딕의 Light, Medium 두께의 서체를 공개했으며, 코레일 2007체가 코레일 둥근고딕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Medium 굵기가 추가되었다. 사용 범위 또한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도록 변경되었다. 다만 코레일 서체의 판매, 유상 양도, 무단배포는 금지되어 있다.

3. 타 운영기관에서의 사용

최근에는 다른 철도 운영기관에서도 코레일체를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데, 특히 2020년부터 부산교통공사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도입하면서 기존에 사용하던 윤고딕과 Univers를 버리고 코레일체를 사용한 적이 있었으며, 범내골역에서 시범 운영되었다. 이후 계속 확대 적용중에 있다.

7호선 대림역 2호선 환승표지판 등 서울교통공사 구간의 일부 안내표지판과 SR 일부 자회사에서도 코레일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GTX-A 동탄역 주식회사 SR이 운영하고 나머지 구간은 서울교통공사의 자회사인 지티엑스에이운영이 운영하지만, 스크린도어와 일부 시설물에 코레일체를 사용한다.

아직까지는 철도 외 다른 시설[4]이나 게임에서 사용하는 경우는 없다.

4. 여담

대부분의 안내사인이나 시설물에서는 코레일체를 사용하지만, 독특하게도 스크린도어 위 역명판은 코레일 둥근고딕을 사용했지만, 최근 동해선 스크린도어 설치공사부터는 가이드라인이 바뀌어 코레일체를 사용한다. 가끔 HY헤드라인[5][6]이나 궁서체, 윤고딕 등 다른 폰트가 사용된 역도 볼 수 있다.

배포되지 않은 1.0 버전은 일부 문자의 자형이 불분명해 가독성이 대단히 떨어진다. 그러나 해당 문제점이 수정되기도 전인 2003년, 코레일 브랜드 공개와 동시에 일제 교체된 대부분의 시설물에는 1.0 버전이 사용되었다.[7] 그래서 철도 동호인들 중에서는 아예 윤고딕 같은 상용 서체를 사용한 새로운 디자인이 나오길 바라는 사람들도 많다. 특히 익과 의의 구분이 잘 되지 않는다.

파일:gyedanjuick.jpg [8]
계단주익[9]

문자에 '고' 자가 들어가면 자간이 줄어든다.

서해선은 독특하게도 한국철도공사가 관여하는 부분이 열차 운영을 제외하고는 없는 민자철도인데도 한국철도공사의 안내사인과 코레일체를 그대로 사용한다. 이는 원래 한국철도공사 관할 구간이며 한국철도공사의 역 등급 또한 부여되었으나 서해철도에 운영을 위탁한 형태이기 때문이다.

[1] 코레일체 [2] 코레일 Condensed/ 코레일 둥근고딕 Light/ Medium/ Bold [3] 다만 레츠코레일 홈페이지는 아직 개편되지 않은 상태이다. [4] 도로는 한길체를 사용 중이다. [5] 한양정보통신에서 제작한 상용 서체로 한컴오피스 한글의 내장(번들) 서체이기도 하다. [6] 부산 도시철도의 일부 구형 역명판과 대전 도시철도 역명판을 이 폰트로 사용한 적이 있다. [7] 2013년 개통한 분당선 수원역의 역명판에는 수정 버전인 1.01 버전이 사용되었는데, 경부선 수원역 역명판에는 1.0 버전이 쓰인 터라 같은 글꼴임에도 자형이 다르다. [8] 사진 속 장소는 대방역 [9] 비슷한 경우로 의성역, 의왕역, 의정부역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