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6 15:59:16

중난하이

중남해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중국 담배에 대한 내용은 중난하이(담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정부수반 집무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대한민국 대통령실 심볼.svg 파일:대한민국 대통령실 흰색 심볼.svg 파일:백악관 로고.svg 파일:중국 국장.svg 파일:고시치노키리 수상관저.svg
대통령실 백악관 중난하이 수상관저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독일 정부 문장.svg 파일:독일 정부 문장 흰색.svg 파일:영국 국장.svg 파일:엘리제 궁전 아이콘.svg 파일:엘리제 궁전 흰색 아이콘.svg 파일:Ovale_PALAZZO CHIGI.png
엘리제궁 키지궁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필리핀|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브루나이|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파일:러시아 국장.svg 파일:중화민국 총통부 휘장.svg 파일:말라카냥궁 로고.png 파일:Personal_Emblem_of_the_Sultan_of_Brunei.svg
크렘린궁 총통부 말라카냥궁
틀에 기재되지 않은 관저는 관저 목록 참고. }}}}}}}}}
파일: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_4.png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
全国重点文物保护单位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공포
파일:external/m1.ablwang.com/20141220105735173.jpg
<colbgcolor=#C00><colcolor=gold> 명칭 한국어 중난하이
중국어 中南海
영어 Zhongnanhai
분류 고건축
(古建筑)
시대 ~
일련번호 6-0302-3-005
주소 베이징시 시청구 창안제174호
北京市西城区长安街174号
등재 2006년
차수 제6차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
국가 지정
명승지 등급
없음[1]
파일:external/pic.bkcimg.com/c3fe80db1971CpxqUTVx.jpg
<colbgcolor=#C00><colcolor=gold> 중난하이의 정문 -『신화문 (新华门)』
파일:중난하이_정문.jpg
가까이서 본 중난하이의 신화문(新华门)
파일:Beijing_Zhongnanhai_map.png
중난하이의 조감도[2]

1. 개요2. 역사
2.1. 금나라·원나라2.2. 명나라2.3. 청나라2.4. 중화민국2.5. 중화인민공화국
3. 주요 건축
3.1. 중하이(中海)3.2. 난하이(南海)
4. 가는 법5. 사건사고
5.1. 2024년 차량 돌진 사건
6. 기타

[clearfix]

1. 개요

베이징시 시청구(西城区)에 있는 옛 황실 원림으로 자금성의 서쪽 바로 옆에 위치해 있으며, 현재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중국공산당 중앙판공청 등의 집무실 소재지이다. 그러나 철저히 집무실로서의 역할만 수행해 백악관, 엘리제궁과는 달리 공직자들만 출입이 가능하다. 각종 행사나 외빈 접견 등은 여기서 하지 않고 대개 인민대회당에서 하기 때문에 내부가 공개된 적은 거의 없다. 현직 지도부는 물론 전직 지도부의 거주지 역할 또한 한다. 상당수의 전직 지도부와 그 가족들이 퇴임 이후에도 오랫동안 거주하기도 한다.[3]

···대에는 황실 정원이었으며, 중화민국이 들어서면서 북양정부 총통부 청사 역할을 하였고, 1949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중심지가 되었다. 2006년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2. 역사

2.1. 금나라·원나라

베이징이 금나라의 수도인 중도(中都)였을 때 현재의 북해와 중해는 태액지(太液池)라는 호수였고 그 인근에는 황제의 여름 별궁인 대녕궁(大寧宮)이 있었다. 이곳의 경치는 이미 이때부터 절경으로 이름 높아 황제들이 자주 머물렀다. 이후 원나라가 금을 멸망시킨 뒤 쿠빌라이 칸이 금의 중도를 폐기하고 새로운 수도인 대도(大都)를 건설하면서 태액지를 황궁에 포함시켜 그 주변에 대내(大內)[4]·융복궁(隆福宮)·흥성궁(興聖宮)의 세 궁전을 지었다.

2.2. 명나라

그리고 명나라 때인 1406년(영락 4년) 영락제 난징에서 베이징으로 천도하자 이곳은 다시금 황궁의 후원으로 편입되었다. 영락제가 자금성의 위치를 원나라의 황궁보다 약간 남쪽으로 앞당기면서 태액지 남쪽에 난하이를 조성하였으며, 여기에서 나온 흙과 자금성 주위를 두르는 퉁즈허(筒子河)를 파면서 나온 흙을 모아 황성 북쪽에 만수산(萬壽山, 뒷날 징산(景山)으로 개칭)을 쌓았다. 1459년(천순 3)에는 이곳에 광대한 규모의 서원(西苑)을 건설했다. 가정제가 자금성 건청궁에서 벌어진 임인궁변(壬寅宮變)[5]으로 죽을 뻔하자 서원으로 거처를 옮겨 20년간 지내다가 죽기 전날에야 환궁하기도 했다.

2.3. 청나라

청나라가 베이징으로 천도한 후에는 베이중난하이의 3해(三海) 주변에 붉은색 담을 둘러 원림의 면적이 호수 주변에 거의 맞닿을 만큼 축소되었다. 청나라 역대 황제들은 이곳을 여름 피서지로 사용하며 정무를 돌봤고, 사람 살기에는 갑갑한 자금성보다 이곳을 선호했다.[6]

사실 대부분의 황제들이 국가적인 주요 의식이 몰려 있는 12월에서 1월까지의 연말연시에만 자금성에 머물고, 그 이외의 기간에는 중난하이나 원명원, 청더 피서산장 등의 별궁에서 기거하였다. 이는 동치제 광서제 때 권력을 잡고 중국을 통치한 서태후도 마찬가지였다. 그리고 무술정변 이후 광서제가 죽을 때까지 유폐된 영대(瀛台)가 바로 이곳의 난하이에 있었다. 1900년(광서 26) 의화단 운동 때는 8개국 연합군의 약탈을 당하기도 했고 선통제가 즉위하면서는 생부인 순친왕이 머무는 섭정왕부가 지어지기도 했다.

2.4. 중화민국

중화민국 총통부 청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0px-Twelve_Symbols_national_emblem_of_China.svg.png
중난하이
파일:중화민국 총통부 휘장.svg
난징 총통부
파일:중화민국 총통부 휘장.svg
대만 총통부


1911년(선통 4년) 신해혁명으로 청 왕조가 멸망하면서 위안스카이 북양정부 총통부가 이곳에 설치되었다. 1915년 위안스카이가 스스로 황제를 칭하면서 중난하이를 신화궁(新華宮)으로 개칭하기도 했지만 한바탕 칭제 소동의 와중에도 계속해서 북양정부의 요인이 집무하는 관저 역할을 수행했다.[7] 1927년 중화민국 육해군 대원수로 취임한 장쭤린이 집무실로 사용한 것을 마지막으로,[8] 1928년 6월에 베이징이 국민정부에 함락되고 국민정부가 그간 수도로 삼아온 난징의 정통성을 강조하면서 더 이상 관저로 쓰이지 않고 일반인들에게 공원으로 개방되었다.

2.5. 중화인민공화국

오랜만에 일반에 개방되었던 중난하이는 개방한지 20여년만인 1949년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이 들어서고 마오쩌둥, 저우언라이, 덩샤오핑 등의 최고위 지도자들이 이곳에 관저를 두면서 다시금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되었다. 다만 중난하이만 그렇고, 베이하이는 베이하이공원이라는 이름으로 일반에 개방되고 있다.

3. 주요 건축

3.1. 중하이(中海)

사진 설명
파일:external/pic.izy.cn/134138.jpg 자광각(紫光阁)
중하이 서북쪽에 있는 정면 7칸의 2층 전각이다. 원래 명나라 정덕제 때는 평대(平臺)위에 황색 유리기와를 올린 작은 전각이 있었으나 가정제 때 이를 밀고 자광각을 지었다. 청나라 강희제 때 중수했고 이후 1760년(건륭 25년)과 1775년(건륭 40년) 두 차례에 걸쳐 증축했다. 자광각 뒤쪽에는 정면 5칸의 무성전(武成殿)이 있다.
파일:external/img.liketrip.cn/2009060111541723.jpg 만선전(万善殿)
중하이 동쪽에 있으며 원래의 이름은 숭지전(崇智殿)이었으나 순치제 때 만선전으로 개칭했다. 내부에는 석가모니불·약사불·아미타불의 삼세불상(三世佛像)이 모셔져 있다. 만선전 뒤쪽에는 천성전(千圣殿)이 있으며 내부에는 7층으로 된 천불탑이 봉안되어 있다.
수운사(水云榭)
중하이 동쪽 물가에 자리한 정자로, 베이징의 여덟 가지 경치를 가리키는 연경8경(燕京八景) 중 '태액추풍(太液秋风)'에 해당하는 곳이다.
파일:external/commondatastorage.googleapis.com/22529912.jpg 섭정왕부(摄政王府)
중하이의 서북쪽에 위치한 건물군이다. 섭정왕부가 있는 땅은 원래 서원(西苑) 바깥에 있었지만 1881년(광서 11) 서원을 확장하면서 새로 포함된 것이다. 서태후는 이곳에 집영유(集灵囿)라는 새로운 원림을 지으려 했으나 무위에 그쳤고 1909년(선통 원년) 선통제의 생부인 순친왕 재풍이 섭정왕부를 건축했는데 은자 206만 냥이 들어갔다. 하지만 1911년(선통 4년) 청나라가 멸망하면서 중화민국 국무원의 소유가 되어 총리 관저 및 집무실로 사용되었으나 1918년에는 당시 대총통 쉬스창이 거주하는 관저로 이용되었다가 1923년에 차오쿤이 회인당으로 관저를 옮기고 나서는 육군부, 해군부, 북평[9]시정부가 사용했다. 왼쪽에 있는 사진은 저우언라이 총리가 머물던 서화청(西花厅)으로, 섭정왕부 내 서화원(西花园)에 보존되어 있다.

3.2. 난하이(南海)

사진 설명
파일:external/pic.bkcimg.com/c3fe80db1971CpxqUTVx.jpg 신화문(新华门)
중난하이의 정문으로 정면 7칸의 2층 건물이며 1층의 중앙 3칸이 출입문으로 되어 있다. 건륭제 때 보월루(宝月楼)로 지어졌으나 신해혁명 후 위안스카이가 누를 문으로 바꾸고 '신중화민국(新中華民國)'에서 이름을 따 신화문으로 개칭했다.
영대(瀛台)
명나라 때는 남대(南台)로 불리었으며 청나라 순치제 강희제 때 대규모로 전각을 세운 뒤 영대로 개칭했다. 영대 내에는 인요문(仁曜门), 상란각(翔鸾阁), 함원문(涵元门), 함원전(涵元殿), 봉래각(蓬莱阁), 경운전(庆云殿), 경성전(景星殿), 조운루(藻韵楼), 기사루(綺思楼), 보동서옥(补桐书屋), 수안실(随安室), 대월헌(待月轩), 경광정(镜光亭), 장춘서옥(长春书屋), 수방윤(潄芳润) 등이 있다. 1898년 (광서 24년) 무술변법이 실패한 후 서태후에 의해 이곳에 감금된 광서제가 10년 동안 유폐 생활을 하다가 의문의 죽음을 맞은 곳이기도 하다.
풍택원(豊泽园)
영대의 북쪽에 있으며 강희제 때 지어졌다. 풍택원의 중심 건축인 돈서전(惇敍殿)은 광서제 때 이년전(颐年殿), 중화민국 때 이년당(颐年堂)으로 개칭되기도 했다. 이년당 동쪽의 국향서옥(菊香书屋)은 마오쩌둥 주석이 1949년부터 1966년까지 거주하던 곳이었다. 풍택원 내에는 하풍혜로정(荷风蕙露亭), 숭아전(崇雅殿), 정게헌(静憇轩), 회원재(怀远斋), 순일재(纯一斋), 정곡(静谷), 춘우재(春耦斋) 등이 있다.
파일:external/a1.att.hudong.com/01300000136343120893125681237_s.jpg 근정전(勤政殿)
조선 경복궁의 정전인 근정전과 한자까지 똑같다. 중하이와 난하이 사이에 있어서 근정전의 정문인 덕창문(德昌门)은 난하이의 북문이 된다. 시진핑의 집무실이 여기에 있다.
파일:external/img.liketrip.cn/2009060111541618.jpg 회인당(怀仁堂)
원래 위치는 춘우재 북쪽에 있었으며 광서제 때 중건하면서 의란전(仪鸾殿)이라 이름 짓고 서태후가 거주했으나 8개국 연합군이 베이징을 점령한 후 훼손되자 중하이 서쪽에 새로 의란전을 세웠다. 새로 지어진 의란전은 뒷날 불조루(佛照楼)로 바뀌었고, 위안스카이가 칭제하면서 옛 의란전을 회인당으로 개칭했다. 1923년에 대총통으로 당선된 차오쿤이 섭정왕부에서 이 곳으로 총통 관저를 옮겨 국민정부의 수립때까지 총통 관저로 사용되었다. 신중국 설립 몇 일전인 1949년 9월 말 이곳에서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제1차 전체회의가 개최되었다. 1967년 2월 역류가 여기서 일어났다.
숙청원(淑清院)
남해의 동북쪽에 있으며 건륭제 때 세워진 소규모 원림이다. 숙청원 내에는 보광실(葆光室), 봉영재망전(蓬瀛在望殿), 운회루(云绘楼), 청음각(清音阁), 일지각(日知阁), 만자랑(万字廊), 쌍환만수정(双环万寿亭) 등이 있다.

4. 가는 법

베이징 지하철 베이징 지하철 1호선 톈안먼시역이 이 곳 바로 옆에 있다. 그러나 당연히 겉모습만 볼 수 있고 내부 모습을 확인할 수는 없다. 중화인민공화국의 당·정·군의 전현직 최고위 지도자들의 집무실과 등이 있어 예나 지금이나 일반인의 출입이 자유롭지 못하다.

5. 사건사고

5.1. 2024년 차량 돌진 사건


2024년 3월 10일 새벽, 양회 폐막을 앞두고 중난하이의 정문인 신화문에 차량 한 대가 돌진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차량은 빠른 속도로 신화문을 향해 돌진하다 문턱에 걸려 멈춰섰고, 경호 인력은 차량 운전자를 끌어내 연행하는 장면이 포착되었다. 대만 매체들은 현장에서 "살인범 공산당"이라는 중국공산당을 비판하는 외침이 있었으며, 차량이 베이징 번호판을 단 고급 차량인 것으로 볼 때 연행된 운전자가 일반 시민이 아닐 가능성을 제기했다.

양회 기간에 중국 최고지도부의 집무실이 있는 중난하이를 급습한 전례 없는 사건으로, 부정적인 경제 상황과 공산당 체제에 대한 중국 인민들의 불만이 표출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6. 기타


[1] 국가중요시설이기 때문에 비공개이며, 당연히 명승지 등급도 없다. [2] 중난하이는 자금성 바로 옆에 있다. 지도에서 중난하이의 오른쪽에 자금성이 위치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3] 그렇기 때문에 생각보다 거대한 관저임에도 공간 부족에 자주 시달려서 현직 최고위 관료들이 관저에 머물지 못하고 출퇴근하는 웃지 못할일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4] 특정한 궁궐의 명칭이 아니라 황제의 정궁을 가리키는 일반명사. [5] 가정제의 가혹한 학대를 견디다 못한 궁녀들이, 가정제를 암살하려고 모의했던 사건. 그러나 궁녀들의 암살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고, 일을 벌였던 궁녀 16명은 전원 처형당했다. 이 불쌍한 궁녀들의 이름은 양금영(楊金英), 형취련(刑翠蓮), 양옥향(楊玉香), 소천약(蘇川藥), 요숙고(姚淑皐), 왕괴향(王槐香), 관매수(關梅秀), 유묘련(劉妙蓮), 진국화(陳國花), 장금련(張金蓮), 왕수란(王秀蘭), 서추화(徐秋花), 정금향(鄭金香), 황옥련(黃玉蓮), 양취영(楊翠英), 장춘경(張春景)이다. [6] 조선도 이 점은 비슷해서 조선의 역대 국왕들은 예법에 맞춰서 격자형으로 건물들을 빽빽하게 지은 경복궁보다 자연 지형에 맞춰서 지은 창덕궁을 더 선호했고, 임진왜란 이후에는 비용 문제까지 더해서 경복궁이 아닌 창덕궁과 창경궁을 재건해 거기서 주로 머물렀다. [7] 다만 위안스카이 1913년 10월 10일에 정식으로 대총통에 취임하기 전까지 외교부 거리의 호텔과 청나라 육해군부 건물을 집무실로 사용했으며 리위안훙은 1912년에 위안스카이가 사 준 건물에 거주하기 시작해 부총통 및 총통 재임기간을 포함해서 사망할 때까지 거주했다. 또한 임시집정 돤치루이는 청나라 육해군부 건물을 집무실로 사용했다. [8] 장쭤린은 중난하이에 거주하지 않고 1921년에 청나라 황족으로부터 매입한 순승군왕부(順承郡王府)를 관저로 사용했다. 순승군왕부는 이후 장쉐량의 소유하에 있다가 1949년 이후 중국공산당정부로 소유가 넘어가서 현재는 중국 정부 관련 시설이 들어서 있다. [9] 중화민국이 성립하면서 수도를 남경으로 정해 북경을 북평으로 개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