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9 23:13:58

김일성광장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이 문서 내 '주석단' 표현을 '대주석단'으로 한다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이 문서 내 '주석단' 표현을 '대주석단'으로 한다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 체제선전시설
평양시
<colbgcolor=#cccccc,#333333> 중구역 김일성광장 ( 대주석단) · 당창건사적관 · 조선혁명박물관 · 천리마동상
대동강구역 당창건기념탑 · 옥류전시관
대성구역 금수산태양궁전 · 대성산혁명렬사릉
만경대구역 국가선물관 · 만경대고향집 · 청년운동사적관 · 칠골혁명사적관
모란봉구역 개선문 · 조중우의탑 · 해방탑
보통강구역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 푸에블로호) · 중앙계급교양관
서성구역 3대혁명전시관 · 조국해방전쟁참전렬사묘
기타 애국렬사릉 ( 형제산구역) · 재북인사릉 ( 룡성구역) ·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 락랑구역) (철거) · 주체사상탑 ( 동대원구역)
량강도
전체 백두산지구 혁명전적지 ( 정일봉) ·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
자강도
전체 국제친선전람관
함경북도
전체 회령고향집
황해남도
전체 신천박물관
전국
전체 구호나무 · 김일성김정일동상 · 명제비 · 영생탑
일반 박물관
평양시
중구역 조선미술박물관 · 조선민속박물관 · 조선우표박물관 · 조선중앙력사박물관 · 철도성 혁명사적관
대성구역 자연박물관 · 조선중앙동물원 · 조선중앙식물원
락랑구역 과학기술전당 · 락랑박물관
기타 지하철도건설박물관 ( 모란봉구역) · 평양문화전시관 ( 대동강구역)
개성시
전체 개성고려박물관
강원도
전체 원산력사박물관
자강도
전체 강계력사박물관
량강도
전체 혜산력사박물관
평안남도
전체 평성력사박물관
평안북도
전체 신의주력사박물관 · 향산력사박물관
함경남도
전체 함흥력사박물관
함경북도
전체 청진력사박물관
황해남도
전체 해주력사박물관
황해북도
전체 사리원력사박물관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파일:북한 국기.svg 평양시 광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40001,#222222><tablebgcolor=#e40001,#222222> 파일:북한 국장_White.svg 김일성광장
金日成廣場

Kim Il Sung Square
}}} ||
파일:김일성광장 전경.jpg
▲ 김일성광장의 전경
(대동강구역에서 본 모습)
파일:김일성광장 전경2.jpg
▲ 김일성광장의 전경
(인민대학습당에서 본 모습)
<colbgcolor=#e40001,#222222><colcolor=white> 준공 1954년 8월
기능 광장
( 열병식 등 정치행사용)
규모 크기 75,000㎡[1]
수용인원 10만 명
주소

김일성광장
( 평양시 중구역 중성동, 경림동)[2][3]
1. 개요2. 특징

[clearfix]

1. 개요

북한 광장. 평양시 중구역 중성동, 경림동에 있다.

1954년 김일성이 구상한 '평양시복구건설총계획도'에 의거하여 건설됐다.

주요 시설물로 김일성광장 대주석단이 있다.

2. 특징

러시아 모스크바 붉은 광장, 중국 베이징 천안문 광장처럼 북한을 상징하는 광장으로, 면적은 75,000㎡[4]이며 바닥은 화강암으로 되어있다. 6.25 전쟁의 전후 복구 과정에서 1954년 8월 완공되었으며, 건설에 연인원 100만명이 동원되었다고 한다. 한 때 일본어 위키백과 세계에서 16번째로 큰 광장이라고 되어 있었으나, 영어 위키피디아 세계의 광장 목록을 보면 54위에 불과하다.

명칭은 당연히 북한의 초대 독재자 김일성에서 따온 것이다. 처음 이름은 중앙광장이었으나 언젠가부터 김일성 우상화를 위해 김일성광장으로 바뀌었다. 통일 이후에는 이름을 당연히 바꿔야 될 1순위.

광장 바로 뒤편으로는 대동강이 흐르고 있으며, 주체사상탑 맞은 편에 있다. 그 외에 대주석단, 인민대학습당, 내각종합청사, 외무성 청사, 대외경제성 청사, 조선중앙력사박물관, 조선미술박물관, 평양제1백화점 등 중요 시설들이 광장을 둘러싸고 있다. 여러모로 소련 붉은 광장을 본따서 만든 듯하다. 승리거리, 대학습당거리 등과 직접 연결되어 있고, 보조광장도 있다고 한다. 원래는 카를 마르크스 블라디미르 레닌 초상화가 걸려 있었으나, 2012년경 철거되었다.[5]

자칭 국가의 중앙광장이다 보니 각종 군중대회, 정치적 행사, 경축회, 추모행사 따위를 하는데, 북한이 자주 하는 열병식도 이 광장에서 한다. 때문에 남한과 세계 각국의 TV 뉴스에서도 북한 관련 보도를 할 때마다 자료화면으로 이 장소가 자주 등장하곤 한다. 큰 인공기가 보이는 건물 옆으로 탱크가 지나가고, 북한군이 열병식을 하고 김정은 조선로동당 및 국방성 고위간부들은 맞은편 건물에서 박수치는 그런 모습. 이 광장의 다양한 활용 모습을 보고 싶으면 열병식/북한을 참고하는 것도 좋다.

또한 이 광장은 1996년 북한 도로망의 출발점인 도로원표의 역할도 하고 있다. 정확히는 대주석단 바로 아래 쪽이며, 이곳에 '평양 나라길 시작점' 비석이 세워져 있다.( #1 #2) 1990년대 초 이전에는 평양 중구역 중성동 승리거리의 해방산려관 앞마당, 그 후 1996년까지는 평양 중구역 평양성 중성 출입문 중 하나인 함구문이 도로원표였으나, 김정일의 지시로 이곳으로 옮겼다고 한다[6].

2021년 북한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방역체제임에도 불구하고 정권수립 73주년 열병식을 강행한 가운데 광장 우측의 선전문구가 ‘백전백승의기치’에서[7] ‘새로운 승리를 향하여’ 로 바뀐것이 영상상으로 확인되었다.

2024년 신년에는 화려한 축포를 터뜨리는 행사를 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
[1] 세계에서 37번째로 큰 광장. [2] 광장을 가로지르는 큰 도로가 승리거리고, 승리거리를 경계로 강변이 경림동, 반대편이 중성동이다. [3] 한편 1946년 미군이 발행한 지도에 의하면 광복 당시 행정구역상으로는 평양시 아청리(衙廳里)이다.(범례 칸에 한국식, 일본식 발음이 병기되어 있는데, 한국어 발음은 '이위편리'라고 엉뚱하게 적혀 있지만 일본 발음으로는 아청리의 일본식 발음인 "가쵸-리"로 적혀 있음을 알 수 있다.) [4] 10만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참고로 서울의 구 여의도광장이 약 237,600㎡였고, # 광화문광장이 약 2만㎡. [5] 이는 북한이 자국 헌법에서 공산주의를 삭제했던 시기와도 맞물린다. [6] 북한은 "나라길 시작점을 혁명활동 역사와 결부시켜 올바로 정한다."는 것이 옮긴 이유임을 밝혔다. [7] 이전에는 ' 선군혁명총진군'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