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9 00:11:57

정상화(인터넷 밈)


{{{#!wiki style="margin:-10px" <tablebordercolor=#ad2312><tablebgcolor=#ad2312> 파일:분류김창섭.png 김창섭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 활동 메이플 디렉터
평가 평가
기타 어록 · 인터넷 방송 · 마이크 · 정상화 밈
논란 및 사건사고 엔젤릭버스터 리마스터 남성혐오 논란 · 큐브 확률조작 적발 사건 · 큐브 삭제 및 잠재능력 재설정 메소화
}}}}}}}}} ||

1. 개요2. 유래3. 기타4. 용례

1. 개요

2024년 5월 무렵부터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밈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용어. 주로 무언가가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상태를 비꼬는 의미로 사용한다.

2. 유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메이플스토리 일반 월드와 리부트 월드 간 차이 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3년 2월 초부터 메벤, 메갤 등 메이플스토리 커뮤니티에서 일반 월드와 리부트 월드 간의 시스템 간 형평성 논란이 본격적으로 발생하기 시작했다. 주된 이유는 저자본~중자본 유저들이 동일한 컨텐츠를 즐기는 데에 있어서 리부트 월드의 고유한 시스템[1] 덕에 중위~상위 컨텐츠에 진입하는 데 드는 비용과 시간이 리부트 월드가 일반 월드보다 더 낮았다는 것.

몇몇 일반 월드 유저들은 일반 월드의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내기도 하였지만 리부트 월드의 시스템 너프를 외치는 목소리 또한 존재했다.

운영진들은 일반 월드의 리부트 월드 대비 부당한 시스템을 개선해주는 한편, 리부트 월드만의 시스템을 너프하기 시작했다. 그 과정에서 일반 월드 유저-리부트 월드 유저간의 싸움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그러다가 2024년 1월 3일에 큐브 확률조작이 적발된 사건이 발생했고, 1월 9일 운영진들은 방송에서 확률조작의 근원이었던 큐브 아이템을 삭제하고 잠재능력[2]을 메소로만 돌릴 수 있도록 패치를 하기로 발표하였다. 이 과정에서 리부트 월드의 핵심 시스템 중 하나였던 메소 획득량 5배를 삭제한다. 이 패치로 인해 리부트 월드는 성장속도가 대폭 감소하여 더 이상 플레이할 가치가 없어진 월드로 전락하였다. 실제로 이 패치로 인해 리부트 월드의 유저수는 고점 대비 80%이상[3]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정에 대해 메벤, 메갤 등 그 동안 리부트 월드와 유저들을 혐오하던 커뮤니티에서는 "드디어 리부트 월드가 '정상화'되었다"며 김창섭 디렉터의 패치에 환호하였다.[4]

용어가 처음 사용될 당시에는 메이플스토리 일반 월드 유저들이 리부트 월드 유저들을 조롱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게임을 접은 리부트 월드 유저 및 타 게임 유저들이 메이플스토리에서 사건사고가 발생하거나 비용이 지나치게 비싼 BM을 도입할 때마다 역으로 메이플스토리와 유저들을 조롱하기 위한 목적으로 게임이 정상화되어가고 있는 중이라며 사용하기 시작했고 2024년 5월부터 슬슬 메이플스토리와 관련없는 곳에서도 잘못된 정책이나 방향성으로 나아갈 때 불만을 가진 유저들을 긁을 목적으로 '정상화, 건강해지고 있다'는 드립을 사용하면서[5] 밈으로 발전했다. 즉 정상화라는 단어의 본래 의미와는 달리 개선의 반어적 표현을 뜻하며 반대 측 불만을 비꼬는 용도로 주로 쓰이게 되었다.

3. 기타

팩트는 게임이 건강해지고 있다는 거임
2024년 메이플스토리는 잇단 큐브 확률 조작, 리부트 월드의 메소 획득량 5배 삭제 등의 여러가지 논란에 따라 유저들의 수가 환불 사태 이래 최고점이였던 2023년 6~7월대의 인구수[6]대비 50%가 감소하였다.[7] 또한 큐브 삭제로 인한 매출을 메우기 위해서였는지 여럿 과금성 상품들을 많이 출시하였다.[8] 이에 남은 몇몇 메이플스토리 유저들은 "지금은 유저수가 많이 줄어들었지만 이는 리부트 유저라는 게임의 암덩어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부작용에 불과하며 장기적으로는 게임의 체질을 개선하여 게임이 건강해지기 위한 과정이다." 식의 논리를 펼치면서 게임의 상황을 변호하였는데, 이 역시 리부트 유저 및 타 게임 유저들이 "게임이 다이어트 중이니(= 유저수가 빠지고 있으니) 건강해지고 있는게 맞다"면서 역으로 메이플스토리와 그 유저들을 조롱하는 데에 사용하기 시작했다.

여기에 '팩트는~ 라는 거임' 이라는 말투가 결합되어 같이 사용하게 되었는데, 유래는 2020년 경 카운터사이드 마이너 갤러리의 꾸준글이었던 ' 팩트는 7천 결사대는 굳건하다는 거임'에서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9]

워낙 범용성이 좋은 밈이라 장르를 가리지 않고 빠르게 퍼지고 있는데, '팩트는 리부트가 아직도 사기라는 거임', '팩트는 점유율 결사대는 든든하다는 거임' 등 팩트 뒤에 올 수 있는 아무 말을 다 가져다 붙일 수 있으며, 정책을 내는 쪽은 ' 신창섭', 해당 정책에 반대하는 측은 'X선족'(리부트 월드 유저 비하표현인 '리선족'에서 유래)으로 바꾸면 이 역시 아무데나 다 적용시킬 수 있다.

현재는 해당 밈이 여러 커뮤니티로 퍼지면서 비하나 비꼬려는 의도가 아니더라도 '팩트는 내가 지금 덥다는 거임' 등 단순히 하고 싶은 말에 '팩트는~ 라는 거임' 말투를 결합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4. 용례


[1] 거래가 되지 않는 대신 장비 직작 난이도를 완화하기 위해 메소 획득량 5배 보정 시스템이 존재했고 그 외에도 일반 몬스터의 체력이 높은 대신 경험치를 2.3배 더 주는 시스템 차이가 존재했다. [2] 에디셔널 큐브 제외, 해당 큐브는 훗날 마일스톤 1차 패치에서 에디셔널 잠재능력을 메소로 돌릴 수 있게 되면서 사라진다. [3] 약 16만명에서 3만명으로 감소. [4] 댓글 참조 [5] 대표적으로 직구 규제 도입. 직구 규제로 인해 물품을 비싸게 사게 되는 것을 직구가 정상화되었다며 비꼬았다. [6] 전통적으로 메이플이 호황을 누리는 방학 시즌에, 여름 업데이트로 7년만의 새 전직인 6차 전직이 업데이트되었으며, 때마침 옆동네 로스트아크에서 검열 사건이 터지며 로스트아크 유저의 소수가 메이플로 이탈하며 60만명에 가까운 인구수를 달성했다. [7] 일반 월드 유저수는 고점 대비 40%, 리부트 월드 유저 수는 80%가 감소하였다. [8] 이렇게까지 할 유저는 소수긴 하지만 한 달동안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모두 받기 위해 과금해야 할 양이 한 달에 약 22만원에 육박한다(아티팩트 부스터 1만원 + 에픽 던전 경험치 보상 최대치로 받기 12만원 + 준비된 정령의 펜던트 5만원 + EXP 부스트 링과 혈맹의 반지 35800원). 그 와중에 메이플 특유의 BM 가격대 책정탓에 전반적인 과금 만족도가 높지 않다. [9]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결사대 문서의 2번 문단에 적혀있다. [10] 리그 오브 레전드를 뜻한다. 글이 올라올 당시 뱅가드 오류로 인해 대부분의 유저들이 동시다발적으로 튕기는 사태가 벌어지면서 뱅가드를 도입한 라이엇 게임즈에 대한 민심이 험악해진 상태였다. [11] 무려 한화생명e스포츠 공식 유튜브에서 이 드립을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