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8:06:55

이흔암(태조 왕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배역의 실존인물에 대한 내용은 이흔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50a00 50%, #350a00); color:#ffffff; margin: -5px -10px; min-height: 28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방영 목록 · 흥행 · 평가 · 비판 · 미디어 믹스 · 유튜브 스트리밍
누가 기침 소리를 내었는가 · 누가 웃음소리를 내었는가
등장인물
주인공

파일:태조 왕건 주인공 아이콘(왕건).png · 파일:태조 왕건 주인공 아이콘(궁예).png · 파일:태조 왕건 주인공 아이콘(견훤).png
[[태봉|
태봉
]] 연화 · 종간 · 은부 · 아지태 · 환선길 · 이흔암 · 금대 · 강 장자
[[고려|
고려
]] 유금필 · 신숭겸 · 박술희 · 복지겸 · 홍유 · 배현경 · 김락 · 장일 · 태평 · 최응 · 박유(왕유) · 최지몽 · 김행선 · 왕륭 · 왕식렴 · 유긍달
[[후백제|
후백제
]] 박씨 · 고비 · 신검 · 용검 · 금강 · 최승우 · 능환 · 능애 · 추허조 · 능창 · 김총 · 애술 · 박영규 · 신덕
기타 인물
도선 · 기훤 · 양길 · 미향 · 아자개 · 대주도금 · 허월 · 김순식 · 석총
}}}}}}}}}}}} ||
파일:이흔암.jpg
파일:이흔암1.jpg
극중 모습

1. 개요2. 극중 행적

[clearfix]

1. 개요

KBS 대하드라마 < 태조 왕건>의 등장인물. 담당 배우는 최주봉.

2. 극중 행적

오냐, 이 어리석은 것아! 어서 나와라!!
작전상 후퇴올시다!

원래 양길의 수하였다가 궁예에게 포섭되는 개그 캐릭터[1]로 등장한다. 본격적으로 참전하는 모습은 명주성 공략부터이며 이마저도 명주성이 허월 덕분에 궁예에게 바로 순응하면서 전투에 직접 나서지는 않았는데 이미 양길을 배신한 궁예를 만나러 온 양길의 둘째 사위에게 깐족대면서 개그 캐릭터의 기질을 보여준다. 이후 매부[2] 환선길과 함께 여러 전투에 참여했으며 환선길과 더불어 양길이 아끼는 맹장이지만 인간흉기인 양길에게는 제 실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한때 왕건을 대신해 요충지의 수비를 맡았지만 수장이었던 환선길이 전략전술에는 머리가 영 돌아가지 못하다 보니 같이 후백제군에게 털리기도 했다.

궁예가 연화를 때려죽일 때 쯤에는 박술희를 대신해서 상주로 파견되어서 이흔암 쪽에서 먼저 아자개를 찾아가서 인사를 건네기는 했는데 인사도 대충대충에 심지어 처음에는 존댓말조차 쓰지 않았다. 이에 아자개는 "나는 너네 왕 장군한테 '상보'라는 칭호로 불리고[3] 견훤의 아버지다!"하는 식으로 일갈하고 옆에 앉아있던 대주도금조차 "그런거 다 떠나서 나이 많은 사람한테 존대를 하지 않는건 예의에 어긋난다"고 지적. 그제서야 이흔암은 '상보'라는 호칭으로 부르며 꼬리를 내리지만 이미 이흔암이 마음에 안 들었던 아자개는 그를 푸대접하고 돌려보낸다. 이흔암 역시 속으로 "저리 괴팍하니 아들이랑 불화가 있지..."라며 뒤에서 그를 깠다. 하지만 그래도 머루주는 얻어 와서 좋아하며 환선길과 함께 마신다.

왕건의 역성혁명 당시 매부인 환선길과 함께 왕건을 지지했지만 웅주로 파견되면서 왕건에게 불만을 품게 되었다. 불만을 품은 이유는 환선길이 왕건의 역성혁명에 참가한 공신인 만큼 중앙 요직에 앉게 될 것으로 기대했었는데 요직은커녕 후백제와의 접경 지역인 웅진으로 보내졌기 때문이다. 상주가 아자개 비위만 살살 맞추면 되는 꿀보직인데 반해 웅진은 최전방이니 사실상 좌천이다. 한편으로 생각해 보면 이흔암이 웅주행 소식을 듣고 박술희에게 불만을 터트리며 했던 말 중에 "나도 이제 늙어서 쉬고 싶다"라는 말을 한걸 보면 나이가 제법 돼서 육체적으로 피로한 상황이었을 것이다. 환선길이나 이흔암의 생년은 불명이므로 이미 고령이었을 가능성도 크다. 그런 와중에 후백제와의 변방 지대였던 웅주로 파견되니 불만이 안 생길 수가 없었을 것이다.

이후 환선길이 역모를 도모하다 실패하여 가족들이 전부 참형에 처해졌을 때 이에 분노하여 웅주 방면을 지키던 후백제의 공직과 손을 잡고 후백제로 귀순하려 하나 "귀순 전에 왕건을 죽이겠다"면서 자신의 직속 병력 일부에 공직에게 정예 병력 수십 기를 지원받아 비밀리에 철원[4]에 잠입해 거사를 준비한다.

하지만 일행이 묵었던 주막의 주모가[5] 역모 계획을 내군의 복지겸에게 알리게 되면서 계획에 차질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 와중에 이흔암은 독화살로 내군부장 장일을 독살하고 부하들을 시켜 고려에 귀순하기 위해 철원으로 오는 아자개의 암살을 시도[6]하는 등 나름 활약하지만 결국 최종 목표인 왕건 암살에는 실패하고 생포되기 직전에 칼로 자신의 목을 베어 자살하는 비참한 최후를 맞는다.

이때 그래도 양길이 아끼던 수하 장수 중 1명이고 잔뼈가 굵은 장수답게 여타 기병들을 상대로 무쌍을 벌이고 복지겸과 왕건의 무예 스승이던 장수장을 상대로 2:1의 싸움[7]을 벌이면서도 버텼지만 아자개를 지켜내고 급히 합류하러 온 김락까지 가세하자 불리하단걸 깨닫고 곧바로 왕건을 노리려 했으나 실패하자[8] "그를 죽이지 못해 분하다"는 독기어린 유언을 남긴 후 자결하게 된다.

이흔암을 마지막으로 복지겸을 제외한 양길 세력 출신의 인물들은 극 중에서 전부 퇴장하게 되는데 아이러니하게도 홀로 양길을 배신하는데 주저하던 복지겸만은 살아남는다.

[1] 다만 아자개나 그와 세트로 엮이는 왕건 진영의 박술희, 견훤 진영의 애술에 비해서는 묻히는 감이 있다. 왕건에게 복수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움직이는 시점에서는 이전의 경박한 말투가 아니라 진지한 말투로 바뀌며 개그 캐릭터의 면모가 사라진다. [2] 처가 환씨였다는 기록을 보면 환선길의 매부였거나 그 집안의 인척이었을 가능성이 있는데 드라마에서는 어째서인지 관계가 역전되어 환선길의 처남으로 나온다. [3] 왕건은 태봉에서 시중을 맡아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자리에 있으므로 그보다 낮은 이흔암 역시 자신을 높이 대우해야 한다는 의미다. [4] 송악으로 다시 천도하기 직전이었다. [5] 주모의 남편은 이전에 환선길 밑에서 군졸로 지낸 정이 있어 숙식을 제공했으나 주모는 "이 인간이 집안 말아먹으려고 작정했나" 하며 반대했다. [6] 이 쪽은 왕건 암살보다 더 가망이 없었다. 내군 장수들만 곁에 있던 왕건 쪽과 달리 아자개 쪽에는 유금필, 신숭겸, 박술희, 김락 등 고려의 쟁쟁한 맹장들이 전부 붙어 있었다. [7] 극중 포지션이 개그 캐릭터다 보니 은근히 약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평생 장수로 늙었다는 식의 대사를 보면 어지간히 했을 것으로 보는 게 합리적이다. 물론 개인의 무력과 지휘관으로서의 통솔력은 다른 이야기지만, 반대로 후삼국시대 같은 어지러운 시대에 평생 전장을 돌아다녔다면 웬만한 실력자라고 봐도 크게 이상하지 않다. 그리고 실제로 이흔암과 겨룬 복지겸은 양길의 휘하였을 때부터 범상치 않은 인물로 묘사된다. [8] 이 때 도망가려다가 장수장에게 킬마크를 헌납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