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육군사관학교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865> |
대한민국 국군 현직 중장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해병대사령관 | |||||||||||||||||||||||
주일석 | ||||||||||||||||||||||||
국군방첩사령관 | ||||||||||||||||||||||||
이경민 소장, 직무대리 | ||||||||||||||||||||||||
합동참모차장 | 육군참모차장 | 해군참모차장 | 공군참모차장 | |||||||||||||||||||||
정진팔 | 고현석 | 최성혁 | 박기완 | |||||||||||||||||||||
합동참모본부 | ||||||||||||||||||||||||
작전본부장 | 군사지원본부장 | 전략기획본부장 | 정보본부장 | |||||||||||||||||||||
이승오 | 강동길 | 손정환 | 원천희 | |||||||||||||||||||||
해군작전사령관 | 공군작전사령관 | |||||||||||||||||||||||
황선우 | 김형수 |
}}} {{{#!wiki style="margin:-30px -1px -11px" |
전략사령관 | |||||||||||||||||||||
진영승 | ||||||||||||||||||||||||
국방대학교 총장 | ||||||||||||||||||||||||
임기훈 | ||||||||||||||||||||||||
육군사관학교장 | 해군사관학교장 | 공군사관학교장 | ||||||||||||||||||||||
소형기 소장 | 김경률 | 차준선 | ||||||||||||||||||||||
육군교육사령관 | 해군교육사령관 | 공군교육사령관 | ||||||||||||||||||||||
김봉수 | 강정호 | 손석락 |
}}} {{{#!wiki style="margin:-30px -1px -11px" |
육군군수사령관 | 육군미사일전략사령관 | 육군특수전사령관 | 수도방위사령관 | |||||||||||||||||
손대권 | 김규하 | 박성제 소장, 직무대리 | 김호복직무대리 |
}}} {{{#!wiki style="margin:-30px -1px -11px" |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 |||||||||||||||||
김호복 | 권대원 | 김권 소장 | ||||||||||||||||||||||
수도군단장 | 제1군단장 | 제2군단장 | ||||||||||||||||||||||
박정택 | 주성운 | 박후성 | ||||||||||||||||||||||
제3군단장 | 제5군단장 | 제7군단장 | ||||||||||||||||||||||
서진하 | 김성민 | 박재열 | ||||||||||||||||||||||
※ 둘러보기: 대장 | 사단장 | 함대사령관 | 공군기능사령관 | 전단장 | 비행단장 | 주임원사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8940><tablebgcolor=#008940>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8940><tablebgcolor=#008940>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
|||||
초대 이형근 |
2대 원용덕 |
3대 정일권 |
4대 송호성 |
5대 김백일 |
|
6대 최덕신 |
7대 김홍일 |
8대 이준식 |
9대 안춘생 |
10대 김종오 |
|
11대 박병권 |
12대 장창국 |
13대 백남권 |
14대 이한림 |
15대 강영훈 |
|
16대 김용배 |
17대 박중윤 |
18대 정래혁 |
19대 이세호 |
20대 김희덕 |
|
21대 심흥선 |
22대 최세인 |
23대 최우근 |
24대 정승화 |
25대 백석주 |
|
26대 차규헌 |
27대 김복동 |
28대 최연식 |
29대 황인수 |
30대 지일환 |
|
31대 최문규 |
32대 장준익 |
33대 민병돈 |
34대 이필섭 |
35대 임인조 |
|
36대 김정헌 |
37대 장성 |
38대 김정남 |
39대 장창규 |
40대 한승의 |
|
41대 오남영 |
42대 박준근 |
43대 김충배 |
44대 김선홍 |
45대 임충빈 |
|
46대 김현석 |
47대 정승조 |
48대 이봉원 |
49대 박종선 |
50대 박남수 |
|
51대 고성균 |
52대 양종수 |
53대 최병로 |
54대 김완태 |
55대 정진경 |
|
56대 김정수 |
57대 강창구 |
58대 전성대 |
59대 권영호 |
60대 정형균 |
|
61대 소형기 |
|||||
※ 초대~13대, 17대, 19대, 51대, 58대, 60대, 61대: 대령, 준장, 소장 / 14대~59대: 중장 |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육군사관학교장 陸軍士官學校長 Superintendent of Korea Military Academy |
|
현직 | <colbgcolor=#fff,#1f2023> 소형기 (제61대) |
취임일 | 2024년 12월 3일 |
임관 | 육군사관학교 50기 |
[clearfix]
사관학교설치법 제5조(교장과 공무원의 임명) ① 사관학교에 교장 외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필요한 공무원과 군인, 군무원(이하 “공무원”이라 한다)을 둔다. ② 교장은 각군의 장성급(將星級) 장교 중에서 각군 참모총장의 제청으로 국방부장관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한다. |
1. 개요
육군사관학교의 지휘관으로 중장이 보임된다.2. 상세
대한민국 육군에서 현재까지 오직 육군사관학교 출신만 임명된 유일한 보직이다.[1] 보통 군단장을 끝낸 중장이 임명되는 2차 보직에 속한다.중장 보직 중 명예와 대외적 위상은 높지만 진급 가능성은 낮은 한직이고, 대개 이 자리에서 전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육사가 비전투부대이자 교육기관이기에 필연적인 현상이다. 대장 진급 가능성이 큰 중장은 2차 보직으로 합참 작전본부장을 받고[2]이 외에도 육군참모차장[3],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4] 등 현행 작전 및 정책의 중책을 맡는다. 이 세 직책 외의 육군 중장은 사실상 진급 가능성이 매우 떨어진다.[5][6]그래도 군단장까지 해 보고서 모교의 학교장으로 군생활의 마무리를 지을 수 있는 명예로운 직위이기에, 아예 존재감도 할 일도 없는 한직인 야전군 부사령관보다는 낫다.
3. 역대 육군사관학교장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8940><tablebgcolor=#008940>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8940><tablebgcolor=#008940>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
|||||
초대 이형근 |
2대 원용덕 |
3대 정일권 |
4대 송호성 |
5대 김백일 |
|
6대 최덕신 |
7대 김홍일 |
8대 이준식 |
9대 안춘생 |
10대 김종오 |
|
11대 박병권 |
12대 장창국 |
13대 백남권 |
14대 이한림 |
15대 강영훈 |
|
16대 김용배 |
17대 박중윤 |
18대 정래혁 |
19대 이세호 |
20대 김희덕 |
|
21대 심흥선 |
22대 최세인 |
23대 최우근 |
24대 정승화 |
25대 백석주 |
|
26대 차규헌 |
27대 김복동 |
28대 최연식 |
29대 황인수 |
30대 지일환 |
|
31대 최문규 |
32대 장준익 |
33대 민병돈 |
34대 이필섭 |
35대 임인조 |
|
36대 김정헌 |
37대 장성 |
38대 김정남 |
39대 장창규 |
40대 한승의 |
|
41대 오남영 |
42대 박준근 |
43대 김충배 |
44대 김선홍 |
45대 임충빈 |
|
46대 김현석 |
47대 정승조 |
48대 이봉원 |
49대 박종선 |
50대 박남수 |
|
51대 고성균 |
52대 양종수 |
53대 최병로 |
54대 김완태 |
55대 정진경 |
|
56대 김정수 |
57대 강창구 |
58대 전성대 |
59대 권영호 |
60대 정형균 |
|
61대 소형기 |
|||||
※ 초대~13대, 17대, 19대, 51대, 58대, 60대, 61대: 대령, 준장, 소장 / 14대~59대: 중장 |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1]
대한민국에서 가장 위상이 높은 사관학교인 만큼 육군사관학교 출신 장교가 교장으로 부임하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한 일.
육군참모총장,
육군특수전사령관도
육군사관학교 출신만 임명되던 보직이었으나 학군 23기인
남영신 대장이 이 두 보직을 역임해 전례를 깼다. 육군3사관학교장도 육사 교장과 같은 이유로 3사 출신 인물이 주로 보임되지만 가끔 타 출신(주로 육군사관학교 출신)이 3사 교장이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2]
물론 작전본부장의 대장 진급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고는 해도 100% 진급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박근혜 정부 - 문재인 정부에서 작전본부장을 지냈던 신원식(육 37), 김용현(육 38), 안영호(육 42)는 대장 진급에 실패한 사례가 있다. 하지만 3군의 작전을 총괄하는 보직인 만큼 중요성이 상당히 크며, 두 정부에서 작전본부장을 지냈던 신현돈(육 35), 박선우(육 35), 엄기학(육 37), 서욱(육 41), 박정환(육 44), 전동진(육 45)는 대장 진급에 성공했다. 대장 진급 확률은 66.6%
[3]
박근혜 - 문재인 정부에서 박찬주(육 37), 최병혁(육 41), 김승겸(육 42), 안병석(육 45)가 대장 진급에 성공했다. 하지만 황인무(육 35), 김유근(육 36), 정연봉(육 38), 구홍모(육 40), 박주경(육 42), 황대일(육 43) 6명이 대장 진급을 이루지 못 하고 중장에서 전역했으니 대장 진급 확률이 50% 미만이기는 하다.
[4]
다만 이 쪽도 두 개의 야전군을 합쳐놓았기 때문에 중책이지만 대장 진급과는 거리가 먼 자리에 가깝다. 대장 진급은 제2작전사령관을 지낸 김정수(육 42) 장군 1명 밖에 하지 못 했고, 이정기(육 41), 최진규(학사 9), 김현종(육 44)는 대장 진급을 하지 못 하고 중장에서 전역했다.
[5]
해/공군은 사정이 약간 다른데, 중장 자리가 5개밖에 없어서 참모차장, 교육사령관과 함께 사관학교장이 중장 1차 보직이고, 3개 보직 중 하나를 역임한 후 중장 2차 보직인 작전사령관이나 합참 본부장 및 차장으로 이동한다. 그래서 요직에 있는 중장 및 대장 중 누군가가 사고를 쳤을 때 보직이 변경되는 사람이 교육사령관과 사관학교장이다. 이쪽은 소장으로 보임되는 경우가 한직으로 본다.
[6]
박근혜 - 문재인 정부 시기의 진급 양상을 보면 합참차장 2명(김현집(육 36), 박정환(육 44)), 합참 군사지원본부장 1명(신현돈(육 35), 합참 전략기획본부장 2명(임호영(육 38), 김용우(육 39)), 육군항공작전사령관 2명(이순진(3사 14), 김영식(육 37)), 군사안보지원사령관 1명(남영신(학 23)), 1군 부사령관 1명(장준규(육 36)), 3군 부사령관 1명(박종진(3사 17)), 2군단장 1명(김운용(육 40)), 3군단장 2명(김병주(육 41), 신희현(학 27)), 8군단장 2명(박한기(학 21), 황인권(3사 20)), 국방비서관 1명(안준석(육 43))이다. 정권교체로 인한 인사적체 해소라는 특수한 상황이 2번 있었기 때문에 중장 1차 보직인 군단장에서 바로 대장 진급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볼 수 있었다. 확실한 것은 한직인 부사령관이나 중장 1차 보직인 군단장에서 대장 진급하는 것은 상당히 이례적인 경우이며, 정권교체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나 볼 수 있다. 항공작전사령관이 항공병과장(소장) 보직으로 바뀌었으며, 국방비서관이 다시 소장으로 환원된 지금은, 다른 보직들과 달리 합참 작전본부장, 육군참모차장의 진급 가능성이 더 큰 양상을 볼 수 있다. 합참차장은 육군이 맡으면 한직에 가깝고, 합참 내의 군사지원본부장이나 전략기획본부장은 보통 해/공군의 몫으로 주어지기 때문에 육군 몫으로 배정되는 사례도 적다. 또한 방첩사령관은 임기제 중장의 몫이기 때문에
하나회 청산 이후로 대장 진급한 사례가 단 2명에 불과하다.
[7]
전임자인
박남수 중장이 사관학교장 재임시절 육사 4학년 생도가 후배 생도를 성폭행한 사건이 발생하여 예편하는 상황이 벌어지면서 조정환 육군참모총장의 발탁으로 인해 육군훈련소장에서 급하게 전보되었다. 그래서 이례적으로 소장 계급으로 육군사관학교장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