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89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900> | }}} | |
{{{#!wiki style="color: #0089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신칸센 총괄본부 | ||
도호쿠 신칸센 - 조에츠 신칸센 - 호쿠리쿠 신칸센 | |||
모리오카 지사 | |||
■ 도호쿠 본선 - ■ 오후나토선 - ■ 키타카미선 - ■ 카마이시선 - ■ 타자와코선 (■ 아키타 신칸센) - ■ 하나와선 - ■ 야마다선 - ■ 하치노헤선 - ■ 오미나토선 - ■ 오우 본선 - ■ 츠가루선 | |||
아키타 지사 | |||
■ 오우 본선 (■ 아키타 신칸센) - ■ 키타카미선 - ■ 타자와코선 (■ 아키타 신칸센) - ■ 우에츠 본선 - ■ 오가선 - ■ 고노선 | |||
센다이 지사 (센다이 대도시근교구간) | |||
■ 도호쿠 본선 (■ 센다이 공항 액세스선 - ■ 센세키토호쿠라인) - ■ 조반선 - ■ 센세키선 (■ 센세키토호쿠라인) - ■ 센잔선 - ■ 이시노마키선 - ■ 케센누마선 - ■ 반에츠토선 - ■ 반에츠사이선 - ■ 타다미선 - ■ 오우 본선 (■ 야마가타선 - ■ 야마가타 신칸센) - ■ 요네사카선 - ■ 아테라자와선 - ■ 리쿠우토선 - ■ 리쿠우사이선 | |||
타카사키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타카사키선 - ■ 죠에츠선 - ■ 아가츠마선 - ■ 료모선 - ■ 신에츠 본선 - ■ 하치코선 | |||
미토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조반선 - ■ 미토선 - ■ 스이군선 | |||
치바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소부 본선 ( 소부 쾌속선 - 츄오-소부선) - 케이요선 - 무사시노선 - ■ 나리타선 - ■ 카시마선 - ■ 소토보선 - ■ 토가네선 - ■ 우치보선 - ■ 쿠루리선 | |||
오미야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도호쿠 본선 ( 우츠노미야선 - 타카사키선 - 케이힌토호쿠선 - 사이쿄선 - 쇼난신주쿠라인) - 무사시노선 - ■ 카와고에선 - ■ 닛코선 - ■ 카라스야마선 | |||
도쿄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도카이도 본선 ( 도카이도선 - 케이힌토호쿠선 - 요코스카선 - 쇼난신주쿠라인 - ■ 우에노도쿄라인 - ■ 힌카쿠선 - 소테츠·JR직통선) - ■ 도호쿠 본선 ( 우츠노미야선 - 타카사키선 - 케이힌토호쿠선 - 사이쿄선 - 쇼난신주쿠라인 - ■ 우에노도쿄라인) - 야마노테선 - ■ 아카바네선 ( 사이쿄선) - ■ 츄오 본선 ( 츄오 쾌속선 - 츄오-소부선) - ■ 소부 본선 ( 소부 쾌속선 - 츄오-소부선) - ■ 조반선 ( 조반 쾌속선 - 조반 완행선 - ■ 우에노도쿄라인) - 케이요선 - 무사시노선 | |||
요코하마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도카이도 본선 ( 도카이도선 - 케이힌토호쿠선 - 쇼난신주쿠라인 - 소테츠·JR직통선) - 요코스카선 ( 쇼난신주쿠라인) - 난부선 - 츠루미선 - 요코하마선 - 네기시선 - ■ 사가미선 - ■ 이토선 | |||
하치오지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츄오 본선 ( 츄오 쾌속선 - 츄오-소부선) - 오메선 - 이츠카이치선 - 난부선 - 무사시노선 - ■ 하치코선 - 요코하마선 | |||
니가타 지사 (니가타 대도시근교구간) | |||
■ 신에츠 본선 - ■ 우에츠 본선 - ■ 죠에츠선 - ■ 에치고선 - ■ 야히코선 - ■ 하쿠신선 - ■ 요네사카선 - ■ 반에츠사이선 - ■ 타다미선 - ■ 이야마선 | |||
나가노 지사 | |||
■ 츄오 본선 - ■ 코우미선 - ■ 시노노이선 - ■ 오이토선 - ■ 신에츠 본선 - ■ 이야마선 | |||
폐선 | |||
츠가루 해협선(2016) - 이와이즈미선(2014) - 신에츠 본선 요코카와~카루이자와 (우스이 급구배 구간)(1997) | }}}}}}}}} |
일본의 간선급행버스체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3594d3> 전용도로 운행노선 |
아사 해안철도 아사토선 ·
유토리토 라인 ·
오후나토선 BRT 케센누마선 BRT · 카시테츠 버스 · 하쿠호선 BRT · 히타치 BRT · BRT 히코보시 라인 |
일반도로 운행노선 |
나고야 버스 키칸2 ·
니가타 버스 B1 ·
세이류라이너 이마자토라이너 · 키타큐슈 BRT · 후쿠오카 BRT |
|
계획노선 | 도쿄 BRT(2023) | |
임시노선 | 쿠레선 BRT |
[ruby(大, ruby=おお)][ruby(船, ruby=ふな)][ruby(渡, ruby=と)][ruby(線, ruby=せん)] Ōfunato Line | 오후나토선 |
|
[ruby(大, ruby=おお)][ruby(船, ruby=ふな)][ruby(渡, ruby=と)][ruby(線, ruby=せん)][ruby(BRT, ruby=ビーアールティー)] Ōfunato Line BRT | 오후나토선 BRT |
|
<nopad>
키하 100계 동차 |
|
노선 정보 | |
애칭 |
드레곤 레일 오후나토선 (ドラゴンレール大船渡線) |
분류 | 지방교통선, BRT |
기점 | 이치노세키역 / 케센누마역(오후나토선 BRT) |
종점 | 케센누마역 / 사카리역(오후나토선 BRT) |
역 수 / 정류장 수 | 14 / 26 |
개업일 | 1925년 7월 26일 / 2013년 3월 2일(오후나토선 BRT) |
소유자 | JR 동일본 |
운영자 | |
사용차량 |
키하 100계 동차[1] 히노 블루 리본 시티 하이브리드 이스즈 엘가 하이브리드 히노 블루 리본 하이브리드 |
차량기지 | 이치노세키 운수구 / 이와테현교통 케센누마 영업소 • 케센누마 영업소 타카다지소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62.0㎞ |
궤간 | 1067㎜ |
선로구성 | 단선 |
사용전류 | 비전화 |
폐색방식 | 특수자동폐색식 |
신호장비 | ATS-Sn |
최고속도 | 85㎞/h |
BRT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43.7㎞[2] |
선로구성 | 전구간 단선 |
사용동력 | 디젤 하이브리드 |
실측지도 상의 오후나토선 |
이치노세키~케센누마 간 주행영상 |
케센누마~사카리 간 BRT 주행영상 |
[clearfix]
1. 개요
JR 동일본의 지방교통선 중 하나로, 열차는 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의 이치노세키역으로부터 미야기현 케센누마시 케센누마역까지 운행하며, 연계 버스는 케센누마역에서 출발하여 이와테현 리쿠젠타카타역을 경유, 오후나토시의 사카리역을 잇는다. 이치노세키 - 케센누마 구간에서 위쪽으로 돌아가는 등[3] 괴상한 선형 때문에 '드래곤 레일 오후나토선(ドラゴンレール大船渡線)'이라는 애칭이 있으며, 명칭대로 꼬불꼬불 다니는 노선이지만, 2011년 3월의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하여 궤멸적인 피해를 받아 일부 구간은 그대로 폐선되었으며, 대체 교통수단으로 2013년부터 BRT를 운행중이다.[4]1918년 경편철도법에 의해 이치노세키에서 케센누마까지의 철도 계획이 수립된 것을 시초로 볼 수 있으며 1925년부터 1934년까지 개통이 완료되었다.
열차는 이치노세키-케센누마 구간을 운행중이며, 케센누마에서 사카리까지는 히노 블루 리본 시티 하이브리드 • 이스즈 엘가 하이브리드 • 히노 블루 리본 하이브리드 BRT 버스가 다니고 있다. 철도구간에는 키하 100계 동차가 다닌다.
케센누마-사카리 구간은 노선 주변 자치단체 3개시가 받아들여 폐선을 결정하였다. JR 동일본에서 2019년 11월 12일에 정식으로 철도사업 폐지신고서를 제출했다. 게다가 동일본 대지진 이전부터 수요가 안 좋았다는 점이 있었고, 도호쿠 지방의 대표적인 도시인 센다이를 연결하는 산리쿠자동차도로 다닐 수 있기 때문에 폐선을 어느 정도 받아들이는 것으로 보인다. 2020년 4월 1일부로 폐선되었다. 철도사업 폐지 전에는 철도노선의 대행 명목으로 운행하였으나, 현재는 JR에서 운영하는 독자 체계로 철도 승차권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야지마 페리와 같은 취급이다. 철도시각표에 딸린 노선도에도 BRT 노선은 철도 노선과 달리 두 줄로 표기되어 있다.
기존 철도 노반을 최대한 재사용한 케센누마선 BRT와 달리, 오후나토선 BRT는 케센누마역- 리쿠젠타카타역 구간을 기존 철도와 다른 경로로 지난다. 원래 노선은 산골짜기를 지나가 수요도 없고 도로 인프라도 부족했기에, 그나마 마을이라도 있고 자동차도로가 잘 정비된 해안가 쪽으로 노선을 바꾼 것. 기존 연선 중 민가가 조금이나마 있는 케센누마역- 카미시시오리역 및 리쿠젠야하기역- 리쿠젠타카타역 구간은 하술할 BRT 지선으로 운행 중이다.
2020년 3월 14일부로 일부 버스는 케센누마선과 직결한다.
급한사람은 9:43 참조.
오후나토선 BRT에는 철도 건널목 공통 BRT 건널목이 있다.[5]
1.1. 노선 데이터
- 관할: 동일본 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 구간: 이치노세키~케센누마 62.0km
- 궤간: 1067mm
- 역수: 14
- 전구간 단선
- 전구간 비전화
- 폐색방식: 특수 자동폐색식 (전자부호 조사식)
- 운전지령소: 이치노세키 운행센터 (이치노세키 CTC)
- 신호장비: ATS-Sn
- 최고속도: 85km/h
- 교통카드 호환지역: 없음[6]
- 평균통과인원 (2019년)
- 이치노세키~케센누마: 754명/일
- 케센누마~사카리: 274명/일
- 영업본부: 모리오카 지사
2. 노선
- 폐선 구간은 BRT로 전환하여 운용중인 구간이다. BRT 정류장에 대해서는 밑의 BRT 부분참조.
JR 오후나토선 | |||
<rowcolor=#373a3c> 역명 | km | 환승노선 | 위치 |
이치노세키 (一ノ関) |
0.0 | ¶ JR 동일본 도호쿠 신칸센, ■ 도호쿠 본선 |
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 |
마타키 (真滝) |
5.7 | ||
리쿠츄칸자키 (陸中門崎) |
13.7 | ||
이와노시타 (岩ノ下) |
17.5 | ||
리쿠츄마츠카와 (陸中松川) |
21.3 | ||
게이비케이 (猊鼻渓) |
23.3 | ||
시바주쿠 (柴宿) |
26.1 | ||
스리사와 (摺沢) |
30.6 | ||
센마야 (千厩) |
39.8 | ||
코나시 (小梨) |
43.4 | ||
야고시 (矢越) |
47.6 | ||
오리카베 (折壁) |
49.7 | ||
니츠키 (新月) |
55.3 | ||
케센누마 (気仙沼) |
62.0 | ¶JR 동일본 ■ 케센누마선, ■오후나토선 BRT |
미야기현 케센누마시 |
2.1. 폐선 구간
-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 이후 영업이 완전히 중단되었으며, 2013년부터 철로를 걷어내고 도로를 내어 BRT개업후 2020년 4월 1일 공식 폐선되었다.
JR 오후나토선 (폐선 구간) | ||||
<rowcolor=#373a3c> 역명 | km | 환승노선 | 위치 | |
케센누마 (気仙沼) |
62.0 | ¶JR 히가시니혼 ■ 케센누마선 |
미야기현 케센누마시 |
|
시시오리카라쿠와 (鹿折唐桑) |
64.2 | |||
카미시시오리 (上鹿折) |
69.5 | |||
리쿠젠야하기 (陸前矢作) |
79.5 |
이 와 테 현 |
리쿠젠타카타시 | |
타케코마 (竹駒) |
82.5 | |||
리쿠젠타카타 (陸前高田) |
85.4 | |||
와키노사와 (脇ノ沢) |
88.3 | |||
오토모 (小友) |
92.8 | |||
호소우라 (細浦) |
97.1 | 오후나토시 | ||
시모후나토 (下船渡) |
100.2 | |||
오후나토 (大船渡) |
103.1 | |||
사카리 (盛) |
105.7 |
¶
산리쿠 철도 ●
리아스선 ¶ 이와테 개발철도 히코로이치선, 아카사키선 |
2.2. BRT 구간
2.2.1. 케센누마-사카리
JR 오후나토선 BRT 본선 | ||||
<rowcolor=#373a3c> 역명 | km | 환승노선 | 위치 | |
케센누마 (気仙沼) |
62.0 | ¶JR 히가시니혼 ■오후나토선(이치노세키 방면), ■케센누마선 |
미야기현 케센누마시 |
|
시시오리카라쿠와 (鹿折唐桑) |
64.2 | ¶카미시시오리 방면 | ||
하치만대교(토료고교) (八幡大橋(東陵高校)) |
65.3 | |||
카라쿠와오사와 (唐桑大沢) |
75.5 | |||
오사베 (長部) |
77.8 |
이 와 테 현 |
리쿠젠타카타시 | |
리쿠젠이마이즈미 (陸前今泉) |
||||
키세키노잇폰마츠 (奇跡の一本松) |
82.4 | |||
리쿠젠타카타 (陸前高田) |
85.4 | ¶리쿠젠야하기 방면 | ||
타카타코코마에 (高田高校前) |
86.2 | |||
타카타뵤인 (高田病院) |
87.6 | |||
와키노사와 (脇ノ沢) |
88.3 | |||
니시시타 (西下) |
90.4 | |||
오토모 (小友) |
92.8 | |||
고이시카이간구치 (碁石海岸口) |
95.4 | 오후나토시 | ||
호소우라 (細浦) |
97.1 | |||
오후나토마루모리 (大船渡丸森) |
||||
시모후나토 (下船渡) |
100.2 | |||
오후나토어시장앞 (大船渡魚市場前) |
101.7 | |||
오후나토 (大船渡) |
103.1 | |||
지노모리 (地ノ森) |
||||
타모야마 (田茂山) |
||||
사카리 (盛) |
105.7 |
¶산리쿠 철도 ●리아스선 ¶이와테 개발철도 히코로이치선, 아카사키선 |
2.2.2. 케센누마-카미시시오리
- 미야기 교통의 자회사인 미야코 버스의 일반노선버스의 일부를 BRT로 운행하는 구간으로, JR 동일본 홈페이지나 각종 환승안내 앱에서 시각표 조회가 되지 않는다. 대신 JR 동일본 홈페이지에 링크된 PDF 파일에서 시각표를 볼 수 있다. 케센누마 - 카미시시오리 구간에 정차 정류장이 더 많지만, BRT 명목으로 서는 정류장은 아래 3개이다.
JR 오후나토선 BRT 지선1 | |||
<rowcolor=#373a3c> 역명 | km | 환승노선 | 위치 |
케센누마 (気仙沼) |
62.0 | ¶JR 히가시니혼 ■케센누마선 |
미야기현 케센누마시 |
시시오리카라쿠와 (鹿折唐桑) |
64.2 | ¶사카리 방면 | |
카미시시오리 (上鹿折) |
69.5 |
2.2.3. 리쿠젠야하기-리쿠젠타카타
JR 오후나토선 BRT 지선2 | |||
<rowcolor=#373a3c> 역명 | km | 환승노선 | 위치 |
리쿠젠야하기 (陸前矢作) |
79.5 |
이와테현 리쿠젠타카타시 |
|
타케코마 (竹駒) |
82.5 | ||
토치가사와코엔 (栃ヶ沢公園) |
83.7 | ||
리쿠젠타카타 (陸前高田) |
85.4 | ¶사카리·케센누마 방면 | |
↓ | 직통운행: 일부 BRT버스 사카리까지 직통운행 |
[1]
0, 100번대
[2]
단, 철도운행시 기준인 "영업 킬로(営業キロ)"를 따르기 때문에 실제 주행거리와 다르다.
[3]
지역 정치가의 입김이 있었다고 한다.
직접 봐 보자.
[4]
지역버스사업자인 "이와테현교통(岩手県交通)"의 게센누마 영업소(気仙沼営業所)와 게센누마 영업소 타카다지소(気仙沼営業所高田支所)가 위탁 운행한다.
[5]
사카리역 쪽에 있고,
산리쿠 철도
리아스선과 같이 쓰기 때문에 그대로 놔둔다. 폐선된 구간에 있었던 건널목들은 당연히 없애버렸다. 그 대신 건널목이 있었던 곳은 BRT 전용 도로에 BRT 전용 버스 외 다른 차들(특히
오토바이와
자전거)이 못 들어가게 차단기가 설치되었다.
[6]
BRT 구간에서는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