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1 23:13:08

오케아노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AD:PIANO 3의 수록곡에 대한 내용은 Ωκεανος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Fate/Grand Order의 스토리에 대한 내용은 Fate/Grand Order/스토리/오케아노스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CASIO의 시계 브랜드에 대한 내용은 오셔너스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테르 게이저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오케아노스(에테르 게이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가이아 우라노스의 자식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티타네스
오케아노스
대양
휘페리온
광명
코이오스
총명
이아페토스
크리오스
성좌
크로노스
농경
티타니데스
테튀스
맑은물
테이아
창공
포이베
신탁
테미스
율법
므네모쉬네
기억
레아
풍요
}}}}}} ||


1. 개요2. 설명3. 행적 및 가족관계
3.1. 자식들
3.1.1. 오케아니데스3.1.2. 포타모이
4. 대중매체에서5. 관련 문서

1. 개요

오케아노스 (Ὠκεανός / Okeanos)
대양의 신
그리스 로마 신화 티탄 신족이자 2세대 바다[1]의 신. 대서양의 지배자이기도 하다. 우라노스 가이아 사이에서 태어난 티탄 12남매 중 장남이며 대양/대하(大河)의 신.[2] 아내는 같은 부모를 둔 누이이자 모든 수역을 포괄하는 물의 어머니인 테튀스이다.

지식과 지성의 조합인 코이오스 포이베, 빛의 조합인 휘페리온 테이아, 대지와 농업 조합인 크로노스 레아와 마찬가지로 오케아노스와 테튀스도 다른 형제자매 부부들처럼 바다의 조합이다. 또, 티탄의 자식으로는 최초로 어머니인 가이아와 결혼한 아들이며 오케아노스의 또다른 아내이자 바다와 땅 조합의 두 번째 부부이다.[3] 그리고 조카인 데메테르와 관계한 기록도 있다고 한다.

2. 설명

고대 그리스인들은 세계가 원형의 평평한 판처럼 생겼고 그 주위를 오케아노스(신의 이름과 동일하다. 대양강이라고 하기도 한다.)라는 큰 강이 둘러싸고 흐른다고 생각했다. 이 신이 로마 신화와 융합되며 오케아누스(Oceanus)가 됐고, 이는 오션(Ocean: 대양)의 어원이 되었다.

주류 언어학계에서 제시하는 그리스어 기층설에 의하면, 오케아노스는 또다른 바다의 신인 폰토스와 함께 그리스 선주민들의 신화에서 그리스 신화로 차용된 신격일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그리스인들의 먼 조상인 원시 인도유럽인들의 고유한 신화에는 바다의 신이 없기 때문에, 이들 두 신의 신격들은 그리스 신화에 원래부터 있던 것은 아니라는 이야기다. 인도유럽조어 바다는 *mori라고 한다. 그리고 원시 인도유럽 신화에는 물의 신인 넵토노스(Neptonos)가 있었는데, 이 신은 로마 신화에서는 바다의 신인 넵투누스(Neptunus, Neptune)가 되었지만, 그리스 신화에서는 포세이돈과 폰토스, 오케아노스, 탈라사가 바다의 신의 지위를 차지했다.[4] 이들의 이름이 넵토노스나 *mori와도 전혀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들 신들은 그리스 선주민들의 신격이 그리스 신화에 차용되어 유입된 것이거나, 선주민들의 언어[5]로 바다를 뜻하는 말이 동일한 의미를 상징하는 신격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손윤락의 <그리스인들의 우주 신화와 철학>이라는 논문에 따르면, 오케아노스는 모든 신들의 조상에 해당되는 태초의 존재이자 만물의 시간적 기원격에 해당되며, 그 자체로 세상의 끝을 이루는 것이고 밑에서 세계를 떠받치는 존재이다. 그렇기에 오케아노스는 시간적 기원은 물론 세계의 공간적 기원에도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6] 그러나 그리스도교가 대세가 됨에 따라 오케아노스가 지닌 시간과 관련된 의미는 점차 잊혔고, 세계의 하천들의 아버지이자 대하의 신으로 여겨졌다고 한다.

안진태의 <불멸의 파우스트>라는 저서에 있는 내용에 따르면,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강과 바다, 샘물, 우물은 전부 이 오케아노스의 소생이며, 세계를 형성해낸 기본적인 힘이었다고 한다. 그러면서, 오케아노스의 남매이자 그와 결합한 테튀스는 오케아노스의 분신이자 생산을 위해 성을 분리한 경우일 수도 있다고 한다.

또, 오르픽 찬송가에 따르면 영원한 아버지이자 모든 강과 바다의 근원이며, 인간과 신들의 창조자이고 지구의 경계를 두르는 존재라고 한다. 거기에, 모든 신과 인간의 아버지라고 한다.

1세대 바다의 신 폰토스가 물질과 영혼이 공존하는 생명의 상징에 해당된다면, 오케아노스는 대우주와 소우주 모두에 존재하는 인간의 신체 뿐만이 아닌 우주 전체를 관통하는 에너지 의식의 흐름의 상징인 창조의 힘을 나타냈다. 바다의 신이니 만큼 아내인 테튀스와 함께 우주에 존재하는 염수와 육수(담수)를 포함한 모든 수역, 그리고 그 안에서 사는 모든 것들을 지배했고 강, 우물, 개울, 분수의 아버지[7]이자 바다를 형상화하고 바다가 지닌 거대한 힘을 다스렸다.

달리 천체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었고, 바다와 하늘 뿐만이 아닌 산 자와 죽은 자의 경계를 표시하는 한계선으로 여겼으며, 스스로의 물 속에서 솟아나온 천상의 육체를 다스렸다. 수체의 물리적 발현 뿐만이 아닌 흐름을 조절하고 생명을 주는 힘도 지녔고 자연계의 조화로운 균형을 보장하고 강, 샘 등 물의 흐름을 유지할 수 있는 존재로 믿었다. 헤시오도스의 작품에서 스스로의 물 속에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천체들을 조절하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이러한 묘사는 하늘의 순환성을 지배하는 신적 존재로서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이다.

여려 설화, 신화, 계보에서 신들의 기원과 창조의 근본적 본질과 연결되며, 몇몇 문헌에선 현존하는 모든 것들의 조상이자 기원에 있음을 강조한다.

3. 행적 및 가족관계

남자 형제로는 남동생들인 코이오스, 휘페리온, 크리오스, 이아페토스, 크로노스, 형 혹은 동생들인 브론테스, 스테로페스, 아르게스, 코토스, 브리아레오스, 귀에스가 있으며 여자 형제로는 테이아, 레아, 므네모쉬네, 포이베, 테튀스, 테미스가 있다.[8][9]

티타노마키아 때는 동생인 휘페리온, 조카들인 프로메테우스 에피메테우스 형제와 같이 제우스의 편을 들어서 별다른 처벌은 받지 않았다. 이후 지중해를 조카이자 후임 신인 포세이돈에게 내주었지만 대서양에서 아내와 같이 잘 살고 있다.

후에 헤라클레스 게뤼온의 소를 훔치러 갈 때 사위들 중 한 명인 헬리오스의 황금사발을 대신 빌려주어 바다를 건너게 도와주기도 했다.

호메로스의 저서 일리아스(일리아드)에는 창조신으로 나온다. 링크

오비디우스의 《 변신 이야기》에 나오는 내용으로는, 헤라의 양부모 노릇을 했었으며,[10] 칼리스토와 그 자식이 별자리가 되었을 때 바다에서 쉬지 못하게 해 달라는 헤라의 부탁을 들어주었다. 헤라가 젊음을 유지할 수 있는 카나토스 샘도 오케아노스의 거처에 있으며, 제우스의 불륜에 질려버린 헤라가 이 곳으로 도망치기도 한다.

오케아노스는 홍은영의 그리스 로마 신화와 일부 책들을 제외하면 다른 형제들과 같이 타르타로스에 감금되었다.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 구판과 신판에선 다른 형제들과 티타노마키아에서 패배하여 타르타로스에 떨어졌고, 만화로 읽는 초등 인문학 그리스 로마 신화에선 크로노스, 레아, 테미스를 제외한 티탄들은 타르타로스에 감금당했는데, 이때 오케아노스도 같이 감금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위들로는 이아페토스,[11] 크로노스,[12] 헬리오스,[13] 팔라스,[14] 프로메테우스,[15] 에피메테우스,[16] 아틀라스,[17] 하데스, 포세이돈, 제우스[18]가 있다.

대인배 같은 인자한 성격과는 별개로 고집이 상당히 세고 크로노스의 선동과 꾀임에 넘어가서 휘페리온을 죽였다는 전승도 있고, 티타노마키아에서 제우스의 걱정은 했으나 동생들인 퀴클롭스와 헤카톤케이레스를 걱정하는 모습은 전혀 없었다.

3.1. 자식들

같은 부모를 둔 누이 테튀스와의 사이에서 수많은 강의 신들인 3,000명의 아들(포타모이)과 여신인 3,000명의 딸(오케아니데스)을 낳았다. 실제 이름이 전해지는 신들을 다 모으면 남녀 각각 100명씩 정도.[19]
오케아노스 테튀스의 자식들
3000명의 아들 포타모이
네일로스
나일강
알페이오스
알페이오스강
이나코스
이나코스강
히다스페스
젤룸강
3000명의 딸 오케아니데스
도리스 메티스 스튁스 에우뤼노메 디오네
클뤼메네 아시아 엘렉트라 플레이오네 칼리로에
알려진 신들만 게재

어머니 가이아와도 결혼하여 아이를 낳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 아이가 바로 크레우사.

3.1.1. 오케아니데스

Ωκεανιδες/Okanides

단수는 오케아니드 또는 오케아니스. 강과 샘, 개울, 바다(대양/큰 바다)의 여신들이다. 시인들은 구름(환대, 관대함, 충성심, 평화, 수줍음도 포함)의 여신들인 네펠라이, 산들바람의 여신들인 아우라이, 양과 사과의 여신 에피멜리데스, 꽃이 만발한 물 초원/들판과 풀의 여신 안토사이/레이모니데스도 오케아니데스 그룹에 포함된다고 기록했다.

부모의 권능을 물려받아 소년소녀를 양육할 뿐만 아니라 장미, 황금풀, 포플러 같은 식물들과 기제목, 소목 솟과 양속, 암소 같은 동물들의 생장을 올바르게 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흐름과 속도를 관장하기도 한다. 때로는 항해나 농사에 유리한 날씨를 가져다주는 바람을 통제했다. 특히 고대 희랍인들은 성년식을 수행할 때 양육 보답으로 자기 머리칼을 잘라 오케아니데스, 포타모이, 나이아데스에게 제물로 바쳤다.

다만 네펠라이 중 하나는 제우스가 만든 구름, 또는 프로토게노이 아이테르의 딸들이라는 이설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아우라이는 논노스, 퀸투스 스미르네우스를 포함한 시인들이 각각 렐란토스와 페리보이아의 딸, 겨울과 북풍의 신 보레아스의 딸들이라고 주장하였다.

황금시대부터 한 곳에 모여 정착하지 않고 바다와 땅을 가로질러, 전 세계 곳곳에 넓고 멀리 흩어져 살았다. 티타노마키아 종결 이후 타르타로스에 유폐되지는 않았으나, 역할을 유지시키는 대신 신분과 지위를 격하당한 케이스에 속한다. 트로이 전쟁 종결 이후 헤카베, 카산드라를 포함한 여성 왕족들이 노예로 전락한 행보와 동일하다.[20]

이 오케아니데스 중에는 결혼하여 유명한 자식을 둔 이들이 많다. 이름이 전해지는 오케아니스를 나열하자면,

3.1.2. 포타모이

Ποταμοι/Potamoi

3,000명의 강의 신들이다. 그리스어로는 '강들'(rivers)이란 뜻이고, 현대 그리스어에서도 강이라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다만 발음은 '포타미'로 한다.

가장 인지도가 높은 건 이오의 아버지이자 아르고스의 초대 왕인 이나코스이다. 이 외에도 아소포스,[31] 스카만드로스,[32] 시모에이스, 아켈로오스,[33] 알페이오스,[34] 페네이오스,[35] 네일로스,[36] 에리다누스도 인지도가 있다.

4. 대중매체에서

파일:IMG_오케아노스구판.jpg
파일:Okeanos.jpg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 구판[37] 홍은영의 그리스 로마 신화

5. 관련 문서


[1] 호메로스는 바다를 만물과 모든 신의 근원으로 여겼다. [2] 전 우주를 둘러싸는 거대한 강, 즉 태초를 상징하는 영원히 마르지 않는 생명수를 통해 세상만물의 탄생과 죽음을 관장하고 태초의 물을 상징하며 시간의 흐름을 다스리고 끝없는 변화를 수호하며, 삶과 죽음의 경계(혹은 세계의 경계)에서 모든 존재가 피할 수가 없는 개념이자 요소인 운명 숙명을 관장했었다고 한다. 이는 곧 메소포타미아 원초 지하 수역신 아프수가 원형이기 때문이고, 오케아노스는 살아있는 모든 신들과 생물들의 근원이자 지구를 둘러싸고 땅과 하늘, 지하세계를 연결하는 것으로 생각된 담수강 오세아나아누스의 의인화에 해당된다. [3] 첫 번째는 폰토스와 가이아, 세 번째는 포세이돈과 가이아이다. [4] 그리스 신화에서 넵토노스를 기원으로 하는 존재는 하급 여신들 총칭인 님프다. 로마 신화 넵투누스가 원시 인도유럽 신화에서의 모습과 동일하게 남신이라는 것에 비하면, 이쪽은 신 안에서 하급 존재로 격하됐을 뿐만 아니라 성별도 바뀐 것이다. [5] 셈어로 '구부러지다', '구불구불하다'를 뜻하는 어근 ʕ-w-g 또는 수메르어로 '땅과 하늘과 물'을 뜻하는 *A-ki-an(u)에서 온 것으로 보는 도 있다. [6] 이것은 대단히 중요한 것인데, 고대 문명에서 이 거대한 세계를 굳건한 토대 위에 정초하는 일은 대단히 중요한 것이었기 때문이며, 이것은 탈레스가 만물의 기원을 물이라고 보고, 세계가 물 위에 떠있다고 주장하는 것과 통한다고 한다. [7] 소금과 신선한 모든 물을 포함한 다른 모든 강들의 원천이었다. [8] 티탄 신족이 19남매란 전승에 따르면 1.오케아노스, 2.테튀스, 3.레아, 4.마테리아, 5.포이베, 6.코이오스, 7.이아페토스, 8.테이아, 9.휘페리온, 10.누빌로스, 11.크리오스, 12.테라누스, 13.프라테스, 14.테미스, 15.므네모쉬네, 16.디오네, 17.노아, 18.크로노스, 19.테이라 순으로 나온다. [9] 다른 전승에선 오케아노스가 아닌 코토스가 장남이다. [10] 실제로는 헤라의 큰아버지이다. [11] 복사뼈가 예쁜 아시아(혹은 클뤼메네)와 결혼하여 프로메테우스, 에피메테우스, 아틀라스, 메노이티오스 4형제를 낳았다. [12] 필뤼라를 겁탈하여 케이론을 낳았다. [13] 페르세이스와의 사이에서 두 아들인 아이에테스, 페르세스와 두 딸인 키르케, 파시파에를 낳았고, 네아이라와의 사이에서는 람페티에, 파에투사 자매를, 클뤼메네와의 사이에서는 헬리에, 메로페, 포이베, 디옥시페, 아이테리아 5자매와 파에톤을 낳았고, 클뤼티에(혹은 클뤼티아)와도 엮였다. [14] 장녀 스튁스와 결혼하여 니케, 젤로스, 크라토스, 비아, 라코스, 폰테스 6남매를 낳았다. [15] 프로노이아와 결혼하여 데우칼리온을, 다른 전승에선 헬렌도 낳았다고 한다. [16] 오케아니스 에피라 혹은 자신의 딸 에피라와 결혼했다는 전승이 있다. [17] 플레이오네와의 사이에서 7자매, 아이트라와의 사이에서 8남매, 헤스페리스와의 사이에서 7자매를 낳았다. [18] 메티스와의 사이에서 아테나를, 에우뤼노메와의 사이에서 카리테스 자매를, 플루토와의 사이에서 탄탈로스를, 아프로디테의 경우 디오네와의 사이에서 아프로디테를 낳았단 전승이 있다. [19] 3,000은 10의 3승의 3배인데, 이 “10의 3승”은 실제로는 “10의 3배”에 해당하는 것을 과장한 것일 가능성이 있다. 물 속성을 반영하면 무수히 많음을 설명하기 위하여 붙였을 가능성도 높다. 이에 따르면 아들 90명, 딸 90명이라는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수치가 나온다. [20] 허나 아이스킬로스 비극에 따르면 몇 명 혹은 전체가 조카 혹은 사촌인 프로메테우스 옹호 건으로 타르타로스에 감금당한다. [21] 다른 전승에선 필뤼라가 장녀란 전승도 있다. [A] 가이아와 폰토스의 아들. 어원은 물에 젖은 자, 경이로움. [23] 《신통기》에서는 이 여신의 이름을 '클뤼메네'라고 하고 있으나, 아폴로도로스의 《 도서관》과 다른 그리스 문헌에는 '아시아'라고 한다. 헤시오도스 이후 문헌에서 이 여신의 이름이 아시아로 바뀐 것은 또 다른 오케아니스 자매인 파에톤의 어머니 '클뤼메네'와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출처 : 위키백과 [24] 메로페, 디옥시페, 포이베, 헬리에, 아이테리아. [A] [26] 포세이돈과 메두사의 아들. [27] 헤라클레스의 12과업의 게뤼온이다. [28] 아틀라스의 7명의 딸들. 헤르메스의 어머니 마이아, 시쉬포스의 아내 메로페가 포함되어 있다. 황소자리 플레이아데스 성단 문서에서 조금 더 자세한 이야기가 나온다. [29] 마찬가지로 아틀라스의 7명의 딸들. '휘아스'라는 남자 형제가 한 명 더 있다. 참고로 이 휘아스는 보이오티아 펠라스기안 휘안테스의 시조이다. [30] 데우칼리온을 낳은 게 클뤼메네라는 전승도 있다. [31] 아이기나의 아버지. [32] 아킬레우스를 죽이려고 했던 신. [33] 데이아네이라를 두고 헤라클레스와 결투한 강의 신. 스튁스가 오케아니데스 중 장녀라면 이 신은 포타모이 중 장남이라고 한다. [34] 아르테미스의 시녀 아레투사를 사랑한 신. [35] 다프네, 스틸베의 아버지. [36] 에파포스의 아내 멤피스, 벨로스의 아내 안키노에의 아버지이자 나일 강의 신. [37] 구판에선 수염은커녕 1권 이후로 아예 안 나왔다가 16권에서 헤라가 별자리로 하늘로 승천한 칼리스토가 바다에 몸을 담그지 못하도록 간청했을 때 이를 들어주는 걸로 잠깐 얼굴을 비췄는데, 외모가 완전히 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