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4 16:44:21

영응대군

조선의 왕자
[[틀:조선의 왕자/목조 ~ 연산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안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행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자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덕종(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세종의 왕자
영응대군 | 永膺大君
파일:영응대군묘.jpg
영응대군묘 전경
출생 1434년 6월 1일[1]
조선 한성부 경복궁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사망 1467년 3월 7일[2] (향년 34세)
조선 한성부 안국방 영응대군 사저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묘소 경기도 시흥시 군자동
재위기간 조선 영흥대군
1441년 2월 2일 ~ 1447년 2월 1일
조선 역양대군
1447년 2월 1일 ~ 1447년 3월 26일
조선 영응대군
1447년 3월 26일 ~ 1467년 3월 7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전주 이씨
염(琰)
부모 부왕 세종
모후 소헌왕후
형제자매 부왕 기준 18남 4녀 중 15남
모친 기준 8남 2녀 중 8남
배우자
3명 [ 펼치기 · 접기 ]
정부인 대방부부인 여산 송씨
(帶方府夫人 礪山 宋氏)
1계부인 춘성부부인 해주 정씨
(春城府夫人 海州 鄭氏)
2계부인 연성부부인 연안 김씨
(延城府夫人 延安 金氏)
자녀
1남 3녀 [ 펼치기 · 접기 ]
[ 여산 송씨 소생 - 1녀 ]
장녀 - 길안현주 이억천(吉安縣主 李億千)
[ 연안 김씨 소생 - 1남 2녀 ]
장남 - 청풍군 이원(淸風君 李源)
차녀 - 이모진(李毛珍)
3녀 - 조덕온(趙德穩)의 처
종교 유교 ( 성리학)
명지(明之)
서곡(西谷)
군호 영흥대군(永興大君)
→ 역양대군(歷陽大君)
영응대군(永膺大君)[3]
시호 경효공(敬孝公)
}}}}}}}}} ||
1. 개요2. 생애3. 가족 관계

[clearfix]

1. 개요

조선 전기의 왕족. 세종 소헌왕후 심씨의 8남 2녀 중 막내아들이며[4][5] 전주이씨 영응대군파의 파시조이다.

2. 생애

1441년 영흥대군(永興大君)으로 봉해졌으며, 1443년에 역양대군(歷陽大君)으로, 1447년에 다시 영응대군(永膺大君)으로 개봉(改封)되었다.

영응대군은 세종이 38세, 소헌왕후가 40세 때 낳은 늦둥이였는데[6], 세종은 막내 아들을 무척 사랑했다고 한다. 얼마나 사랑했는지 실록에도 대놓고 세종이 영응대군을 편애했다는 기록이나 # # 영응대군의 집이 지나치게 화려하다고 비판하는 기록 # 등이 자주 등장한다. 또한 영응대군의 묘지문에 따르면 다른 왕자들과 달리 영응대군만 장성할 때까지 세종을 '아버지'라고 불렀다고 한다.[7] 영응대군은 대마도 정벌 때 공을 세운 이순몽의 집으로 피접(避接, 아픈 사람이 다른 곳으로 옮겨서 요양함)을 자주 나갔는데 이순몽 역시 영응대군을 지극히 사랑했다고 한다. 세종의 사랑은 이순몽에게까지 미쳐 주변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이순몽 고관대작으로 삼기도 했다. 세종이 영응대군의 집에서 승하한 뒤 뒤를 이은 문종 세조도 막내동생을 지극히 사랑해 내탕고의 진귀한 보물을 영응대군에게 내려주었다. # 하지만 영응대군은 천성이 검소해 재산을 잘 쓰지 않고 사치를 하지 않았다고 한다.

영응대군의 혼인 과정은 조금 특이한데, 세종은 송복원(宋復元)의 딸[8]과 영응대군을 혼인시켰다. 그러나 송씨가 병이 있어서 세종이 명하여 송씨와 이혼시키고 정충경의 딸에게 다시 장가들게 하였다. 문제는 정씨의 아버지 정충경은 이미 고인이 된 상태였고, 과부가 된 홀어머니와 살고 있었기 때문에, 아버지를 여읜 자식은 혼인 대상에서 배제한다는 당시 왕실 관행상[9] 왕자의 아내가 될 수는 없는 신분이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세종은 영응대군을 강제로 이혼시키면서까지 정씨와의 혼인을 강요하였다. 결국 세종은 영응대군을 재혼시킨 후 말년에 영응대군의 집으로 피접을 나갔다가 그 곳에서 승하했다.

그러나 영응대군은 첫 부인인 송씨를 사랑하였는지, 세종이 죽자 다시 송씨와 만나기 시작했다. 이 때 도움을 준 인물이 영응대군의 둘째 형 수양대군이었는데, 수양대군은 동생을 딱하게 여겨 영응대군이 송씨와 만날 수 있도록 도와 주었다. 결국 영응대군은 송씨와의 사이에서 아이가 태어나면서 정씨와 이혼하고 송씨와 다시 재결합할 수 있었다.[10]

영응대군은 이후로는 크게 정치에 관여하는 일 없이 둘째형 세조의 비호를 받으며 무탈하게 살다가 34살이라는 한창 나이에 자택에서 사망한다. 경기도 시흥시에 묘가 있다.

영응대군의 맏사위가 된 구수영은 연산군의 장녀 휘신공주를 며느리로 맞는 등 연산군 치하에서 아부하며 권세를 누렸다. 그러나 중종반정이 일어나자 구수영은 사돈 연산군을 배신하고 반정에 가담했으며, 며느리 휘신공주도 쫓아낸다. 훗날 휘신공주는 작은아버지 중종의 도움으로 남편 구문경과 재결합하지만, 공주 신분을 되찾지는 못하고 '구문경의 처'로만 불린다.

여담으로, 그의 딸 길안현주[11]의 직계 15대손이 LG그룹 창업주 구인회이다.

3. 가족 관계



[1] 음력 세종 16년 4월 15일 [2] 음력 세조 14년 2월 2일 [3] 봉호는 함경도 영흥 및 그 별칭인 '역양'과, 황해도 연안의 별칭인 '영응'에서 유래했다. [4] 세종에게는 15남(19째), 소헌왕후에게는 8남(10째)이다. [5] 문종, 세조, 안평대군, 임영대군, 광평대군, 금성대군, 평원대군의 친동생이며 단종, 덕종, 예종의 숙부이다. [6] 바로 위의 형인 평원대군과도 7살 차이가 난다. 큰형인 문종과는 무려 20살 차이이며, 큰누나인 정소공주가 죽고 10년 뒤에 태어난 아들이다. [7] 본래 왕의 자식들은 왕인 아버지나 왕비인 어머니한테 아바(어마)마마, 전하라는 호칭을 써야 했다. [8] 오빠가 단종의 왕비 정순왕후의 아버지 송현수다. 즉, 정순왕후 고모인 것. [9] 이 관행은 조선 중기 이후로는 거의 폐기되다시피 하는데, 홀어머니와 살고 있었음에도 왕비로 간택된 명성황후가 대표적인 예다. [10] 이 때문인지 몰라도 수양대군이 장조카 단종을 핍박할 때에는 눈감고 모른 체 하였다. 심지어 자신이 사랑해서 재결합한 아내 송씨의 조카가 단종의 왕비이자 장조카며느리인 정순왕후가 되었음에도 외면했다. 첫째 부인은 단종의 왕비인 정순왕후의 고모였고 둘째 부인은 단종의 누나인 경혜공주의 시누이로 전부 단종과 연결되어 있는데도 외면했다. 물론 이 당시 수양대군에 반대했다가는 안평대군이나 금성대군처럼 숙청당할 수도 있었던 건 감안해야 하겠지만. [11] 구수영의 부인. [12] 1453년 기록에는 두 딸을 낳았다고 되어있고 1477년 기록에는 여러 아들을 낳았지만 모두 일찍 죽었다는 것을 보아 길안현주를 포함한 최소 2남 3녀를 낳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