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왕자
[[틀:조선의 왕자/목조 ~ 연산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안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행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자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덕종(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
|||
}}}}}}}}}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세종의 왕자
영응대군 | 永膺大君 |
|||
|
|||
영응대군묘 전경 | |||
출생 | 1434년 6월 1일[1] | ||
조선
한성부
경복궁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
|||
사망 | 1467년 3월 7일[2] (향년 34세) | ||
조선
한성부 안국방 영응대군 사저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
|||
묘소 | 경기도 시흥시 군자동 | ||
재위기간 | 조선 영흥대군 | ||
1441년 2월 2일 ~ 1447년 2월 1일 | |||
조선 역양대군 | |||
1447년 2월 1일 ~ 1447년 3월 26일 | |||
조선 영응대군 | |||
1447년 3월 26일 ~ 1467년 3월 7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 전주 이씨 | |
휘 | 염(琰) | ||
부모 |
부왕
세종 모후 소헌왕후 |
||
형제자매 |
부왕 기준 18남 4녀 중 15남 모친 기준 8남 2녀 중 8남 |
||
배우자 | |||
자녀 |
|
||
종교 | 유교 ( 성리학) | ||
자 | 명지(明之) | ||
호 | 서곡(西谷) | ||
군호 |
영흥대군(永興大君) → 역양대군(歷陽大君) → 영응대군(永膺大君)[3] |
||
시호 | 경효공(敬孝公) |
[clearfix]
1. 개요
조선 전기의 왕족. 세종과 소헌왕후 심씨의 8남 2녀 중 막내아들이며[4][5] 전주이씨 영응대군파의 파시조이다.2. 생애
1441년 영흥대군(永興大君)으로 봉해졌으며, 1443년에 역양대군(歷陽大君)으로, 1447년에 다시 영응대군(永膺大君)으로 개봉(改封)되었다.영응대군은 세종이 38세, 소헌왕후가 40세 때 낳은 늦둥이였는데[6], 세종은 막내 아들을 무척 사랑했다고 한다. 얼마나 사랑했는지 실록에도 대놓고 세종이 영응대군을 편애했다는 기록이나 # # 영응대군의 집이 지나치게 화려하다고 비판하는 기록 # 등이 자주 등장한다. 또한 영응대군의 묘지문에 따르면 다른 왕자들과 달리 영응대군만 장성할 때까지 세종을 '아버지'라고 불렀다고 한다.[7] 영응대군은 대마도 정벌 때 공을 세운 이순몽의 집으로 피접(避接, 아픈 사람이 다른 곳으로 옮겨서 요양함)을 자주 나갔는데 이순몽 역시 영응대군을 지극히 사랑했다고 한다. 세종의 사랑은 이순몽에게까지 미쳐 주변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이순몽을 고관대작으로 삼기도 했다. 세종이 영응대군의 집에서 승하한 뒤 뒤를 이은 문종과 세조도 막내동생을 지극히 사랑해 내탕고의 진귀한 보물을 영응대군에게 내려주었다. # 하지만 영응대군은 천성이 검소해 재산을 잘 쓰지 않고 사치를 하지 않았다고 한다.
영응대군의 혼인 과정은 조금 특이한데, 세종은 송복원(宋復元)의 딸[8]과 영응대군을 혼인시켰다. 그러나 송씨가 병이 있어서 세종이 명하여 송씨와 이혼시키고 정충경의 딸에게 다시 장가들게 하였다. 문제는 정씨의 아버지 정충경은 이미 고인이 된 상태였고, 과부가 된 홀어머니와 살고 있었기 때문에, 아버지를 여읜 자식은 혼인 대상에서 배제한다는 당시 왕실 관행상[9] 왕자의 아내가 될 수는 없는 신분이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세종은 영응대군을 강제로 이혼시키면서까지 정씨와의 혼인을 강요하였다. 결국 세종은 영응대군을 재혼시킨 후 말년에 영응대군의 집으로 피접을 나갔다가 그 곳에서 승하했다.
그러나 영응대군은 첫 부인인 송씨를 사랑하였는지, 세종이 죽자 다시 송씨와 만나기 시작했다. 이 때 도움을 준 인물이 영응대군의 둘째 형 수양대군이었는데, 수양대군은 동생을 딱하게 여겨 영응대군이 송씨와 만날 수 있도록 도와 주었다. 결국 영응대군은 송씨와의 사이에서 아이가 태어나면서 정씨와 이혼하고 송씨와 다시 재결합할 수 있었다.[10]
영응대군은 이후로는 크게 정치에 관여하는 일 없이 둘째형 세조의 비호를 받으며 무탈하게 살다가 34살이라는 한창 나이에 자택에서 사망한다. 세조는 영응대군을 지극히 아껴 그가 죽자 식음을 전폐할 정도였다. 경기도 시흥시에 묘가 있다.
영응대군의 맏사위가 된 구수영은 연산군의 장녀 휘신공주를 며느리로 맞이한다. 구수영은 연산군 치세에서 권세를 누렸지만 연산군의 폭정이 날로 심해지자 연산군을 점차 멀리 하였으나, 이게 빌미가 되어 연산군의 비위를 거슬려 그의 두 사위들이 죽임을 당하였다. 이에 구수영은 중종반정에 가담하고, 며느리 휘신공주도 쫓아낸다. 훗날 휘신공주는 작은아버지 중종의 도움으로 남편 구문경과 재결합하지만, 공주 신분을 되찾지는 못하고 '구문경의 처'로만 불린다.
세조가 조카 길안현주와 구수영의 혼인을 축하하며 토지를 하사했는데, 현재 종로구 태화빌딩 일대이다.
여담으로, 길안현주와 혼인한 구수영의 직계 15대손이 LG그룹 창업주 구인회이다.
3. 가족 관계
- 조부 : 태종(太宗, 1367 ~ 1422)
- 조모 : 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 閔氏, 1365 ~ 1420)
- 부 : 세종(世宗, 1397 ~ 1450)
- 모 : 소헌왕후 심씨(昭憲王后 沈氏, 1395 ~ 1446) - 청천부원군 심온(靑川府院君 沈溫)의 딸
- 정부인 : 대방부부인 송씨(帶方府夫人 宋氏, ?~1507)[11] - 송복원(宋復元)의 딸이자 단종비 정순왕후의 고모
- 장녀 : 길안현주 이억천(吉安縣主 李億千, 1457 ~ 1519)
- 사위 : 구수영(具壽永, 1456 ~ 1523)
- 외손자 : 구숭경(具崇璟, 1483 ~ ?)
- 외손부 : 파평 윤씨(坡平 尹氏) - 파원부원군 윤여필(坡原府院君 尹汝弼)의 여동생, 장경왕후의 고모
- 외손자 : 구희경(具希璟, 1488~1541)
- 외손부 : 거창 신씨(居昌 愼氏) - 신수겸(愼守謙)의 딸, 폐비 신씨의 조카
- 외손자 : 구승경(具承璟, 1491~?)
- 외손부 : 안동 권씨(安東 權氏) - 권자균(權自均)의 딸
- 외손자 : 폐 능양위(廢 綾陽尉) 구문경(具文璟, 1493~?)
- 외손부 : 폐 휘신공주(廢 徽愼公主, 1491~ ? ) - 연산군의 장녀
- 외손자 : 구신경(具信璟, 1494~1562)
- 외손부 : 고성 이씨(固城 李氏) - 이균(李鈞)의 딸
- 외증손자 : 능창위 구한(綾昌尉 具澣) - 숙정옹주와 혼인
- 외손녀 : 구순복(具順福)
- 외손서 : 임희재(任熙載, 1472~1504) - 임사홍(任士洪)의 아들
- 외손녀 : 심광문(沈光門)의 처
- 외손녀 : 면천군부인 구씨(沔川郡夫人 具氏, 1480~1556)
- 외손서 : 안양군 이항(安陽君 李㤚, 1480~1505) - 성종의 서차남
- 외손녀 : 최상(崔祥, 1482~?)의 처
- 외손녀 : 이희현(李希賢, 1486~?)의 처
- 1계실 : 춘성부부인 해주 정씨(春城府夫人 鄭氏) - 정충경(鄭忠敬)의 딸, 영양위 정종의 누나
- 2계실 : 연성부부인 연안 김씨(延城府夫人 金氏) 연안 김씨는 영응대군 생전에 측실이었고 (영응대군 졸기에 측실에게서 아들을 두었다라고 적혀있고 무엇보다 대방부부인 송씨가 영응대군보다 오래 살았으므로 두명의 부인은 존재할 수가 없음) 후대에 아들인 청풍군의 후손들에 의해 정식 부인으로 추존청원된 것으로 보여짐.
- 장남 : 청풍군 이원(淸風君 李源, 1460 ~ 1505)
- 며느리 : 배천 조씨(白川 趙氏) - 조원지(趙元祉)의 딸
- 친손녀 : 류방(柳房)의 처
- 며느리 : 무송 윤씨(茂松 尹氏) - 윤자영(尹子濚)의 딸
- 친손자 : 화림정 이단(花林正 李檀, 1485 ~ 1551)
- 친손자 : 수성수 이순(隋城守 李洵, 1497 ~ ?)
- 친손녀 : 류광동(柳光同)의 처
- 며느리(첩) : 이름 미상
- 서손자 : 청연령 이수충(淸淵令 李守忠, 1499 ~ ?)
- 차녀 : 이모진(李毛珍, 1462 ~ ?)
- 사위 : 곤양 배씨(昆陽 裵氏) 배사종(裵嗣宗)
- 3녀 : 조덕온(趙德穩)의 처
4. 조상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영응대군 (永膺大君) |
<colbgcolor=#fff3e4,#331c00>
세종 (世宗) |
<colbgcolor=#ffffe4,#323300>
태종 (太宗) |
|
태조 (太祖) |
|||
신의왕후 (神懿王后) |
|||
원경왕후 (元敬王后) |
|||
여흥부원군
민제 (驪興府院君 閔霽) |
|||
삼한국대부인 송씨 (三韓國大夫人 宋氏) |
|||
소헌왕후 (昭憲王后) |
|||
청천부원군
심온 (靑川府院君 沈溫) |
|||
|
|||
() |
|||
삼한국대부인 안씨 (三韓國大夫人 安氏) |
|||
|
|||
|
[1]
음력
세종 16년
4월 15일
[2]
음력
세조 14년
2월 2일
[3]
봉호는
함경도
영흥 및 그 별칭인 '역양'과,
황해도
연안의 별칭인 '영응'에서 유래했다.
[4]
세종에게는 15남(19째), 소헌왕후에게는 8남(10째)이다.
[5]
문종,
세조,
안평대군,
임영대군,
광평대군,
금성대군,
평원대군의 친동생이며
단종,
덕종,
예종의 숙부이다.
[6]
바로 위의 형인
평원대군과도 7살 차이가 난다. 큰형인
문종과는 무려 20살 차이이며, 큰누나인 정소공주가 죽고 10년 뒤에 태어난 아들이다.
[7]
본래 왕의 자식들은 왕인 아버지나 왕비인 어머니한테 아바(어마)마마, 전하라는 호칭을 써야 했다.
[8]
오빠가 단종의 왕비
정순왕후의 아버지 송현수다. 즉,
정순왕후의
고모인 것.
[9]
이 관행은 조선 중기 이후로는 거의 폐기되다시피 하는데, 홀어머니와 살고 있었음에도 왕비로 간택된
명성황후가 대표적인 예다.
[10]
이 때문인지 몰라도
수양대군이 장조카
단종을 핍박할 때에는 눈감고 모른 체 하였다. 심지어 자신이 사랑해서 재결합한 아내 송씨의 조카가
단종의 왕비이자 장조카며느리인
정순왕후가 되었음에도 외면했다. 첫째 부인은
단종의 왕비인
정순왕후의 고모였고 둘째 부인은
단종의 누나인
경혜공주의 시누이로 전부
단종과 연결되어 있는데도 외면했다. 물론 이 당시 수양대군에 반대했다가는 안평대군이나 금성대군처럼 숙청당할 수도 있었던 건 감안해야 하겠지만.
[11]
1453년 기록에는 두 딸을 낳았다고 되어있고 1477년 기록에는 여러 아들을 낳았지만 모두 일찍 죽었다는 것을 보아 길안현주를 포함한 최소 2남 3녀를 낳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