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15:16:48

양안시

1. 개요2. 상세3. 사람의 경우4. 관련 문서


양안시, 兩眼視, Binocular Vision

1. 개요

생물학에서 동물의 두 안구가 하나의 주변 3차원 상을 감지하기 위해 평행하게 '동일한' 방향을 향할 수 있는 시각의 한 유형이다.

물체를 입체감있게 볼수있고, 거리감 확인이 가능하나 양 안구의 시야가 겹쳐서 시야각이 좁아 목표는 잘 보지만 주변을 보기 힘든 단점이 있다.

2. 상세

보통 사물을 입체적으로 보기 위해 육식동물들이 가진 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 육식성 포유류의 경우에는 대부분 양안시를 보유하고 있다.

초식동물은 양안시가 있으면 시야가 좁아져 천적의 접근을 알아채기 어렵기 때문에, 눈이 옆에 붙어 있어 시야의 반경이 매우 넓다. 토끼의 경우는 양쪽 눈이 각각 180도, 합쳐서 360도라는 전방위(!) 시야를 갖고 있다. 대신 시야 안의 것을 정확하게 분별하는 데는 어려움을 느끼므로, 초식동물들이 머리를 좌우로 자주 움직이는 이유도 정면을 제대로 못봐서 정면을 보기 위해서다. 다 자라면 천적이 없는 코뿔소 코끼리도 이런 넓은 시야각을 가지고 있다.[1]

그러나 수각류들의 경우에는 사냥하거나 거리를 계산하는 데에 양안시가 그다지 중요하지 않아서, 맹금류 가운데에도 의외로 양안시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참매 검독수리와 같은 수리목의 경우는 각 눈의 시야가 약 60도 정도 겹치기 떼문에 그나마 발달되어 있으나, 이는 과 같은 몇 초식성 포유류들에 상회하는 수준이고, 이들보다도 포식성이 더 강한 는 오히려 양안시가 덜 발달되어 겹치는 시야가 35도도 되지 않는다.[2] 백악기 말기의 최대 포식자 티라노사우루스는 나름 양안시가 검독수리 수준으로 발달하긴 했지만 상술했듯이 이는 포유류들에 비교하면 양인시가 떨어지는 수준이며,[3] 쥐라기의 포식자 알로사우루스나 백악기 초기의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류들은 양안시가 그리 발달하지 않았다.[4] 수각류 외의 다른 석형류들 역시 양안시 없이도 입체적 거리 계산이 가능하며, 악어 코모도왕도마뱀의 경우는 겹치는 시야가 고작 20도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결국 석형류들에게는 양안시가 덜 발달되었다고 시각이 더 나쁜 것도 아니고, 거리 계산을 못하는 것도 아닌 것이다.

따라서 흔히 알려진 "쌍안시 = 사냥할때 거리계산의 용도" 이라는 공식은 성급한 일반화이며 주로 포유류에만 적용되는 공식이라고도 볼 수 있다. 사실 포유류에서도 쌍안시 = 육식동물이라는 공식은 반례가 많다. 가령 포유류 중에서도 포식자이면서 양안시를 일부 포기한 경우들이 있다. 예를 들어 스밀로돈이나 마카이로두스와 같은 검치호들은 표범속에 비하면 양안시가 덜 발달되었는데, 원래는 있었다가 진화를 통해 부분적으로 없어진 것이다.[5] 그 외에 예시로 영장류들도 육식동물은 안경원숭이 계열만이며, 나머지는 잡식이나 초식이다. 영장류들은 주 서식지인 나뭇가지 사이의 정확한 거리를 알아야해서 이러한 발달된 양안시를 가지고 있다. 인간도 영장류의 한 종이므로 평야에서 살고 잡식동물이지만 양안시를 유지하고 있다.

바다 속에서는 상어류가 양안시가 가능하지만[6] 역시 육식성 포유류 정도까지는 아니다. 다만 이빨고래류는 육식성 포유류이나 양안시가 없는데, 이유인 즉 눈을 거의 안 써서. 눈 대신 초음파나 일반적인 청각을 대신 사용해서 주위를 파악하는 반향정위를 사용함으로 시야 확보를 위해 진화할 필요가 없었다.

3. 사람의 경우

양안시에는 주시안(主視眼, Dominate Eye)이라는 것이 생기는데, 이 주안시는 좌우 한쪽에 편중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한쪽 눈을 번갈아 감으며 사물을 보면 눈이 바뀔 때마다 사물의 상이 달라진다. 멀리 있는 글자를 손으로 살짝 가린 뒤, 양쪽 눈을 번갈아 감으면 손으로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 글자가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때 보이지 않는 쪽이 주안시, 보이는 쪽이 보조시. 시야의 초점이 주안시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주안시가 다치면 거리감이나 입체감, 균형을 파악하기가 극도로 어려워진다. 자세한 내용은 주시안 참조.

애꾸눈 캐릭터가 백발백중이거나 격투기의 달인이라는 것은 현실에서는 상당히 힘든 일이다.[7] 한쪽 눈이 없으면 신체 균형은 물론이고, 을 쏠 때도 거리감을 얻기가 힘들어져 목표물을 맞히기가 극도로 어려워진다. 즉 눈이 정면으로 몰려있는 최종 포식자들(사람 포함)은 한쪽 눈이라도 멀면 루저가 되기 때문에 을 잘 보호해야 한다.

물론 한쪽 눈이 잘 안 보여도 사물이나 신체를 이용해 거리감을 파악하는 훈련을 하면 어느 정도 괜찮아지지만 멀고 가까움을 느끼기 힘든 건 마찬가지고, 안 보이는 쪽의 무언가를 보려면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제자리에서 약간씩 움직여야 해 눈이 피곤해져 노안도 빨리 오게 된다.[8][9] 창작물에서의 애꾸눈은 현실과 달리 무언가 특별함이나 비장함을 강조하는 요소 중 하나여서인지 이런 불편함이 묘사되지는 않고, 오히려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인 디자인으로 통용되는 경우가 많다.

4. 관련 문서



[1] 다만 이들은 시각보다는 청각과 후각에 더 많이 의존한다. 사실 대부분의 초식성 포유류들이 이렇다. [2] 매의 주 사냥감은 날고 있는 새들이므로 거리 계측이 특히 중요한 걸 생각하면, 양안시가 새들에게는 큰 의미가 없다고밖에 할 수 없다. [3] 양안시와는 별개로, 안구의 크기 때문에 티라노사우루스의 사물을 포착하는 능력은 검독수리보다도 더 뛰어났다. 그러나 이는 눈의 배치와는 무관하기 때문에 대형 수각류 전체에 적용되는 이점이다. [4] 고생물 덕후들 사이들에서 흔히 언급되는, 티라노사우루스의 시각이 다른 수각류들보다 더 우수했다는 주장은 여기에서 나오는 것인데, 상술했듯이 현존하는 수각류들 사이에서는 양안시가 시력이나 거리 계산에 별 필요가 없으니 굳이 이것 때문에 티라노사우루스의 시력이 더 우수하다고 주장하는 것은 지나친 포유류 중심적인 사고이다. 양안시가 별 상관이 없다면 다른 대형 수각류들도 티라노사우루스 수준의 시력을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훨씬 커지기 때문이다. 또한 양안시 때문에 시각이 더 우수했다는 논리를 적용하면 반대로 인간의 시력이 티라노사우루스의 시력보다 더 뛰어나다는 헛소리도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인간은 티라노사우루스보다도 양안시가 훨씬 더 발달했기 때문이다. [5] 이들은 목 근육으로 찍어내려 검치로 사냥감의 급소를 가격하는 방식으로 사냥감을 죽였는데, 이로 인해 다른 고양이과 동물들보다 조근 더 길고 좌우로 날씬해진 두개골을 발달시켰고, 그 과정에서 각 눈의 시야가 기존에 비해 더 멀어지게 되었다. [6] 상어는 흔히 눈이 나쁘다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시각도 후각 못지 않게 뛰어나며 특히 야간 시력이 우수하다. [7] 다만 델타 출신 교관 마이크 페논은 오른눈과 오른손을 다첬지만 재활에 성공해 델타에 재복무했고 현재도 여전히 명사수이자 명교관으로 유명하다. [8] 과학관에서 실 꿰는 체험이 있는 것도 이 경우. 두 눈 다 뜨고 뀄을 때와 한 눈만 뜨고 뀄을 때 둘 중 어느 것이 더 수월한가 비교해보라고 만든 것이다. [9] 단순한 코스플레이라 해도 장시간 눈을 가리는 것은 시력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실제 사례 중 하나로, 태조 왕건 촬영 당시 애꾸눈인 궁예를 연기해야 했던 배우 김영철은 결국 안대를 한 눈의 시력이 0.5까지 떨어지는 부동시를 겪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