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26 22:36:48

아이신기오로 푸쥔


파일:청나라 군주기.svg
청 비정통 황제 · 반란 지도자 · 할거정권 군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d4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비정통 황제
보국공
반란 세력 수장
호수룡 장이순 왕광대 장화산 장근당
소유당 왕요조 양기륭 삼번의 난 수령 위지엽
전보통 장념일 주일귀 찰곤 단진
아랄포탄 차릉오파십 보이액등 백포십 차릉몽극
임상문 진주전 오팔월 왕대숙 여수
채견 이문성 주모리 장병 태평천국 천왕
팽운홍 임공 황덕미 임만청 유려천
호유록 주홍음 장악행 진개 황정봉
두문수 이영화 주광부 주명월 유평
송계붕 진금공 이봉규 대조춘 임일성
진농 홍총 임화방 장낙행 장종우
뇌문광 타명 뷔쥐르그 무헴멧 이민 야쿱 벡
벡쿠리 벡 홍전복 쑨원
청 황제
}}}}}}}}}}}}}}} ||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청의 황자
[ 펼치기 · 접기 ]
더시쿠 · 러오단 · 소오창가 · 익황제 · 보올룽가 · 보오시
리둔 바투루 · 아르군 · 자이칸 · 선황제 · 타차 피양구
천명제 · 성의용장패륵 보올룽가 · 화석장친왕 · 통달군왕 야르하치 · 독의강과패륵 바야라
다라광락패륵 · 화석예열친왕 · 진국근민공 아배 · 삼등진국극결장군탕고대 · 이혁패륵 망고이태 · 화석요여민친왕 아파태 · 숭덕제(패륵) · 이혁패륵 덕격류 · 이혁진국장군 · 이혁영친왕 · 보국개직공 · 화석예충친왕 · 화석예통친왕 · 홍대자

화석숙무친왕 · 낙격 · 낙박회 · 보국공 엽포서 · 화석승택유친왕 석새 · 진국각후공 고새 · 보국공 상서 · 8황자 · 순치제(패자) · 보국공 도새 · 화석양소친왕 박목과이
승서 · 승호 · 승경 · 새음찰흔 · 고산패자 윤제 · 장화 · 화석이밀친왕 · 장생 · 만보 · 화석성은친왕 윤지 · 옹정제(화석옹친왕) · 화석항온친왕 윤기 · 윤조 · 화석순도친왕 윤우 · 화석염친왕 · 이혁패자 · 보국공 윤아 · 윤위 · 윤자 · 화석이의친왕 윤도 · 화석이현친왕 · 다라순근군왕 애신각라 윤제 · 윤기 · 다라유각군왕 윤우 · 화석장각친왕 · 화석과의친왕 윤례 · 윤개 · 윤직 · 다라간정패륵 윤의 · 다라신정군왕 윤희· 다라공근패륵 윤호 · 군왕품급성패륵 윤기 · 화석함각친왕 윤비 · 윤원
화석단친왕 홍휘 · 홍분 · 홍윤 · 홍시 · 건륭제(화석보친왕) · 화석화공친왕 · 복의 · 화석회친왕 복혜 · 복패 · 다라과공군왕 홍염 · 다라이각군왕 홍위 · 봉은보국공 홍환 · 보국공 영경

화석정안친왕· 단혜황태자 · 다라군왕 · 화석이단친왕 영성 · 화석영순친왕 · 화석질장친왕 · 화석철친왕 영종 · 화석의신친왕 · 영유 · 영모 · 화석성철친왕 영성 · 다라패륵 영기 · 영경 · 영로 · 가경제(화석가친왕) · 영선 · 화석경희친왕 영린

·다라은지군왕 혁위 · 다라혜질군왕 혁계 · 함풍제(황태자) · 화석돈근친왕· 화석공충친왕 · 화석순현친왕 · 다라종단군왕 혁합 · 다라부경군왕 혁혜

자녀 없음
#!wiki style="margin: 5px 10px""background: #89236A; color: #ffd400"
역대 청 황제 · 역대 청 황태자 · 역대 청의 황녀
※ 기록이 있는 인물만 기재
}}}

파일:청나라 군주기.svg
청 황태자 · 대아가 · 상속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d4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천명제 숭덕제
애신각라 추연
(다라광략패륵)
애신각라 황태극
(숭덕제)
애신각라 황태자
(8황자)
순치제 강희제 옹정제
애신각라 현엽
(강희제)
애신각라 윤잉
(화석이밀친왕)
애신각라 홍력
(건륭제)
건륭제 가경제
애신각라 영련
(단혜황태자)
애신각라 옹염
(가경제)
애신각라 민녕
(도광제)
도광제 함풍제 광서제
애신각라 혁저
(함풍제)
애신각라 재순
(동치제)
애신각라 부준
(보국공)
선통제
애신각라 유얀 (상속자)
청 황제 · 청 황자 }}}}}}}}}}}}}}}
<colbgcolor=#00386a><colcolor=#fecd21> 愛新覺羅 溥儁
애신각라 부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ujun.jpg
묘효 없음
시호 없음
연호 보경(保慶) (즉위 취소)
봉호 불입팔분보국공(不入八分補國公)
산강초(山岡樵)
출생 1885년 1월 10일
청나라 순천부
사망 1942년 1월 19일 (57세)
중화민국 닝샤성 탑왕부
재위 청 대아가
1899년 3월 18일 ~ 1900년 1월 24일
청 황제
1900년
부왕 단군왕 애신각라 재의
모후 대복진 이이근각라씨
정실 대복진 보르지기트씨
1. 개요2. 생애3. 연호 보경(保慶)4. 가족5. 참고 항목

[clearfix]

1. 개요

단군왕 애신각라 재의의 차남으로 어머니는 자희태후의 아우인 엽혁나랍(葉赫那拉) 계상(桂祥)의 딸이며 도광제의 증손으로 함풍제의 종손, 동치제,광서제의 종질, 선통제의 재종형이다.

2. 생애

무술정변이 일어난 후 서태후 광서제에게 부준을 따아커(大阿可, 대황자)[1]로 책봉하게끔 하였다. 이후 서태후가 광서제를 폐위시켜 푸쥔이 황제로 등극하기 일보 직전 이홍장 등 대신들과 서양 열강의 반대로 곧 황자에서 폐위되어 보국공으로 강등되었다. 이에 분노한 부친 재의는 양무파와 서양 열강에 적대하는 의화단과 접촉해 의화단 운동 당시 청 조정이 의화단과 손을 잡도록 만들어버렸다. 서양쪽 의화단 운동 사료에 등장하는 '단군왕'이 바로 재의이다.

그 후 생활도 곤궁해지고 신세 또한 황족답지 않게 가난해졌다. 의화단 운동이 진압된 이후에 책임을 묻는 서양 열강의 요구에 따라 아버지 재의와 함께 신장으로 귀양보내졌다.

귀양지에서 결혼했지만 그 땅에 싫증이 나서 아내를 데리고 베이징으로 돌아왔다. 그곳에서 일변하여 아편을 피우고 방탕한 생활을 했지만 정변으로 벼슬을 잃으면서 연수입이 끊기고 재산도 바닥났다. 그래도 생활태도는 바뀌지 않아 아들 부부의 보살핌을 받다가 만년에는 거동이 불편해졌고, 중일전쟁 이후 아들이 매국노 혐의로 체포되자 빈곤 속에서 1942년 사망하였다.향년 57세.

3. 연호 보경(保慶)

보국공의 연호 보경은 원 계획대로 서태후 광서제를 폐위시킨 다음 푸쥔 즉위 후 사용될 예정이였으며 민간 사이에서도 곧 연호가 보경으로 바뀐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즉위 직전 상술한 것과 같이 푸쥔의 즉위가 취소되었기에 실제 사용되지 않았으며 정식 연호로 인정되지 않는다.[참고1][참고2][참고3]

4. 가족

5. 참고 항목


[1] 강희제 시절 황태자 윤잉이 폐위 된후 청나라는 태자를 세우지 않았다. 다만 광서제는 아들이 없기 때문에 황자로 책봉된 이상 황태자나 다름 없었다. [참고1] 郭廷以《近代中國史事日誌》,中華書局,北京,1987年5月,第1062-1063頁 [참고2] 孫昉、孫向群《己亥建儲與晚清政治危機》,北方論叢 (哈爾濱市: 哈爾濱師範大學). 2009年第5期(總第217期): 75–79. ISSN 1000-3541 [참고3] 吳仁安《晚清光緒季年的「己亥建儲」醜劇和愛新覺羅·溥儁的「大阿哥」之「立」與「廢」》,江南大學學報:人文社會科學版 (無錫市: 江南大學). 2014年1月(第13卷第1期): 49–53. ISSN 1671-6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