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2 13:48:19

쑤징허

대한민국의 외국인 독립유공자
본적이 외국으로 되어있는 인물 (공훈전자사료관 기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000,#fff> 성명 본적 훈격
<colcolor=#000> 가네코 후미코 일본 애국장
강표도르 러시아 애국장
곽원국 중국 애족장
곽태기 중국 독립장
김낙현 러시아 건국포장
김문순 중국 애국장
김미하일 러시아 애족장
김봉환 중국 애족장
김알렉산드라 러시아 애국장
김완욱 중국 애족장
김표돌 러시아 애족장
당계요 중국 대통령장
대립 중국 독립장
더글라스 스토리 영국 애족장
데이지 호킹 호주 건국포장
두쥔훼이 중국 애족장
로버트 그리어슨 캐나다 독립장
롤랜드 베이컨 캐나다 애족장
루이 마랭 프랑스 애국장
마가렛 데이비스 호주 애족장
마수례 중국 독립장
막덕혜 중국 독립장
모리스 윌리엄 러시아 독립장
미네르바 구타펠 미국 건국포장
박노순 중국 건국포장
박병길 러시아 애족장
박영 러시아 독립장
사도덕 중국 독립장
설악 중국 독립장
셀던 스펜서 미국 애족장
소경화 중국 애족장
손과 중국 대통령장
손문 중국 대한민국장
송교인 중국 대통령장
송미령 중국 대한민국장
스탠리 마틴 캐나다 독립장
스티븐 백 미국 애족장
신창희 중국 애족장
아치볼드 바커 캐나다 독립장
어거스틴 스위니 영국 애족장
어니스트 배델 영국 대통령장
여천민 중국 대통령장
올리버 애비슨 캐나다 독립장
왕죽일 중국 독립장
우빈 중국 대통령장
윌리엄 린튼 미국 애족장
유영요 중국 독립장
이다물 러시아 애족장
이백초 러시아 건국포장
이병호 멕시코 건국포장
이사벨라 멘지스 호주 건국포장
이숙진 중국 애족장
이와실리 러시아 애족장
일라이 모우리 미국 독립장
임삼 중국 대통령장
장개석 중국 대한민국장
장계 중국 독립장
장군 중국 독립장
저보성 중국 독립장
제이 윌리엄스 미국 독립장
제임스 크롬웰 미국 건국포장
조지 쇼 영국 독립장
조지 새넌 맥큔 미국 독립장
조지 애쉬모어 피치 미국 독립장
조지 윌리엄 노리스 미국 애족장
존 스태거즈 미국 독립장
주가화 중국 대통령장
주경란 중국 독립장
지영걸 중국 애족장
진과부 중국 대한민국장
진기미 중국 대한민국장
진성 중국 대통령장
진입부 중국 독립장
찰스 토마스 미국 건국포장
에드워드 러셀 미국 독립장
최운산 중국 애족장
토마스 라이언 아일랜드 애족장
패트릭 도슨 아일랜드 애국장
프레드릭 더글라스 미국 독립장
프랭크 윌리엄스 미국 건국포장
프랭크 스코필드 캐나다 독립장
프레데릭 해리스 영국 독립장
프레드 에이 돌프 미국 독립장
프레더릭 매켄지 영국 독립장
플로이드 톰킨스 미국 애국장
하상기 중국 건국포장
한사빈 러시아 애국장
한창걸 러시아 애족장
해리 화이팅 미국 애족장
허버트 아돌프스 밀러 미국 독립장
호레이스 뉴튼 알렌 미국 독립장
호머 헐버트 미국 독립장
호종남 중국 독립장
호한민 중국 대통령장
황각 중국 독립장
황흥 중국 대통령장
후세 다쓰지 일본 애족장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쑤징허
苏景和 | 소경화
파일:20190318060041159maqq.jpg
이명 쑤젠궈(蘇建國)
출생 1918년 10월 1일
중화민국 직예성 진해도 임유현 북대해
(현 중국 허베이성 친황다오시 베이다이허구)
사망 2020년 2월 9일 (향년 101세)
중국 상하이시
학력 난징 국립중앙대학 ( 학사)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1996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았다. 해외독립유공자 가운데 가장 마지막까지 생존한 인물이다.

2. 생애

1918년 10월 1일 중화민국 직예성(直隸省) 진해도(津海道) 임유현(臨楡縣) 북대해(北戴河)[1]에서 태어났다.

난징 국립중앙대학(國立中央大學) 재학 중이던 1944년 같은 학교에서 유학하던 조일문(趙一文)과 만났고, '일제에 대항하여 나라를 되찾자'며 의기투합했다. 이후 쑤징허는 난징시에서 연락사무소를 설치하고 일본제국 육군의 동향을 수집하는 한편, 한국광복군에 입대할 조선인 청년들을 모집하고 그 청년들을 호송하는 등의 지하 공작 임무를 수행했다.

그 뒤 그는 본격적으로 조선인 청년들을 산시성 시안시로 이동시키는 임무에 나섰다. 이후 그는 세 차례에 걸쳐 일본군의 삼엄한 경계망을 뚫고 대학 후배 신영묵 이정선(李正善)·박익득(朴益得)을 비롯한 조선인 청년 100여 명을 안전하게 탈출시켜 시안시에 주둔하던 한국광복군 제2지대까지 호송하는 임무를 완수했고, 돌아오는 길에는 한국광복군 특파원증과 공작지령문을 몸속에 숨겨 운반했다. 이때 난징시에서 시안시 한국광복군 제2지대까지는 왕복 100여 일이나 걸렸음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에 단 한 명의 낙오자도 없었다고 한다. 이에 한국광복군 총사령관 지청천 장군으로부터 공로를 인정받아 1946년 5월 1일 '한국광복군 총사령 포상장(褒賞狀)'을 수여받기도 했다.
그는 중국 장쑤성(江蘇省) 사람, 나의 중국 유학 시절의 동창생이며 기숙사 한방 같은 침대 아래 윗층에 기거하였다.

내 숙제는 거의 다 그 친구가 대신 해 주었다. 졸업논문도 나는 틀만 잡아주고 실제 쓰는 것은 그 친구의 일이었다. 내가 배고플 때는 밥을 사주고 돈이 없을 때는 돈을 꿔 주었다.

"징허(景和), 자네 나한테 왜 이렇게 친절한가?"

"라오짜오(老趙 : 조형이라는 뜻)는 이 바에서 제일 나이 든 선배가 아니요? 게다가 라오짜오는 외국 사람이 아니오? 가장 고통받는 외국 사람 말입니다."

어느 날 그는 총장 배척 동맹휴학을 주도하고 나섰다. 아침 일찍 교문에 총장의 8대 죄상을 열거한 격문을 써 붙이고, 등교하는 학생들을 모두 돌려 보냈다. 나는 그 과정을 지켜 보면서 액션 · 드라마 같은 흥미를 느꼈다. 그러나 일이 잘못되어 징허가 퇴학을 당하면 어떻게 하나 하고 걱정하였다.

"라오짜오, 염려마셔요. 책임질 사람은 따로 있고, 나는 행동 대원에 불과하니깐요. 어쨋든, 총장은 친일파니까 한 번 혼내 주어야 해요."

하는 것이었다. 그 때부터 나는 쑤징허가 교내에 어떤 비밀결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감지하였고, 그를 단순한 학우 이상으로 생각하였다.

이 대학은 일제의 난익(卵翼)하에 세워진 왕징웨이(汪精衛) 정권의 「난징 중앙대학(南京 中央大學)」이다. 옛날의 진링대학(金陵大學), 지금의 난징대학 자리에 터 잡았으며, 5개 단과대학, 30개의 학과에 5000~6000명의 학생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그 중 한국 학생은 10여 명, 대부분은 법상대학에 제적하고 있었다. 그 중 나를 무척 따르고, 나의 지하공작에도 적극 협조하던 신영묵 군에게 딱한 사정이 생겼다. 그가 수 차 집으로 돌아오라는 연락을 받았는데, 그것은 면소(面所)에서 그를 일본 군대로 끌어가기 위해서였다. 나는 이모저모를 생각하다가 결국 쑤징허를 불러냈다.

"징허, 자네 한국국적 학생 신영묵(申榮黙)군 알지?"

"알구 말구요. 그 미남 운동선수 말이죠?"

"그래, 그 친구 신변에 곤란한 일이 생겨서 여기를 떠냐야 하게 되었네"

"그래서요?"

"사실은 내가 신군을 시안(西安)의 한국 광복군 부대에 보낼 생각이네. 그런데 누가 안내해 줄 사람이 있어야지. 자네도 알다시피 그는 훤칠한 키에 어디 내놔도 영락없는 한국 청년이 아닌가? 게다가 중국어도 능숙치 못하니. 중국 옷을 입히고 중국인 신분증을 만들어 주어도 금방 들통이 날 것이 아닌가?"

"라오짜오, 그게 무슨 걱정이요?" 내가 데리고 가면 되잖아요."

그는 3개월 만에 난징(南京)-시안(西安) 6000리 길을 거뜬히 다녀왔다. 둘이 마주 앉자. 그는 주머니에서 담배 갑을 꺼내더니, 그 중 한 대를 뽑아주는 것이었다. 그것은 담배 개비가 아니라. 임시정부 주석 김구와 광복군 총사령부 이청천 명의로 된 「광복군 특파원증」및 「공작지령서」였다. 나는 그 내용을 정독한 다음, 담배 연기와 함께 가슴 깊이 들이마셨다.

"징허, 자네 발 아프지 않나?"

그는 한 참 머뭇거리더니 "따거(大哥)! 괜찮아요.(没有問題)" 하는 것이었다. 그의 나에 대한 호칭이 「라오짜오(조형)」로부터 "따거(형님)"로 바뀐 것이 놀라왔다. 이제 우리는 피차 「이방인」이 아니라 「한 집안 식구」가 되었다는 뜻으로 받아들였다. 그 후부터 그는 나를 줄 곧 "따거"로 불렀다. 나는 그 자리에서 억지로 그의 양말을 벗겼다. 몇 번 물집이 터지고 다시 아물어 붙은 상처투성이의 발이었다. 그 발로 그는 또 한 차례 난징 - 시안을 오로 갔다. 내가 보내는 사람들을 데리고 또 내가 보내는 편지를 가슴에 깊이 품고

1945년 항전이 막바지에 접어들 무렵, 그는 나를 장시성(江西省)의 최전방 기지로 찾아왔다.

"텐 콰이 랑라!(天快亮了 : 이제 새벽이 가까워졌어요)"

그는 희망에 가득 차 있었다. 나는 다시 전방 공작을 위하여 적지로 떠나는 그의 손을 잡았다.

"광복이 되면, 한 번 한국을 찾아오게. 내가 자넬 해방의 은인으로 맞을 걸세"

"한국에 가면 어디서 어떻게 「따거」를 찾지요?"

"남대문에 와서 아무에게나 물어 보게. 설마 한국에 와서 나를 못찼겠나?"

하고 큰 소리를 쳤다. 그러니 귀국선이 인천 부두에 닿는 순간부터 꿈은 산산 조각이 났다. 우리는 흰 모래 밭을 붉게 물들이려던 그 항만에 한 피난민의 초췌한 모습으로 내려, 미군 병사가 뿌리는 디 · 디 · 티 세례를 받지 않으면 안 되었다.[2]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직후인 1950년 중국공산당 간부 선발 시험[3]에 합격해 화둥지역 물자공급처에서 공무원 생활을 시작했다. 그러나 문화대혁명 시기에, 당시 적대 관계에 있던 대한민국을 도운 전력이 있다는 이유로 정부로부터 정치적 박해를 받았고, 그 결과 온 가족이 안후이성 시골 농장으로 하방(下放)당하는 고난을 겪었다.
파일:AKR20190312150100089_07_i_P4.jpg

그 뒤 1992년 8월 24일 한중수교가 성사된 직후 생사를 함께하던 옛 한국인 동지들과의 재회로 조일문 지사 등을 만나게 되었고, 이들의 적극적인 추천에 힘입어 1996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으면서 명예가 회복되어 조금이나마 위로를 받았다.

이후 중국 상하이시 푸둥신구(浦東新區)의 한 아파트에서 아들 부부와 함께 거주하다가 건강이 악화되어 병원으로 옮겨졌다. 그러나 2020년 2월 9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1]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 친황다오시 베이다이허구(北戴河區). [2] 조일문 수필선집에서 발췌 [3] 대한민국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에 상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