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의 MRT· LRT 노선 | |||
MRT | LRT | ||
[[싱가포르 MRT 동서선| EWL ]]
동서선 |
[[싱가포르 MRT 남북선| NSL ]]
남북선 |
[[싱가포르 LRT 부킷판장선| BPLRT ]]부킷판장선 |
|
[[싱가포르 MRT 서클선| CCL ]]
서클선 |
[[싱가포르 MRT 톰슨-이스트코스트선| TEL ]]
톰슨-이스트코스트선 |
||
[[싱가포르 MRT 동북선| NEL ]]
동북선 |
[[싱가포르 MRT 다운타운선| DTL ]]
다운타운선 |
[[싱가포르 LRT 셍캉선| SKLRT ]]
셍캉선[[싱가포르 LRT 풍골선| PGLRT ]]
풍골선
|
|
미개통 (운영사 미정) |
[[싱가포르 MRT 주롱지역선| JRL ]]
주롱지역선
|
[[싱가포르 MRT 크로스아일랜드선| CRL ]]
크로스아일랜드선
|
싱가포르 MRT | |
Downtown MRT Line MRT 다운타운선 |
|
다운타운선 C951A형 전동차 | |
다국어 노선명 | |
말레이어 | Laluan MRT Pusat Bandar |
중국어 | 滨海市区地铁线 |
타밀어 | டவுன்டவுன் எம்ஆர்டி வழி |
노선도 | |
|
|
노선 정보 | |
분류 | 지하철/MRT |
기·종점 |
부킷판장 엑스포 |
역 수 | 34 |
노선기호 |
|
개업일 | 2013년 12월 22일 |
운영기관 | SBS Transit |
소유자 | Land Transport Authority |
사용차량 |
싱가포르 MRT C951형 전동차 싱가포르 MRT C951A형 전동차 |
차량기지 |
갈리바투차량기지 타이셍차량기지 이스트코스트차량기지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41.9 km |
구성 노선 | 싱가포르 MRT 다운타운선 |
궤간 | 1,435㎜ |
선로구성 | 전 구간 복선 |
사용전류 | 직류 750V 제3궤조집전식 |
신호방식 | CBTC / ATC / ATO |
최고속도 | 90㎞/h |
표정속도 | 37.7㎞/h |
지상구간 | 전구간 지하 |
개통연혁 |
2013.12.22. 부기스 ↔ 차이나타운 2015.12.27. 부기스 ↔ 부킷판장[A] 2017.10.21. 차이나타운 ↔ 엑스포 2025년 엑스포 ~ 숭에이 베독 (예정) 2025년 흄 (예정) 2030년대 중반 숭에이 카둣 (예정) |
<nopad> |
포트케닝 → 부킷판장 운행 영상 |
[clearfix]
1. 개요
MRT 다운타운선(Downtown Line)은 싱가포르 MRT의 노선으로, 노선색은 파란색이며, 노선도 상의 종점 식별번호 11번과 12번 기호가 각각 부킷판장역과 엑스포에 배정되어 있다.싱가포르 서북부의 주거밀집지역인 부킷판장역에서 출발하여 부킷티마 지역의 힐뷰, 뷰티월드, 그리고 보타닉가든을 지나 뉴턴, 리틀인디아, 차이나타운, 마리나베이 인근의 프로머나드, 그리고 부기스 등 CBD(Central Business District)의 주요 지역들을 고리 형태로 빙 둘러 거친 뒤, 다시 동부의 게일랑, 베독, 그리고 탬피니스를 거쳐 공항 근처의 싱가포르 엑스포까지 잇는 노선이다. 차후 엑스포 너머 숭에이베독역까지의 연장 및 톰슨-이스트코스트선과의 추가 연계가 예정되어있다.
노선 시설 및 차량은 싱가포르 국토교통국(LTA)이 소유하며, 운영, 관리 및 유지보수는 SBS Transit에서 담당하고 있다.
2. 상세
싱가포르에서 3번째로 사람들이 많이 타는 노선이다.[2] 그럴만한 게 이 노선이 마지막까지 남은 지하철 사각지대였던 부킷티마 등을 도심과 이어주기 때문이다. 2013년 이후 한인촌도 오차드와 탄종파가에서 지하철이 뚫린 부킷티마로 대거 이전해서 이제는 한국인들이 모여 사는 곳은 부킷티마 신도시가 되었다. 그리고 베독과 탬피니스 등 동부 지역도 기존 동서선의 인구를 분산시켜주고 동서선이 바로 닿지 않던 구석구석을 이어주게 되었다.[3] 더군다나 베이프론트를 경유하고, 차이나타운에서 동북선 환승도 가능하기에, 관광객 수요도 꽤 있다.문자 그대로 다운타운 코너 간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자 선형이 P자 형으로 꼬여있다.[4] 일종의 준 순환선으로 만든건데 그렇기에 한블록을 걸쳐 2개 역이 병렬되고는 하고 3-4 정거장에 20분이 소요되기도 하므로 노선도를 체크하고 자신이 가야 할 방향을 잘 알아봐야 한다.
2023년 하루 평균 이용객은 443,000명이다.
3. 역사
1970년대의 계획에 부킷티마선 구간이 나온 걸로 보아 계획상으로는 오래된 노선이다.
이 당시 부킷티마는 말레이시아 조호르바루~ 탄종파가를 잇는 말레이 철도의 디젤기관차 견인 재래선 열차가 다녔으며 부킷티마는 이때 작은 마을로 마을 거주민들은 도심으로 갈 때 기차를 많이 이용했다.
이 철도는 동남아시아 철도답게 협궤에 단선이라서 배차간격도 길고 정시성이 보장되지 않았으나 이 당시 싱가포르는 최선진국으로 자리잡은 현재와 달리 아직 가난한 나라였고 부킷티마에서 출퇴근 수요도 적었다.[5]
부킷티마 지하철 계획은 그야말로 20~40년 후 미래를 내다보고 설계한 것이었다.[6]
원래는 부킷티마 구간은 지상이여야 됐지만 개발이 되면서 불가능해졌다.
그러다가 연선 수요가 많은 동서선과 남북선만 1980년대 후반에 개통하기로 했고 1990년대 중후반에 동북선을, 서클선을 2000년대 초중반에 개통하기로 계획되었다.[7] 다운타운선은 포함되지 않은 걸로 보아 개발이 많이 안된 부킷티마 지역 때문에 나중에 하기로 했다.[8] 앞서 언급했듯 부킷티마 지하철 자체가 시대를 앞섰던 계획이었으며 2011년까지 이 지역으로는 디젤 단선 일반열차가 들어왔다.
그러다 2001년에 부킷티마와 시내를 이어줄 노선이 나올거라고 말한뒤 다시 부활했다.
그리고 2005년에 다운타운선이라고 명명하고 어퍼창이와 베독 북부 등을 가고 창이공항 근처의 엑스포로 들어가는 동부 지방선도 계획되었다. 이 두 노선은 2000년대 후반에 직결해서 개통하기로 하였다.
다운타운선은 2013년 12월 22일에 개통했다. 노선 최초 개통 시에는 차이나타운역에서 부기스역까지 6역만을 운행했으나 2015년 12월 27일 2단계가 개통하면서 부킷티마 지역을 지나 부킷판장역까지 연장되었으며[9] 2017년 10월 21일에 3단계 구간(차이나타운역-엑스포역)이 개통되었다.
선형이 리본 모양인 것이 특징이다.[10][11] 이는 도심 연선 구간 수요 때문에 일종의 준 순환선으로 만든 것이다. 한 블록을 두고 2개의 역이 병렬해서 다니는지라 자신이 가려는 방향을 체크해야 한다.
4. 차량
파일:Bombardier-MOVIA-C951-1.jpg |
봄바르디어 무비아 C951형 전동차, 다운타운선에 92편성 운행중 |
5. 노선
|
역번호 | 한국어 역명 | 영어/[말레이어] 역명 | 중국어 역명 | 타밀어 역명 | 환승노선 | 비고 | 개통시기 |
|
|
|
|
|
|
Stage 2e (2030년대 중반 예정) |
|
DT1 | 부킷판장 | Bukit Panjang | 武吉班让 | புக்கிட் பாஞ்சாங் |
[간접환승] |
Stage 2 (2015.12.27) |
|
DT2 | 캐 슈 | Cashew | 凯秀 | முந்திரி | |||
DT3 | 힐 뷰 | Hillview | 山景 | ஹில்வியூ | |||
|
|
|
|
|
미개통 (2025년 예정) |
||
DT5 | 뷰티월드 | Beauty World | 美世界 | அழகு உலகம் | [15] |
Stage 2 (2015.12.27) |
|
DT6 | 킹알버트파크 | King Albert Park | 阿尔柏王园 | கிங் ஆல்பர்ட் பார்க் |
|
||
DT7 | 식스애비뉴 | Sixth Avenue | 第六道 | சிக்ஸ்த் அவென்யூ | |||
DT8 | 탄카키 | Tan Kah Kee | 陈嘉庚 | டான் கா கீ | |||
DT9 | 보타닉가든 | Botanic Gardens/Kebun Bunga | 植物园 | பூ மலை |
|
||
DT10 | 스티븐스 | Stevens | 史蒂芬 | ஸ்டீவன்ஸ் | |||
DT11 | 뉴 턴 | Newton | 纽顿 | நியூட்டன் |
[간접환승] |
||
DT12 | 리틀인디아 | Little India | 小印度 |
லிட்டில் இந்தியா Little India |
|
||
DT13 | 로 초 | Rochor | 梧槽 | ரோச்சோர் | [18] | ||
DT14 | 부기스 | Bugis | 武吉士 | பூகிஸ் |
|
Stage 1 (2013.12.22) |
|
DT15 | 프로머나드 | Promenade | 宝門廊 | புரொமனாட் |
|
||
DT16 | 베이프론트 | Bayfront | 海湾舫 | பேஃபிரண்ட் |
[평면환승] |
[20] | |
DT17 | 다운타운 | Downtown | 市中心 | டௌன்டவுன் | |||
DT18 | 텔록아이어 | Telok Ayer | 直落亚逸 | தெலுக் ஆயர் | |||
DT19 | 차이나타운 | Chinatown | 牛车水 | சைனாடவுன் |
|
||
DT20 | 포트캐닝 | Fort Canning | 福康宁 | ஃபோர்ட் கெனிங் |
Stage 3 (2017.10.21) |
||
DT21 | 벤쿨렌 | Bencoolen | 明古连 | பென்கூலன் | |||
DT22 | 잘란베사르 | Jalan Besar | 惹兰勿刹 | ஜாலான் புசார் | [21] | ||
DT23 | 벤디미어 | Bendemeer | 明地迷亚 | பெண்டிமியர் | |||
DT24 | 게일랑바루 | Geylang Bahru | 芽笼峇鲁 | கேலாங் பாரு | |||
DT25 | 마타르 | Mattar | 玛达 | மாத்தார் | |||
DT26 | 맥퍼슨 | MacPherson | 麦波申 | மெக்பர்சன் |
|
||
DT27 | 우 비 | Ubi | 乌美 | உபி | |||
DT28 | 카키부킷 | Kaki Bukit | 加基武吉 | காக்கி புக்கிட் | |||
DT29 | 베독노스 | Bedok North | 勿洛北 | பிடோக் நார்த் | |||
DT30 |
베 독 레저보와 |
Bedok Reservoir | 勿洛蓄水池 | பிடோக் ரெசவோர் | |||
DT31 |
탬피니스 웨스트 |
Tampines West | 淡滨尼西 | தெம்பினிஸ் வெஸ்ட் | |||
DT32 | 탬피니스 | Tampines | 淡滨尼 | தெம்பினிஸ் |
[간접환승] |
||
DT33 |
탬피니스 이스트 |
Tampines East | 淡滨尼东 | தெம்பினிஸ் ஈஸ்ட் | |||
DT34 | 어퍼창이 | Upper Changi | 樟宜上段 | அப்பர் சாங்கி | |||
DT35 | 엑스포 | Expo | 博览 | எக்ஸ்போ |
|
||
|
|
|
|
|
Stage 3e (2025년 예정) |
||
|
|
|
|
|
|
[A]
흄 제외
[2]
첫번째랑 두번째는 동서선과 남북선이다.
[3]
동부 구간은 사실상 동서선의 바이패스 노선이다.
[4]
참고로 극초기 4호선이 이렇게 지어질 뻔 했다..
[5]
싱가포르 MRT를 착공하기 시작한
1979년 이전까지는 이렇게 도심으로 기차가 들어왔으며
차이나타운과 오차드 로드 등에도 기차가 다녔다. 지하철을 만들며 정시성이 보장되는 지하철로 도심의 단선 디젤열차 철도를 대체하려 싸그리 폐선 후 철길을 걷고 땅을 판 것으로
서울전차가
수도권 전철로 대체되던 서울과 비슷했다.
[6]
싱가포르의 각종 도시계획은 사실 이렇게
1970년대 말과
1980년대 초에 최소 20년, 최대 40년을 내다보고 미래를 고려한 계획들이었다. 당시에는 시대를 앞서갈 만한 계획들도 많아 당장 실현하지 못했다
2000년대에 접어들며 나중에야 빛을 본 것들도 있는데 동서선 창이공항 지선이나 동북선 등이 그렇다.사실 창이공항 지선은
1990년 창이 공항 제2터미널이 문을 열 때 개통하려 했으나
1980년대 당시 이미 지하철 건설에 돈을 많이 썼는지라 일단 10년뒤를 기약하여 일단 보류해두었다.
1990년대 말에서야
2002년 제3터미널 개통을 앞두고 타나메라 - 공항역 지선 건설이 시작되었다.
[7]
이 노선들 중 동서선/남북선은
1987년 개통되었고 동북선은
2003년에, 서클선은
2009년에 개통되어 대부분 제 때 개통되었다.
[8]
물론 이 지역은 돈 많은 외국인들이 많이 살아서 HDB보다는 고급 개인주택이 많다. 개인주택에는 차고가 널럴해 대부분 자가차량을 굴린다.
[9]
이 시점에는 이미
싱가포르 LRT 부킷판장선이 생겨서 부킷티마에서 이미 지하철 이용이 가능해졌다.
[10]
그래서 거리상으로는 얼마 차이나지 않는 역이 이걸 타면 오래 걸린다.
[11]
한국에서도 서울의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초기 계획 중 하나는 강남 구간에서 리본형으로 되어 그렇게 될 뻔했으나 다행히도 저 계획은 폐기되고 유사한 구간은
서울 지하철 2호선과
수도권 전철 3호선에 넘어갔다.
[말레이어]
현재 개통한 역중에는 말레이어 명칭이 따로 있는 역은 단 두개뿐이며, 본 노선상의 보타닉가든역이 이에 해당한다.
[13]
노선은 지나가나 역은 건설되지 않았다.
[간접환승]
직통 환승통로가 없는 관계로
경의선
서울역 - 1,4호선 및 공항철도 서울역처럼 소프트환승을 해야한다. 환승허용 시간은 15분.
[15]
역명의 뷰티월드는 단지 역 앞에 있는 뷰티월드 쇼핑센터(Beauty World Shopping Centre)와 뷰티월드 프라자(Beauty World Plaza)만이 아니라 이 건물이 지어지기 이전에 있던 일종의
놀이공원과 비슷한 곳에서 따온 것이었다. 이름에 '월드(World)'가 들어간데에는 이유가 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기 전엔
해협식민지의 최대도시였던
싱가포르에는 벌써 도시개발이 한참인 시기였으며, 이때는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의 선호 성향이 많이 담긴
놀이공원들이 수없이 많이 들어왔었다. 그런데, 많이 들어온 놀이공원들이 모두 다 전부 공통점으로는 공원 이름중 마지막 부분에 항상 월드(World)가 들어갔었다고. 참고로 "월드(World)"라는 어록 자체가 놀이공원(혹은 테마파크)를 의미했었다. 이름 그대로 여기도 오래전에는 테마파크 였었다가 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일본군의 침략으로 전부 붕괴.. 되었고, 시장으로 다시 재개발, 그러다가 한차례 더 쇼핑몰로 재개발되어 지금의 모습을 찾은 것이다. 참고로 현재의 두 쇼핑몰은 지금은 그저 "낡아빠지고 오래된 쇼핑몰"이라고도 생각하기 쉽지만 한때 싱가포르에서 세워진 쇼핑몰들 중 진짜 최초로 실내 에어컨이 설치된 쇼핑몰이었다. 이후
1980년대에
싱가포르 MRT 개통과 함께 개업한 프라자 싱가푸라(Plaza Singapura)/ 푸난(Funan) 등 도심에 있는 모든 쇼핑몰에도
에어컨이 설치되었다. 영화관도 있었다. 하지만 무려 20년전 폐쇄(...)
[미개통]
CRL(크로스아일랜드선) 미개통
[간접환승]
[18]
아래에 잘란 베사역하고 실거리 300m 도보로 10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평면환승]
해당 노선과 평면환승이 가능하다. 방향이나 자세한 정보는 역 문서 참조.
[20]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과의 연결통로가 있다.
[21]
위에 로처역하고 실거리 300m 도보로 10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간접환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