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8 23:11:27

안티모니

스티븀에서 넘어옴
주기율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9em"
<colbgcolor=#f5f5f5,#2d2f34>
주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 H He
2 Li Be B C N O F Ne
3 Na Mg Al Si P S Cl Ar
4 K Ca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Ga Ge As Se Br Kr
5 Rb Sr Y Zr Nb Mo Tc Ru Rh Pd Ag Cd In Sn Sb Te I Xe
6 Cs Ba (란) Hf Ta W Re Os Ir Pt Au Hg Tl Pb Bi Po At Rn
7 Fr Ra (악) Rf Db Sg Bh Hs Mt Ds Rg Cn Nh Fl Mc Lv Ts Og
(란) La Ce Pr Nd Pm Sm Eu Gd Tb Dy Ho Er Tm Yb Lu
(악) Ac Th Pa U Np Pu Am Cm Bk Cf Es Fm Md No Lr
{{{#!wiki style="margin:-15px -10px; font-size:calc(10em/9); word-break: keep-all" 범례
{{{#!wiki style="margin:-15px -10px" }}}
• 배경색: 위와 같은 원소 종류 분류
• 글자색: 표준 상태(298 K(25 °C), 1기압)에서의 원소 상태, ◆ 고체 · ◆ 액체 · ◆ 기체
밑줄: 자연계에 없는 인공 원소 혹은 극미량으로만 존재하는 원소로, 정확한 원자량을 측정하기 어려움
관련 문서: 틀:확장 주기율표 }}} }}}}}}}}}


51Sb*
안티모니 / 안티몬
 | 
Antimony / Stibium
분류 준금속 상태 고체
원자량 121.760 밀도 6.697 g/cm3
녹는점 630.63 °C 끓는점 1635 °C
용융열 19.79 kJ/mol 증발열 193.43 kJ/mol
원자가 5 이온화에너지 834, 1594.9, 2440 kJ/mol
전기음성도 2.05 전자친화도 103.2 kJ/mol
발견 ? (3000 BCE)
CAS 등록번호 7440-36-0
이전 원소 주석(Sn) 다음 원소 텔루륨(Te)
*'S'ti'b'ium에서 유래.



파일:attachment/Sb-usage.jpg
파일:antimony.jpg

1. 개요2. 역사3. 이용
3.1. 현대 이전3.2. 현재
4. 여담

1. 개요

대한화학회에서는 '안티모니'로 쓰기를 권장하며[1] 국립국어원이 정한 표준어는 '안티몬'[2]과 '안티모니'다.

또한 Antinomy(이율배반)와 이름이 매우 비슷하다.

영어: Antimony/ 중국어: 锑/ 일본어: アンチモン

2. 역사

옛날부터 유리금속(遊離金屬)으로 알려져 있으며, BC 4000년경 항아리의 장식으로써 사용된 예도 있다. 안티모니의 광석인 휘안석(輝安石)은 고대인이 눈썹이나 속눈썹을 화장할 때 사용되었으며, '표시(mark)'라는 뜻으로 stibium(스티븀, 그리스어로는 stimmi)'이라 불렸는데, 원소기호 Sb는 이 말에서 딴 것이다. 1887년 피에르 베르틀로(1827-1907)는 칼데아 문명이 미량의 철이 혼합된 거의 순수한 금속 안티모니를 다룰 수 있음을 알아냈다. 이들이 휘안석에서 안티모니를 추출했는지 혹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금속 안티모니를 사용했는 지는 알 수 없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 금속 안티모니는 납의 한 형태로 여겨졌다. 정확한 구성은 알 수 없지만 석유 등으로 이루어진 그리스의 불에 황화안티모니가 쓰였다고 한다.

안티모니의 어원은 확실하지 않으며 휘안석(Stibnite)이 다른 광물에 수반해서 산출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anti(반대)', 'monos(고독)'를 합쳐 'antimonium'이라 불리고, 이것이 변해서 안티모니가 되었다는 설과 옛날에 수도자들이 문둥병 치료제로서 이것의 금속제제(金屬製劑)를 사용한 데서, 그리스어인 'anti'와 'monachos(승려)'에서 유래하였다고도 한다. 그리고 휘안석(Stibnite)의 모양으로 인해 꽃을 닮았다는 뜻의 그리스어 'anthemonion' 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기록상으로는 콘스탄티누스 아프리카누스(1010?~1087)가 아랍어를 옮기면서 처음으로 antimony 라는 말을 사용하였다.

중세에는 휘안석을 이루는 안티모니가 화합물의 형태로 여러 사람들에게 알려졌다. 그러나 안티모니는 중세까지 금속 원소로 여겨지지 못했으며 금속 안티모니는 납과 구분이 불가능했다. 안티모니를 발견한 사람에 대해서는 8세기 자비르 이븐 하이얀이 발견했다는 설이 있으며, 유럽 최초로 안티모니 분리법을 나타낸 책은 1540년 바노치오 비링구치오(Vannoccio Biringuccio,1480-1539)의 ‘신호탄에 관하여(De la pirotechnia)’이라고 한다.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는 1556년 '광물들의 본성에 관하여(De re metallica)'에서 "스티븀(stibium)은 도가니 안에서 정제되면 저술가들 사이에 일치를 보고 있는 납처럼, 진짜 금속으로써의 자격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 정제 과정에 어느만큼 주석을 추가하면 서적상의 합금, 즉 책을 인쇄하는 자들이 사용하는 활자가 만들어진다.[3] "고 쓰고 있다. 그리고 금속 안티모니의 조제법을 나타낸 것이, 톨드의 "안티모니의 개선 전차(The triumphal chariot of antimony)"이다. 간행된 것은 1604년이지만, 그 주장에 따르면 베네딕트 파의 신부, 필명 바실리우스 발렌티누스가 1450년에 이룬 책을 편찬 한 것이다. 발견자가 누구이던 간에 16세기에는 금속 안티모니의 존재 자체는 분명히 알려져 있었다.

고대에 안티모니는 과 혼동되어, 명확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다만 옛날부터 안티모니가 쓰였다는 것을 나타내는 물건들이 발굴된 것도 사실이다.

중세 연금술사들은 안티모니를 ♁로 표시했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그들은 안티모니가 여성성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고, ♁를 뒤집은 ♀는 여성을 나타내는 상징이 되었다.

3. 이용

3.1. 현대 이전

3.2.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용도는 60% 정도가 방염제 성분으로 쓰인다. 열에 약한 플라스틱이나 고무에 안티모니 화합물인 삼산화안티모니를 몇% 추가하면 불에 잘 타지 않게 된다. 또, 안티모니는 환경변화나 시간경과에도 강하기 때문에 난연조제(難燃助劑)로도 쓰였다. 최근에는 안티모니가 가진 독성이 문제시되어 대용소재 개발이 진행중이다.

현재는 배터리, 활자, 합금, 납땜(lead-free 용), 성냥, 뇌관 및 의약품으로도 사용된다. 합금으로는 주로 납과 다양한 비율로 섞어서 강도를 높이는데 쓰이고 마찰베어링에 쓰이는 마찰력이 적은 베빗 메탈을 만드는 데에도 쓰인다. 금속 베어링은 무조건 단단하고 잘 버티는 소재로 만들면 베어링이 들어가는 틀을 다 갉아먹으면서 망가뜨린다. 또한 단단한 소재는 연성과 취성이 부족해서 한 번 형태가 어그러지면 되돌아오기 힘들고 잘 깨진다. 그래서 약간 마모되더라도 다른 베어링과 함께 하중을 분산시키는 연질 합금인 화이트 메탈이 베어링의 재료로 더 적합하다.

white metal 합금은 밝은 광택의 금속으로 은과 비슷하기 때문에 장신구에 은 대신 저렴한 대체제로도 사용되며 안티모니는 합금의 단골소재다. 과거에는 워해머 40,000 등 금속 피규어 생산시 주석 합금 형태로 주로 쓰였지만 안티모니의 독성이 조명됨에 따라 레진 및 플라스틱으로 소재를 교체하고 있다.

또한 플루오린과 결합해서 염산, 황산, 질산을 버로우 태울 정도의 초강산 ' 육플루오린화안티모니염수소산'(HSbF6)을 만들어낸다.

4. 여담


[1] 실제 영어 발음은 '앤티머니' 혹은 '앤티모우니' [2] Antimon, EU권에서 쓰는 표기이며 일본어로는 '안치몬'(アンチモン)이다. [3] Stibium when melted in the crucible and refined has as much right to be regarded as a proper metal as is accorded to lead by writers. If, when smelted, a certain amount be added to tin, a bookseller’s alloy is produced from which the type is made that is used by those who print books on paper. [4] 마스터 키튼에서 히라가 다이치 키튼이 살인사건과 연관된 도난당한 황금 이시스 여신상을 발견한 후, 그 여신상의 색깔을 보고나서 위조품임을 알아내는 장면이 있다. [5] Everlasting pill. 왜 이런 이름이 붙었냐 하면, 안티모니 덩어리를 먹으면 격한 설사와 함께 소화되지 않고 배설된다. 그럼 그걸 다시 씻어서 대대로 쓰는 것... [6] 이렇게 할 경우 와인 속의 타타르산이 컵에서 녹아나온 안티몬과 합성되기 때문.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