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05 19:44:34

소브레멘니급 구축함

소브레멘니급에서 넘어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냉전 시기의 소련 해군 수상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12px-Naval_Jack_of_the_Soviet_Union.svg.pn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전함 <colbgcolor=#fefefe,#191919> 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야급, 아르항겔스크UK, 노보로시스크배상, 슐레스비히-홀슈타인배상, 비보르크배상, 헤센나포
순양전함 크론슈타트급, 스탈린그라드급, 키로프급
순양함 순양함 키로프급, 막심 고리키급, 카가노비치급, 차파예프급,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스베르들로프급, [[프로젝트 65형 순양함|프로젝트 65형]], [[프로젝트 66형 순양함|프로젝트 66형]], [[프로젝트 84형 순양함|프로젝트 84형]], [[소형 경순양함 계획|소형 경순양함]], [[자이틀리츠(중순양함)|자이틀리츠]]배상, 어드미럴 마카로프배상, 케르치배상
미사일 순양함 프로젝트 63형, 킨다급, [[프로젝트 1126형 순양함|프로젝트 1126형]], 크레스타급, 카라급, 키로프급, 프로젝트 1165형, [[프로젝트 1080형 순양함|프로젝트 1080형]], 슬라바급, 프로젝트 11960형, 프로젝트 11641형, 프로젝트 1293형
대잠 순양함 크레스타급, 카라급, 프로젝트 1199형, 프로젝트 11990형
구축함 구축함 T33배상, T-12배상, T-17배상, 프릿키배상, 필키배상, 프로치니배상, 프라보르니배상, 베르니배상, 브니자프니배상, 보즈로조니급배상, 룍키배상, 라프키배상, 레뚜치배상, 리호이배상, 레그키배상, 로브배상, 윅스급UK, 프로젝트 30형, 오그네보이급, 프로젝트 31형, 코틀린급, 킬딘급, 카닌급, 소브레멘니급
대잠 구축함 카닌급, 카신급, 우달로이급, 프로젝트 1156형, 프로젝트 11560형, 프로젝트 11000형
호위함 프로젝트 29형, 네우스트라시미급, 콜라급, 코니급, 리가급, 페트야급, 미르카급, 크리박급, [[게파르트급 초계함|프로젝트 11661형]]
초계함 소형 미사일함 (МРК) 나누추카급, 보라급, 타란툴급, 사란차급
소형 대잠함 (МПК) 크론슈타트급, 포티급, 그리샤급, 프로젝트 1141형, 폴급, 파르킴급, 무하급, 파우크급
소형 함포함(Мак) 야즈급
경비정 프로젝트 D 361형, 프로젝트 P 361형, 프로젝트 T 361형, 프로젝트 B 361형, 프로젝트 C 361형, 프로젝트 125, 프로젝트 125A형, 프로젝트 D 376형, 스텐카급, 주크급, 스베틀야크급
모니터함 제레즈냐코프급, 하산급
함포정 쉬멜급
어뢰정 프로젝트 123-bis형, P-6급, P-4급, 프로젝트 184형, 셰르셴급, 프로젝트 125형, 투르야급, 무라베이급
대잠정 무레야급, S·O-1급
미사일 고속정 코마급, 오사급, 마트카급, 타란툴급
항공모함 프로젝트 85형, PBIA, 모스크바급, 키예프급, [[울리야놉스크급 항공모함|오렐급]],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울리야놉스크급 항공모함|울리야놉스크급]]
상륙함 강습상륙함 [[프로젝트 11780형 강습상륙함|프로젝트 11780형]]
대형 상륙함(БДК) 앨리게이터급, 이반 로고프급, 로푸카급, 폴노시니급, 프로젝트 778형
중형 상륙함 프로젝트 572형, 프로젝트 118형, 폴노크니급
소형 상륙함(МДК) 프로젝트 450형, 프로젝트 189형, 프로젝트 106형
공기부양 소형상륙함 주브르급, 아이스트급, 프로젝트 10210형
공기부양정 거스급, 레베디급, 우테노크급, 프로젝트 1238형, 무레나급
LCU 프로젝트 80형, 프로젝트 306형, 프로젝트 1785형, 온다트라급
기뢰함 대양 소해함 프로젝트 73-K형, T43, T58급, 유르카급, 리다급, 나탸급, 프로젝트 923형, 고랴급
기본 소해함 프로젝트 3형, 프로젝트 265형, 바냐급, 프로젝트 699형, 제니야급, 소냐급
연안 소해정 MT급, 프로젝트 255형, 예브게니야급, 프로젝트 10751형
정보수집함 프로젝트 393형, 프로젝트 393-A형, 프로젝트 394B형,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비시냐급,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 SSV-33 우랄
추적유도함 프로젝트 1128형, 프로젝트 1129형, 프로젝트 1129B형, 프로젝트 1130형, 마쉘 네델급
통합보급함(ККС) 베레지나급
급유함 프로젝트 563형, 프로젝트 1589형, 보리스 칠킨급, 프로젝트 577형, 프로젝트 160형, 두브나급, 이만급, 어얼구나급
고속 및 특수급유함 프로젝트 437-K형, 프로젝트 1545형, 프로젝트 1844형, 프로젝트 1541형, 프로젝트 11510형
급탄함 프로젝트 1791형, 프로젝트 11570형, 프로젝트 10680형
잠수함지원함/잠수함구조함 돈급, 프로젝트 1886형, 콤무나
위그선 룬급
해양연구함 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수로탐사함 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훈련함 드네프르, 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
※ 윗첨자UK: 영국이 대여해준 함선
※ 윗첨자배상: 추축국인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 등으로부터 전후 배상받은 함선
※ 윗첨자나포: 추축국의 함정을 나포해서 운용하게 된 함선
취소선: 계획으로만 끝났거나 건조 중 취소된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현대의 러시아 해군 군함 파일:러시아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191919> 잠수함 <colbgcolor=#fff,#191919> 재래식(SS) 위스키급R, 줄루급R, 로미오급R, 줄리엣급R, 폭스트로트급R, 골프급R, 탱고급R, 킬로급, 라다급, (칼리나급)
SSN 노벰버급R, 빅터급, 알파급R, 마이크급R, 시에라급, 아쿨라급, ( 하바로프스크급)
SSGN 에코급R, 찰리급R, 파파급R, 오스카급, 야센급, 머큐리급, ( 허스키급)
SSBN 호텔급R, 양키급R, 델타급, 타이푼급R, 보레이급
SSA 팔투스급, 로샤릭급, 사로프급
경비정 주크급CG/R, 스베틀야크급CG, 그라초노크급, 랩터급, 스텐카급, 몽구스급, 독스타바벳급, BK-16급, BK-18급, 쉬멜급
경비함 바실리 비코프급, ( 이반 파파닌급)
초계함 무하급R, 무라베이급R, 그리샤급, 나누추카급, 파르킴급, 타란툴급, 파우크급CG, 보라급, 부얀급, 부얀-M급, 카라쿠르트급, 게파르트급, 스테레구시급, 소브라지텔니급, 그리먀시급, ( 데르즈키급)
호위함 페트야급, 크리박급CG, 네우스트라시미급,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 프로젝트 22350M형)
구축함 카신급R, 우달로이급, 소브레멘니급, 프로젝트 21956형, ( 리데르급)
순양함 카라급R, 슬라바급, 키로프급
항공순양함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 러시아 연방의 항공모함 계획)
상륙정 무레나급R, 아이스트급R, 주브르급, 세르나급, 듀공급, 온다트라급
상륙함 LPH ( 이반 로고프급), 미스트랄급
LSD 이반 그렌급
LST 이반 로고프급R, 앨리게이터급, 로푸카급
소해함 나탸급, 소냐급, 고랴급, 리다급, 알렉산드리트급
위그선 룬급R
정보수집함 프로젝트 394B형R,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프로젝트 864형,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R, 우랄급R, 유리 이바노프급, 비시냐급
군수지원함 벨랸카급, 삿코급, 루자급, 발라급, 다우가바급, 비테그랄레스급, 무나급, 유니 파티잔급, 암게마급, 프로젝트 323A/323B형
구난함/잠수함구조함 프로젝트 23040형, 프로젝트 05360형, 엘브루스급, 카쉬탄급, 콤무나
잠수함지원함 프로젝트 1886형R
해양연구함 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프로젝트 22010형, ( 프로젝트 22011형)
수로탐사함 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훈련함 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R
※ 윗첨자R: 퇴역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Project-956-a.jpg
파일:Project-956-b.jpg
Эскадренные миноносцы проекта 956 «Сарыч»

1. 개요2. 제원3. 건조 배경4. 특징5. 수출용 건조계획
5.1. 중국의 도입
6. 평가7. 동형함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프로젝트 956형 "사릐치"는 소련 해군 러시아 해군 구축함으로, NATO 코드명은 소브레멘니급(Sovremenny-class)이다.

무장은 BUK-M1 대공 미사일 48발, 모스키토 대함 미사일 8발, 기뢰, 폭뢰, AK-130 함포, Ka-27 대잠핼기 등 강력한 무장을 갖추었으나 부족한 성능의 AK-630 CIWS, 부족한 대공의 Buk-M1 대공 미사일[1]을 사용하여 아쉬운 부분도 동시에 갖추고 있다.

2. 제원

소브레멘니급 구축함
Sovremenny-class Destroyer
건조사 자다노프 조선소[2]
이전 함급 카신급, 051B형[중국]
다음 함급 우달로이급, 052B형[중국]
건조 기간 1976 ~ 2004년
운용 기간 1980년 ~ 현재
계획 25척
건조 21척
표준배수량 6,600t
만재배수량 8,000t
전장 156m
전폭 17.3m
흘수 6.5m
추진 장치 증기 터빈 2축
디젤 발전기 2기
과급기 2기
보일러 4기
출력 100,000HP
최고 속력 32.7kn (약 60.6km/h)
항속 거리 18kn (약 33km/h)에서 7,260km 정도
승조원 350명
전자전 장비 디코이 200발
PK-2 발사대 2문
무장 주포 AK-130 130mm 2연장 함포 2문
부포 AK-630 30mm 6연장 CIWS 4문
대함 SS-N-22 선번 4연장 발사대 2문
대공 SA-N-7 개드플라이 24연장 발사대 2문
대잠 2연장 533mm 어뢰 발사관 2문
RBU-1000 6연장 300mm 로켓 발사관 2문
헬기 Ka-27 1기

3. 건조 배경

프로젝트 956형의 건조 배경은 1960년대 고르시코프 제독이 추진한 대양해군 건설의 계획의 일환으로 개발되게 되었다. 당시 소련 미 해군에 대항하기 위해 잠수함 전력, 항공기 전력, 대함 미사일 전력을 구축하고 있었지만 이로서는 한계가 있었고 결국 대형 수상함을 중심으로 한 대양 해군의 건설 필요성에 절감하고 있었다. 이미 소련은 다수의 수상 전투함을 가지고 있었지만 미국이나 영국과 같은 해양 강국에 비해 소련은 기술력과 운영 경험면에서 짧은 편이였기에 스스로도 만족할 만한 전투력을 가진 함선은 적은 편이였다.

이에 소련은 적극적인 해양 진출의 기반이 될 신형 전투함의 건조를 진행하게 되면서 카신급 구축함의 후계함으로 프로젝트 956형이 탄생하게 되었다. 초기에는 서구진영의 일반적인 구축함처럼 대잠 작전에 중심을 둔 함정이 아닌 상륙부대 지원과 같은 대 지상 임무를 상정하였기에 이 시점에서 주요 무장은 130mm 2연장 함포 3기와 SA-N-4 스틱스 대함 미사일로 무장한, 미사일과 함포 무장에 집중된 함선 이였으나 1970년대 들어오면서 대공, 대 수상, 함대 호위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다목적 전투함으로 설계방향을 돌리게 되었다. 한편으로 미국이 신형 범용 구축함을 건조한다는 정보를 소련이 입수하면서 소련의 건함 계획도 변경되게 되었는데 개발 중이던 신형 폴리놈 바우 소나가 대형이었으며 그러다가 보니 개발중이었었던 프로젝트 956형에 탑재하게 된다면 대공 미사일 시스템과 대구경 함포의 탑재를 포기해야 될 상황이었었다. 이에 소련은 대잠 임무가 중심인 프로젝트 1155 우달로이급 구축함과 대 수상전과 대공 임무가 중심인 프로젝트 956형으로 수상함 건조계획을 확정하고 동시에 개발을 진행하게 되었는데 원래 소련은 비슷한 체급의 두 구축함에 있어 설계와 장비의 공통화를 최대한 많이 추진하려 하였었으나 당시에 설계국들간의 경쟁과 더불어서 구 소련 해군의 중재 부족으로 전혀 다르며 상이한 두 구축함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소련은 프로젝트 956형 28척과 우달로이급 50척을 건조하기로 결정하였고 소련 해군은 프로젝트 956형 28척으로 7척으로 구성된 4개의 구축함 여단을 만들 계획이었다. 1980년부터 1994년까지 프로젝트 956형은 17척이 취역하였지만 소련의 붕괴와 신생 러시아의 경제난으로 18번함 이후부터는 건조가 중단되어 방치되고 있다가 중국에게 넘어가 항저우급이 되게 된다.

4. 특징

프로젝트 956형은 존재가 처음으로 서방진영에 알려졌을 때 서방 진영을 당황하게 만든 것은 이 함선이 고압보일러 방식의 증기 터빈을 사용한다는 것이었다. 미국의 경우 1958년부터 1967년까지 건조한 찰스 F. 애덤스급 이후로 이미 가스터빈 방식의 함정이 주축이었고 다른 국가들 역시 그러하였는데 증기터빈의 심각한 정비성과 심한 소음으로 인한 대잠 작전 피해, 느린 가속 등의 문제가 그 원인이었다. 이로 인해 이미 가스터빈 방식이 보편화된 1980년에 등장한 프로젝트 956형은 시대를 역행하는 듯 증기터빈 방식을 들고 나왔던 것이다. 이에 서방측은 소련의 가스터빈 방식 엔진의 기술력이 낮은 것이 아니냐는 등 다양하게 원인을 찾았지만 이유는 간단하였는데 프로젝트 956형을 건조한 즈다노프 조선소가 증기터빈 함선을 전문적으로 건조하는 조선소였기 때문이었다.

러시아 역시 가스터빈 함선의 장점을 인식하고 있었고 이미 다수의 가스터빈 방식의 함선을 건조하였으며 프로젝트 956형과 동 시기에 등장한 우달로이급 역시 가스터빈 방식의 함선이였고 프로젝트 956형이 처음으로 기획된 1960년대에는 동함도 당연히 가스터빈 방식의 함선으로 설계할 계획이었다. 그럼에도 증기발전 방식이 된 것은 상층부의 결정 이였는데 우선 우달로이급은 대잠 구축함이었기에 가속도가 우수한 가스터빈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그런데 당시 소련의 기술력으로 50척에 달하는 건함 계획을 가지고 있는 우달로이급 외에 28척의 프로젝트 956형의 가스터빈 엔진을 공급 할 수 있을지 의문스러웠고 또한 모든 함선을 가스터빈으로 통일한다는 것은 연료 공급에 문제가 생길 경우 해군의 작전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었다. 그렇기에 증기터빈 생산라인을 계속 유지 할 수도 있고 중유를 포함하여 아무 연료나 잘 먹는 증기 터빈을 추진 기관으로 선정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정은 실제로 함대를 운영하는 해군 지휘부와 장병들에게는 결코 환영 받지 못할 결정 이였는데 프로젝트 956형의 엔진은 고압에서 많은 고장을 일으켰고 구조가 복잡하고 정비가 까다로운 이 함선의 정비에 많은 비용과 시간 인력을 배당하게 된다가 비슷한 체급의 우달로이급 보다도 증기터빈으로 인해 탑승인원까지 늘어나게 되어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던 소련 해군에게 부담을 가중 시키게 되었다.

선체 구조는 크레스타급 순양함이 기반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는데 세장비는 9대1로 20노트 이하의 순항 시에는 선체 저항이 크지만 20노트 이상의 고속에 유리한 함형이며 공간 활용 면에서도 유리한 선형에 해당한다. 상부 구조물은 매우 복잡하고 난잡해 보이지만 함교와 마스트 부분과 후부 마스트와 헬기 격납고로 이어지는 2개의 구조물로 일체화 되어있으면 함체의 균형이 우수하여 악천후 시에도 안정성이 뛰어나다.

대공 무장은 SA-N-7 미사일은 9K37 부크 M 지대공 미사일의 해상 형으로 미사일 자체는 동일하며 발사기 장전 시스템 레이더 등이 다르다. 같은 목표에 2발씩 유도 시에는 항공기는 81~96%의 명중률을, 대함 미사일의 경우에는 43~86%의 명중률을 보인다. 최대 고도는 13,000m, 최대 사거리는 18~23km이며 대함 미사일 요격 시에는 12km가 최대 사거리이며 최소 사거리는 3.5km 이다. 발사기는 3S90 2기로 함수 포탑 뒤와 헬기 갑판 뒤에 1기식 설치되어 있으며 성능은 미국의 MK 13 단장 발사기와 유사한 구조의 발사기로 하부의 드럼 탄창에 24발의 미사일을 장전되어 있다. 3S90과 부크 미사일의 조합은 해상 상태 3의 상태에서도 운용에 문제점이 없을 정도로 신뢰성이 뛰어나다. 3차원 레이더는 MR-750 흐레갓트M(나토명 Top Steer)을 탑재하며 4번함부터는 MR-750MA(나토명 Top Plate B)를 탑재하고 있는데 이 레이더는 전투기는 18~230km 대함미사일은 17~59km에서 탐지가 가능하며 동시에 20의 목표를 추적 할 수 있다. 사격 통제 레이더는 MR-90 오렉 레이더를 양현에 3씩 6개를 탑재하여 3차원 레이더와의 조합을 통해 동시에 6개의 목표와 교전이 가능하다. 근접 대공 시스템으로는 AK-630 CIWS를 양현에 2개가 탑재되었으며 MR-123 사격레이더로 통제한다. 프로젝트 956형의 대공 시스템은 등장 시기인 1980년에는 매우 우수한 편이였고 지금에 있어서도 우수한 편이나 서방의 주력함에 탑재된 이지스, 에이파 ,샘슨과 같은 동시 다목표 교전 시스템들에 비해서는 한세대 이전의 시스템이다.

대함 무장으로는 우선 대함 미사일은 프로젝트 956형의 상징과 같은 P-270 모스킷 대함 미사일을 탑재하고 있으며 이 미사일 들은 함교 양현에 KT-190 4연장 발사기 2기에 격납되어 있다. 발사기에는 가이드 레일이 존재하면 발사 시에는 앞뒤의 원형 도어가 열리면서 발사된다. KT-190 발사기는 좌우 60도 범위만 방향 전환이 되기에 발사 시에는 함정을 목표와 같은 방향으로 선회하여 목표와 각도를 맞추어야 한다. 15번부터는 신형 모스킷M이 탑재되면서 발사관의 외형도 변경되었다. 모스킷의 사거리는 120km이나 정작 레이더인 MR-212/201레이더의 수상 목표 탐지거리가 40km이기에 미사일의 최대 사거리를 활용하려면 반드시 항공기의 지원이 필요하다. 러시아가 주로 운영하는 Ka-27 헬릭스는 대 수상 레이더가 있지만 데이터 링크가 안 되기에 Ka-25 호몬과 같은 전문적인 대함 미사일의 목표 탐지와 추적 중계유도가 되는 헬기의 보유가 필수적이기에 대함 미사일의 운영에 있어 다소 복잡하고 번거로운 편이다.

함포는 130mm 수랭식 AK-130 54 구경장 2기를 탑재하여 대지 타격과 근접 대수상전에 있어서는 대적할 존재가 없을 정도로 강력하다. AK-130은 2연장 함포로 분당 20~86발의 사격이 가능하며 하부의 탄창에는 180발이 들어있다.

대잠능력은 동시대의 우달로이급이 전담하고 있으며 우달로이급과 항상 같이 작전 하도록 전제되고 설계되었기에 빈약한 편이나 2~10km범위의 근거리 탐지용의 능동 수동 겸용 바우 소나와 533mm 4연장 대잠 어뢰 2기 근거리 대잠 공격용인 RBU-1000 6연장 대잠 로켓 2기를 탑재하고 있다. 또한 가변식 헬기 격납고를 사용하고 있는 헬기 갑판이 존재하여 헬기의 운영이 가능하나 헬기 격납고를 사용 시에는 격납고가 헬기 갑판을 사용할 수 없고 헬기의 연료 보급 기능은 있으나 정비는 불가능하기에 자체적인 헬기 운영에는 제한이 따른다. 또한 앞에서 언급한 대함 미사일의 운영에는 ka-25 호몬이 필요하기에 임무에 따라 ka-27과 ka-25를 임시로 배정 받아 운영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5. 수출용 건조계획

5.1. 중국의 도입

프로젝트 956형은 17번함까지만 건조되어 인도되었으며 18, 19번함은 조선소에서 건조중 방치 20번함은 해체되게 되었는데 해군의 현대화와 대양 해군을 추진하던 중국이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중국이 건조비를 제공하면서 건조후 중국이 도입하게 되어 항저우급 구축함이 되었다.

6. 평가

프로젝트 956형 구축함은 1980년대에는 상당한 성능을 자랑하는 구축함이었지만, 현재는 심각히 노후화된 함급인데다 성능적인 결함도 여럿 지니고 있다. 현재 러시아 해군도 아직까지 프로젝트 956형을 운용 중이기는 하지만, 이는 빡빡한 재정 상황으로 인해 대안이 없기 때문일 뿐이다. 그나마도 러시아 해군이 끊임없이 본함의 대안을 모색하는 중이라는 점에서 그 한계가 드러난다. 그나마 함체의 체급이 구축함으로서는 넉넉한 편이어서 대수상전과 대공 능력 면에서는 아직 현대전에서도 아예 못 쓸 물건은 아니기는 하다. 하지만 단독으로는 대잠전 능력도 전무할 정도로 범용성이 낮다는 점은 다목적성을 중시하는 현대 해군의 함선에 비해 지닌 뼈아픈 결점이다.

무엇보다 치명적인 문제점은 건조 당시에도 지적받았던 증기터빈 방식의 엔진이다. 유지보수와 수리 비용이 많이 드는 이 엔진이 안 그래도 빈약한 재정을 지닌 러시아 해군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래서 현재는 1척만 가동중이다. #
그마저도 2023년 시점에서는 총 1척이 가동 중이다.
태평양 함대의 9번함 부르니함[5]은 수리가 보류되었고 스크랩 # 11번함 븨스뜨리함[6]은 2022년 퇴역하였고, 발트 함대의 16번함 나스또이치븨함[7] 북방 함대의 아드미럴 우샤코프함은 현대화에 착수했다. 아드미럴 우샤코프함은 2021년 경 현대화가 완료되어 러시아 해군에 인도되었고, 나스또이치븨함은 2019년경 리노베이션에 들어가 현재 현대화 중이다.

중국과 인도 해군에도 큰 영향을 주었는데 우선 중국은 항저우급 구축함을 통해 프로젝트 956형을 직접 4척 도입하였으며 이후 건조된 052B형 구축함은 러시아의 지원 하에 프로젝트 956형의 무장과 전자장비를 탑재한 중국판 프로젝트 956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들 함선은 중국의 대양 해군 건설의 기반이 된 기념비적인 함선들이다. 또한 인도 해군 델리급은 설계 시점에서 러시아의 설계 지원을 받았기에 프로젝트 956형의 영향이 강하게 남아있으며 델리급 이후에 건조를 진행 중인 콜카타급에도 이러한 영향이 남아있다.

7. 동형함

프로젝트 956형 구축함은 러시아 해군과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에서 운용되고 있다. 기존의 현대화를 기다리던 부르니함선은 스크랩처리당했고 북해의 소브레멘니급이 전부고 다른 함선은 현대화중이다.

7.1. 러시아 해군/ 소련 해군

함명 프로젝트 명 함번 기공 취역 상태 배치
1 «Современный» проекта 956 861 1976년 1980년 퇴역
2 «Отчаянный» проекта 956 862 1977년 1982년 퇴역
3 «Отличный» проекта 956 863 1978년 1983년 퇴역
4 «Осмотрительный» проекта 956 864 1978년 1984년 퇴역
5 «Безупречный» проекта 956 865 1981년 1985년 퇴역
6 «Боевой» проекта 956 866 1982년 1986년 퇴역
7 «Стойкий» проекта 956 867 1982년 1987년 퇴역
8 «Окрылённый» проекта 956 868 1983년 1987년 퇴역
9 «Бурный» проекта 956 869 1983년 1988년 퇴역
10 «Гремящий» проекта 956 870 1984년 1988년 퇴역
11 «Быстрый» проекта 956 871 1985년 1989년 퇴역
12 «Расторопный» проекта 956 872 1986년 1989년 퇴역
13 «Безбоязненный» проекта 956 873 1987년 1990년 퇴역
14 «Гремящий» проекта 956-А 874 1987년 1991년 퇴역
15 «Беспокойный» проекта 956-А 875 1987년 1991년 박물관함 크론슈타트
16 «Настойчивый» проекта 956-А 876 1988년 1992년 현역(오버홀 중) 발트 함대
17 «Адмирал Ушаков» проекта 956-А 877 1988년 1993년 현역(현대화 완료) 북방 함대
18 «Ханчжоу» проекта 956-Э 878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수출
19 «Фучжоу» проекта 956-Э 879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수출
20 «Буйный» проекта 956-У 880 건조 취소
21 «Тайчжоу» проекта 956-ЭМ 138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수출
22 «Нинбо» проекта 956-ЭМ 139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수출
23 «Внушительный» проекта 956 2211 건조 취소

7.2.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항저우급 구축함
함번 함명 기공 진수 취역 소속 상태
136 항저우(杭州) 1988년 11월 4일 1994년 5월 27일 1999년 12월 25일 동부전구해군 현역
137 푸저우(福州) 1989년 4월 22일 1999년 4월 16일 2000년 11월 20일 동부전구해군 현역
138 타이저우(泰州) 2002년 7월 3일 2004년 4월 27일 2005년 12월 28일 동부전구해군 현역
139 닝보(宁波) 2002년 11월 15일 2004년 7월 23일 2006년 9월 27일 동부전구해군 현역
건조 시 함명 프로젝트 명 러시아 이름
«Ханчжоу» проекта 956-Э Vazhnyy / «Важный» 중국에 매각
«Фучжоу» проекта 956-Э Vdumchivyy / «Вдумчивый» 중국에 매각
«Тайчжоу» проекта 956-ЭМ Vnushitelny / «Внушительный» 2004년, 개량형 956EM이 건조
«Нинбо» проекта 956-ЭМ Vechny / «Вечный» 2004년, 개량형 956EM이 건조

8. 관련 문서



[1] Buk-M1 대공 미사일의 경우 뛰어난 성능을 자랑하나 사거리 30킬로미터급의 중거리 방공 미사일로 개함방공, 함대방공 모두 약간 애매하며 무엇보다도 VLS가 아닌 단장 회전식 발사대를 사용하여 현대적인 수준에는 조금 못미친다. [2] 現 세베르나야 베르프 [중국] [중국] [5] Бурный, '폭풍우' [6] Быстрый, '빠른' [7] Настойчивый, 적절히 의역하면 '끈기있는', '완고한' 정도의 함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