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7 03:19:44

신호(조선)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a0000, #a52a2a 20%, #a52a2a 80%, #6a0000)"
{{{#!wiki style="margin: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52a2a><tablebgcolor=#a52a2a> 파일:이순신 수결 흰색.svg 이순신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a52a2a><colcolor=#fff> 소속 <colbgcolor=#fff,#1f2023> 삼도수군통제사 · 선무공신
가족 아내 방수진
장남 이회, 차남 이예, 삼남 이면
맏형 이희신의 아들 이완 · 딸의 시아버지 홍가신
먼 친척 형 이광 · 19촌 이이
후손 ( 이봉상 · 그 외 후손)
관련 인물 친구 류성룡 · 류성룡의 제자 허균
육군 동료 ( 이일 · 신립 · 권율 · 이경록)
수군 동료, 부하 ( 이억기 · 권준 · 김돌손 · 김완 · 김억추 · 나대용 · 무의공 이순신 · 배흥립 · 안위 · 오계적 · 이영남 · 이운룡 · 정운 · 준사 · 최호 · 송희립 · 우치적 · 어영담 · 황세득 · 송여종 · 김인영 · 신호 · 원균 · 배설 · 이언량 · 류형 · 진무성)
주군 ( 선조 · 선조비 의인왕후 · 분조 광해군)
생애 생애 · 전투 관련 · 여담
관련 장소 이순신이 태어난 곳 한양 건천동 · 이순신 일가의 생가 아산
이순신의 묘소 장군묘 · 이순신의 사당 현충사
명량해전이 벌어진 곳 명량수도 · 노량해전이 벌어진 곳 이순신대교
관련 사건 탄신일 · 니탕개의 난 · 녹둔도 전투 · 이몽학의 난 · 백의종군
임진왜란, 정유재란 해전 ( 옥포 해전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 · 사천 해전 · 당포 해전 · 당항포 해전 · 율포 해전 · 한산도 대첩 · 안골포 해전 · 장림포 해전 · 절영도 해전 · 초량목 해전 · 부산포 해전 · 웅포 해전 · 장문포 해전 · 명량 해전 · 절이도 해전 · 왜교성 전투 · 노량 해전)
관련 물건 쌍룡검 · 백원 주화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작품 장계별책 · 난중일기 · 이충무공전서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용모 · 창작물
평가 관련 기록 · 평가 · 의문점
창작물 성웅 이순신(1962) · 성웅 이순신(1971) · 난중일기(영화) · 칼의 노래 · 천군(영화) · 명량 · 한산: 용의 출현 · 노량: 죽음의 바다 · 칼의 노래(뮤지컬)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이순신 서명.svg }}}

}}}}}}}}} ||

申浩
1539년( 중종 34년) ~ 1597년( 선조 30년)

1. 개요2. 생애3. 대중매체

1. 개요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1], 자는 언원(彦源, 彦原) 또는 심원(深源), 호는 고정(古亭).

이명으로 신길(申洁)로 기재된 문헌도 있다.

고려 개국공신 신숭겸의 후손이다. 시호는 무장(武壯).

2. 생애

신호는 1539년 전라도 고부군 우일면 원당리(현 전라북도 정읍시 북면 남산리 원당마을) #에서 충순위(忠順衛)로 복무하던 아버지 신희중(申希仲)과 어머니 창녕 장씨(昌寧 張氏) 장희령(張希齡)의 딸 사이의 아들로 태어났다. #

정병(正兵)으로 복무하다가 1567년( 명종 22) 식년시 무과에 갑과 2위 (아원)으로 급제하여 #, 북방에서 조산보만호(造山堡萬戶), 도총부도사(都摠府都事), 경력(經歷) 등을 역임하다가 임진왜란 몇 년 전 조정에서 일본의 침략을 우려하여 북방에서 무용이 뛰어난 장수들 중에서 발탁하여 남쪽으로 배치하였는데, 신호는 낙안군수(樂安郡守)에 임명되었다. 그렇게 낙안 군수로 재임하던 중에 임진왜란을 맞았다.

임진왜란 중에는 이순신을 도와 견내량(見乃梁)· 안골포(安骨浦) 등의 해전에서 큰 공을 세워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임명되었고, 정유재란 중인 1597년에는 교룡산성수어사(蛟龍山城守禦使)로 있던 중 남원성(南原城)이 왜군에게 포위되자 구원하러 갔다가 그곳에서 전사했다.

사후 원종공신(原從功臣) 1등에 임명되고 형조판서에 추증되었다.

3. 대중매체

1962년 영화 성웅 이순신에서는 배우 구종석이 연기했다.

불멸의 이순신에서는 배우 정진각이 맡았다.[2] 부하들을 아끼는 덕장(德將)으로 묘사되나 그 외의 특징은 딱히 없는 편이라, 비서실장 겸 첩보실장 격인 권준이나 개그 캐릭터 김완, 작중 초반 원균빠 정운, 조류의 달인 어영담 등에 밀려 임팩트가 없는 편. 극 중에서는 전라 좌수영에 전염병이 걸려 병사들이 죽어나가자[3] 한양에 바쳐야 할 세금을 빼돌려 약재로 바꾸는 바람에 이순신이 문책당하는 것을 막기 위해[4] 스스로 관직을 버리고 떠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즉 정유재란 당시의 활동은 생략당한 셈. 46화에서는 방답군이 단체기합을 받자 병졸들의 과실은 곧 장수의 과실이라고 이순신이 진노한 것도 무리한 일은 아니라고 했다. 47화에서 군량미의 점검, 관리조달을 맡으면서 장기적으로 둔전을 설치 계획을 말하기도 했다.

한산: 용의 출현에서는 거의 공기 수준의 비중이지만, 이순신이 작성한 학익진도에서 녹도만호 정운과 함께 좌선을 호위하는 위치로 배정되어 좌선 근처에서 가끔씩 그의 판옥선이 모습을 비춘다.


[1] 밀직공파 21세. [2] 무인시대에서 한뢰로 유명한 그 배우이다. [3] 1594년의 일로, 실제로 어영담이 전염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4] 당시부터 선조가 이순신을 적잖이 의심하고 있던 판이었기에 권준이나 이순신(무의공) 등은 세금으로 제대로 바칠 것을 주장했지만 신호가 독단으로 한 일이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