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21:42:38

삼성SDS

삼성에스디에스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자사의 옛 홈IoT 사업부문에 대한 내용은 직방 스마트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삼성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 계열사
전자 <colbgcolor=#fff,#1c1d1f> 삼성전자 ( 세메스 · 하만) | 삼성디스플레이 | 삼성SDI (에스티엠 · 에스디플렉스) | 삼성전기 | 삼성SDS (미라콤아이앤씨 · 시큐아이 · 오픈핸즈 · 에스코어)
바이오 삼성바이오로직스 | 삼성바이오에피스 | 삼성메디슨
금융 삼성금융네트웍스 ( 삼성생명 | 삼성화재 | 삼성카드 | 삼성증권 | 삼성선물 | 삼성자산운용 | 삼성벤처투자)
중공업·건설 삼성중공업 ( 거제삼성호텔) | 삼성이앤에이 | 삼성물산 건설부문 ( 씨브이네트 ·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서비스 삼성물산 ( 상사부문 · 패션부문 · 리조트부문) | 호텔신라 ( 신라스테이) | 제일기획 ( 삼성스포츠) | 에스원 ( 휴먼티에스에스 · 에스원CRM) | 삼성글로벌리서치 (삼성EHS전략연구소) | 삼성의료원 | 삼성웰스토리 | 멀티캠퍼스 | 엠로 | 에스비티엠
사회공헌 | 문화예술
사회복지 삼성복지재단 | 삼성생명공익재단 | 삼성화재안내견학교
환경보전 삼성안전환경연구소
언론재단 삼성언론재단
과학기술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자원봉사 삼성법률봉사단
문화재단 삼성문화재단 | 호암재단
미술관 리움미술관 | 호암미술관
박물관 삼성화재 모빌리티뮤지엄
문화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
장학 삼성꿈장학재단
학교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 학교법인 충남삼성학원
기타 삼성의료재단 | 대구삼성창조캠퍼스 | 삼성인력개발원
역대 총수 · 현임 경영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px -10px;"
순위
기업명
26 파일:KT&G 로고.svg
KT&G
27 파일:한국전력공사 CI_좌우.svg
한국전력공사
28 파일:LG전자 로고.svg
LG전자
29 파일:두산에너빌리티 CI.png
두산에너빌리티
30 파일:크래프톤 로고.svg
크래프톤
31 파일:HD한국조선해양 로고.svg
HD한국조선해양
32 파일:HD현대일렉트릭 로고.svg
HD현대일렉트릭
33 파일:포스코퓨처엠 로고.svg
포스코퓨처엠
34 파일:SK텔레콤 로고.svg
SK텔레콤
35 파일:한화오션 CI.svg
한화오션
36 파일:우리금융지주 로고.svg
우리금융지주
37 파일:중소기업은행 로고.svg
IBK기업은행
38 파일:LG 로고.svg
LG
39 파일:삼성SDS 신 로고.svg
삼성SDS
40 파일:삼성중공업 로고.svg
삼성중공업
41 파일:KT 로고.svg
KT
42 파일:SK스퀘어 로고.svg
SK스퀘어
43 파일:SK 로고.svg
SK
44 파일:유한양행 CI.svg
유한양행
45 파일:카카오뱅크 로고.svg
카카오뱅크
46 파일:SK이노베이션 로고.svg
SK이노베이션
47 파일:대한항공 로고.svg
대한항공
48 파일:HYBE 로고.svg
하이브
49 파일:현대글로비스 로고.svg
현대글로비스
50 파일:삼성전기 신 로고.svg
삼성전기
◀ 코스피 상위 25위
▶ 코스피 상위 51위~75위
}}}}}}}}} ||
<colbgcolor=#1428A0><colcolor=#fff>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Samsung SDS Co., Ltd.
파일:삼성SDS 신 로고.svg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창업주 이병철
설립일 1985년 5월 1일
업종명 소프트웨어 공급업, 물류업
대표자 황성우
임원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대표이사 사장
''' 황성우
'''
클라우드사업부장·부사장
''' 구형준
'''
경영지원실장·부사장
''' 안정태
(사외이사 제외) }}}}}}}}}
기업 규모 대기업
상장 유무 상장기업
상장 시장 유가증권시장 (2014년 ~ 현재)
종목 코드 018260 (보통주)
편입지수 코스피
KOSPI200
그룹 삼성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본사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35길 125 ( 신천동)[1]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606번길 10 ( 백현동)[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000,#fff"
{{{#!folding 기업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428A0><colcolor=#fff> 자본금 <colbgcolor=#fff,#1c1d1f><colcolor=#373a3c,#ddd>386억 8,890만원 (2020년 기준)
매출액 연결: 11조 174억 3,152만 5,517원 (2020년 기준)
별도: 4조 5,494억 2,707만 2,244원 (2020년 기준)
영업이익 연결: 8,716억 1,807만 6,210원 (2020년 기준)
별도: 5,821억 1,740만 7,418원 (2020년 기준)
순이익 연결: 4,529억 895만 1,325원 (2020년 기준)
별도: 2,665억 9,237만 964원 (2020년 기준)
자산총액 연결: 9조 1,549억 1,905만 5,538원 (2020년 기준)
별도: 6조 5,101억 6,091만 8,685원 (2020년 기준)
부채총액 연결: 2조 2,958억 1,089만 1,305원 (2020년 기준)
별도: 9,934억 11만 2,119원 (2020년 기준)
직원 수 12,117명 (2021년 6월 30일 기준)
}}}}}}}}} ||
1. 개요2. 역사3. 사업부
3.1. 매각된 사업부
4. 데이터센터5. 지배구조6. 역대 대표이사7. 사건 사고
7.1. 포스코DX 하이패스 방해전파 사건 7.2. 사내 불법촬영

[clearfix]

1. 개요

삼성 계열 전산업체로, 삼성 IT서비스 물류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뒷글자만 다른 삼성SDI와 혼동하기 쉽다. 매출이나 이익면에서 한국 내 IT서비스/ 시스템 통합 업종에서 단연 최고라 할 수 있다. IT회사이지만 물류 부분 매출이 IT 부문보다 크다. 다양한 사업을 하는 IT회사인 셈.

SDS는 Samsung Data System의 준말이지만, 사측에서는 고유명사라고 홍보하고 있다. 에스코어, 미라콤아이앤씨, 멀티캠퍼스, 시큐아이, 엠로 등의 회사들을 자회사로 두고 있다.

2. 역사

1985년 '삼성데이타시스템'으로 설립되어 초기에는 삼성그룹 내 전산망 구축을 담당했다. 창립 첫 해 기술연구소를 세우고 1992년 과천정보네트웍크센타를 연 후, 1994년 삼성정보기술아카데미를 세웠다. 1996년 PC통신 ' 유니텔'을 런칭하고 이듬해 인터넷 검색엔진 '웹글라이더'를 개발하고 삼성멀티캠퍼스를 연 후, 현 사명으로 변경했다.

1990년대 중후반에는 PC통신 유니텔로 인지도를 올린 바 있고 네이버 주식회사가 본사 사내벤처로 발족했다가 독립하였으며, 2002년 NHN 주식시장 상장 이후 완전히 지분관계 및 인사관계도 끊어져 관련없는 기업이 되었다.

2000년 정보통신본부를 (주)유니텔로 분사하고 2001년 멕시코 티후아나에 e-데이터센터를 설립했다. 이후 터보리눅스와 합작해 '터보리눅스시스템즈'를 세웠다. 2010년 삼성네트웍스, 2012년 EXE c&t, 2013년 삼성SNS[3]를 각각 합병했다.

파일:LcrKnJh.jpg
2014년 한국거래소 기업공개 상장 기념식.

2014년 기업공개를 해서 주식시장 상장한 이후 2015년 삼성물산 제일모직 합병이 단행되었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와 삼성SDS, 삼성SDI 세 회사의 합병이 추진되는 것으로 보인다. 삼성SDS와 삼성SDI가 절대 작은 회사가 아니고 시가총액도 수십조원씩 하지만 삼성전자가 너무 커서 제일모직 삼성물산의 합병처럼 주주총회의 의결이 필요없이 이사회 결의만으로 합병결의는 가능하다고 한다. 기사 이건 그냥 삼성전자가 겁나게 큰 대기업이라 그렇다. 일단은 삼성그룹 측에서는 2015년 합병은 없다는 입장이지만 주식시장에서는 전혀 안 믿는다.

그러나 2015년 내 합병 가능성은 없어졌다. 삼성 SDS 또한 덩치를 부풀려서 삼성전자와 합병해야 오너 일가의 주권율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기 때문. 삼성 SDS 사측에서는 2020년까지 물류 산업과 SI 산업 등의 확장을 통해 매출을 60조 원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2016년 6월, SDS 매출의 큰 축인 물류사업 부문을 분할한다는 공시를 발표하였다. 기사 가뜩이나 공모가에서 지속적인 추락을 시도하던 주식은 더욱더 내려가게 되었고, 이로 인해 소액주주들이 반발에 나섰으나, 결과는 망했다.

2017년 전체적인 회사분위기는 합병은 이슈화가 재작년, 작년보다는 주춤한 상태였다. 주식가격은 꽤나 회복된 상태이며 공모가에 가까워졌다. 블록체인과 AI 관련해서 힘을 쏟는 상태여서 이에 대한 시장에서의 가격반영이 어느정도는 되고있는 상태라 볼 수 있다.

2022년 7월 28일, 삼성SDS 홈IoT 사업부문 직방에 매각하였다.

2022년 9월 20일, 서울고법 행정1-1부(재판장 심준보, 김종호, 이승한 부장판사)는 삼성SDS(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율촌 김동수, 신기선, 전영준, 조윤희, 홍문기, 한원교 변호사)가 잠실세무서장을 상대로 낸 법인세 부과처분 취소소송에서 원고패소 판결한 1심을 취소하고 원고승소 판결했다. 삼성SDS가 2010년 삼성네트웍스와 합병 이후 얻게 된 이익과 관련한 1000억여 원의 법인세 소송 항소심에서 승소한 것이다. (서울고등법원 2020누39275) 법률신문 기사

3. 사업부

삼성 IT서비스와 물류사업 크게 두가지 사업부로 나누어져있다. IT서비스 사업은 시스템 통합(SI), 시스템 관리(SM), 정보통신으로 나눌 수 있으며, 삼성그룹 내의 소프트웨어 물류 사업을 한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택배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정부기관
대형 택배사

[[GS Postbox|
포스트박스
]] [[편의점 택배#s-3.2|
CU포스트
]]

[[농협택배|
농협택배
]] [[홈픽|
홈픽
]]
대형화물/B2B위주
파일:건영택배_로고.png
한의사랑택배 하이택배 케이호남택배
기타
중앙지하철택배
이커머스 계열
}}}}}}}}} ||

3.1. 매각된 사업부

4. 데이터센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삼성SDS 데이터센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지배구조

2023년 4월 5일 기준 기준.
주주명 지분율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삼성전자
22.58%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삼성물산
17.08%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이재용
9.20%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이부진
1.95%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삼성생명
0.03%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국민연금
7.73%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자사주
0.04%

6. 역대 대표이사

7. 사건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7.1. 포스코DX 하이패스 방해전파 사건

관련 판례1: 1심 징역 2년
관련 판례2: 2심 징역 1년

하이패스 기술 선정 당시 경쟁사였던 포스데이타(현 포스코DX)의 입찰을 방해하기 위해 방해전파로 교란한 사례가 있다.

하이패스 시범사업의 테스트에 참여한 회사는 6개였고, 삼성은 IR방식으로 도로공사의 테스트를 먼저 통과하여 시범사업자로 단독 선정되었다. IR방식과 RF방식은 모두 인식률 99% 이상으로 우수했으며, 하이패스 속도제한 30km/h이 삼성 탓이라고 하는 낭설이 있는데 사실이 아니다. 하이패스 성능 기준은 최초 선정 당시부터 160km/h까지 실험했고, 삼성, 포스데이타 모두 100km/h까지 오류 0건이었으며 100~160km/h까지도 97~98% 정확도를 보였다. [10]
당시 실험 관련 논문 1
당시 실험 관련 논문 2

그런데 감사원에서 RF방식도 시범사업에 포함시켜 본 사업에서는 IR과 RF방식을 경쟁시키자는 권고를 내었다.
능동형 주파수 방식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국내 중소기업이 국가로부터 거액의 자금을 지원받아 개발한 주파수 통신방식인데 반하여, 적외선 방식은 외국기술을 도입한 것[11]이어서 국내에 기술표준도 되어 있지 아니하여 ETCS 시범사업에 적외선 방식만을 채택할 경우 장차 ETCS 본사업 역시 적외선 방식 업체가 독점할 우려가 있음.
- 감사원 권고사항 출처(사건 판결문)

도로공사는 감사 결과를 받아들여 RF방식의 두 사업자(포스데이타 포함)를 추가 테스트 하게 되었는데, 1590회의 실험에서 99% 이상의 인식률을 확인받아야 통과할 수 있는 조건이었다. 그런데 필드테스트 시 수 차례 통상적이지 않은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포스데이타 직원들은 뭔가 이상하다고 생각하고 주변을 살펴보다 시험 도로 옆 정상 도로에서 계속 같은 구간을 맴도는 차량을 발견하여 그 차량을 추격하여 멈춰 세웠고, 차량의 운전자는 처음에 아무 관계도 없는 사람이라고 부인했지만 결국 그 운전자의 신원은 삼성SDS 직원이란 게 밝혀졌다. 이 차량에서 방해 전파를 쏘아 실험을 방해했던 것이다.

삼성과 포스데이타 측은 결국 재판에 들어갔고, 그 차량은 삼성SDS의 직원 명의로 빌린 렌터카 차량으로 밝혀졌다. 그 직원들은 징역 2년을 선고 받았다. 관련 기사

통상적이지 않은 재현 불가능한 오류로 인하여 문제가 되었던 시험을 무효화하고 치른 재시험에서 RF방식의 두 사업자 모두 합격하였고, 입찰에서 승리한 포스데이타가 RF방식 사업자로 선정되었다.

IR방식으로 독점하려고 꼼수를 쓰던 삼성SDS는 적자를 이유로 2011년에 철수했고 타 계열사를 통해 간접 행사하던 지분도 2015년도에 청산했다.

7.2. 사내 불법촬영

서울 송파구 신천동 삼성SDS 본사 사무실 여직원 책상 밑에서 불법 촬영 중인 휴대전화가 발견돼 경찰이 출동했다. #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이 이날 가해자인 30대 남직원을 검거했으며 회사에서는 징계위원회를 열어 해당 남직원을 해임하였다. #
[1] 본사 소재지 [2] 물류 Campus [3] 구 서울통신기술. [4] 이유가 있을거라 짐작하지만, UI의 사용성을 비롯하여 접근성이 별로 좋지 못했다. 그리고 각 교육청에 설치된 서버의 시기적절한 증설이 이루어지지 않는 통에 일선 학교에서는 고생이 많았다고 한다. 참고로 SI업계에서 가장 기피하는 고객이 학계, 의료계쪽이다. 각 고객 개인의 의견이 천차만별이고 자존심이 높아 프로세스 및 UI 통일이 어렵다고 한다. 각 개인을 어르고 달래고, UI를 커스터마이즈 할 수 있게 해서 개인별 맞춤 구성을 해야 할 정도라고. [5] 최소 수년간 준비해 온 것으로 보인다. [6] 현재는 삼성전자 물류 위주이다. [7] MDM,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삼성페이, 모바일 프레임워크인 SEMP 등. [8] 인터넷 전화 서비스의 국내 상용화는 삼성 SDS - 삼성SDS에서 분사했던 삼성 네트웍스 시절에 오픈한 서비스다 - 가 최초이다. 하지만 어떤 이유였는지는 모르겠으나 LGU+에서 B2C 인터넷전화 서비스를 시작했을 때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사실상 망해버렸다.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면 알겠지만 일반 대상 신규가입을 받지 않고 있다. [9] 이지온(EZON)이라는 브랜드를 런칭하여 인터폰이나 도어락에 이지온 로고를 붙이고 판매를 한 적도 있다. 2010년대 중반 즈음에 이지온 브랜드는 사라졌다. [10] 사실 속도 제한은 하이패스차로의 폭 때문이 크다. [11] 오스트리아의 에프콘사로부터 AITS가 수입한 것이고, 삼성 SDS가 AITS와 컨소시엄을 형성하여 하이패스 현장성능시험에 참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