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7 16:17:35

사이드 슬램


파일:external/underscoopfire.com/the-rock-bottom-john-cena.jpg

1. 개요2. 변형 기술

1. 개요

상대를 옆으로 마주 본 상태에서 상대의 목과 어깨를 잡아 들어서 내려찍는 슬램류 기술. 초크슬램과 비슷해 보이지만 다른 기술이다.

기술시전이 간단하면서도 임팩트를 낼 수 있어서 많은 선수들이 사용하고 있다. 북미에서는 WWE에서 빅 보스맨이 보스맨 슬램을 사용했고 이후로는 더 락 피니시 무브인 락 바텀이 제일 유명하다.[1] 그 외에 부커 T의 북 엔드도 동형기술로 유명하다.[2] 락은 자신의 트위터에서 일본인 프로레슬러 하세 히로시[3]의 우라나게를 보고[4] 영감을 받아 락 바텀을 만들었다고 한다.[5]

2. 변형 기술

쉽고 간단하고 임팩트도 있는 기술이라 변용도 매우 많다.

파일:사이드이펙트.gif
매트 하디의 준피니쉬 중 하나인 사이드 이펙트. 일반적인 사이드 슬램과 달리 앞으로 엎드리는 것이[6] 아닌 앞으로 점프하면서 눕듯이 쓰러지며 공격하는 기술로 피니시 무브는 아니지만[7] 이 기술도 꽤 괜찮은 임팩트가 있기 때문에 인기가 높다. 단애식으로 사용하거나, 의자나 사다리 위에서 사용하는등. 다양한 위치에서 사용한다.

파일:external/www.zimage.fr/112038Full-Nelson-SLam.gif
움짤의 주인공은 3MB의 멤버였던 진더 마할. 상대를 풀넬슨으로 잡은 뒤 사용하는 사이드 슬램. 보통 풀넬슨 슬램이라 불리며, 한쪽 팔로만 풀넬슨을 걸고 사용하면 하프넬슨 슬램이 된다. WWE에서는 현재 데미안 샌도우가 피니쉬로 쓰고 있으며 전 WWE 레슬러 중에서는 패트리어트가 풀넬슨 슬램을 피니시 기술로 사용했고 하드코어 할리, 테스트가 풀넬슨 슬램을[8], 발 비너스가 하프넬슨 슬램을 준피니쉬급 기술로 사용했다.

파일:1wD8j.gif
회전하면서 사용하는 사이드 슬램. 움짤의 주인공인 어비스의 블랙홀 슬램이 대표적이다. 상대가 가벼울 경우 두 세 바퀴 씩 돌기도 한다. 어비스 이전에는 빅 보스 맨의 피니쉬인 보스 맨 슬램으로 유명했으며[9][10], WWE에서는 바티스타, 비세라가 쓰기도 했다. 웨이드 바렛 브로디 리도 각각 "윈즈 오브 체인지"와 "트럭 스탑"이란 이름으로 사용한다. 존 목슬리도 이 기술을 목시 시티라는 이름으로 인디시절 피니시로 사용했다. 현재는 시그니쳐 무브로 간간히 사용 중.[11]

파일:/pds/200811/06/51/d0031151_49123a78cfd43.gif
허리와 다리를 잡아 좀 더 높게 들어서 내려찍는 웨이스트 리프트 사이드 슬램. 하야부사의 H엣지, 위 움짤의 주인공인 리키오 타케시의 무쌍(無双)이 유명하다. 동형기를 WWE의 라스 설리반이 '프릭크 액시던트'라는 이름으로 사용 중이다.


코브라 클러치를 건 상태로 사이드 슬램으로 연결하는 테드 디비아시 주니어의 드림 스트리트.[12] 진더 마할 역시 2016년부터는 풀 넬슨 슬램 대신 이 기술을 피니쉬 무브로 쓰고 있다.[13] 그 외에 슬리퍼 홀드를 건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빌리 건의 피니쉬 무브인 원 앤 온리가 이 형태이다.

파일:external/stream1.gifsoup.com/catatonic-into-side-slam-o.gif
상대를 스쿱자세로 들어서 돌리면서 사이드 슬램으로 연결하는 크리스 해리스의 카타토닉. 움짤은 상대방이 그렇게 높지 않지만 시전하기 전 자세에서 시전자의 왼쪽 팔을 상대방의 어깨 밑으로 넣으면 회전하는 힘을 이용하여 거의 웨이스트 리프트 사이드 슬램과 가까운 높이까지 상대를 높이 들어올릴 수 있다. 우마가도 이 기술을 자주 사용했다. 현재는 루세프 빅 캐스 등이 사용한다.

상대를 백드롭처럼 들은 뒤 회전해 사이드 슬램으로 연결하는 기술을 마크 진드락은 마크 오브 엑셀런스, 로만 레인즈는 모먼트 오브 사일런스란 이름으로 사용한다. 데이브 바티스타도 한때 사용했는데 그다지 오래가진 못했다.

파일:external/stream1.gifsoup.com/standing-moonsault-side-slam-o.gif
존 모리슨의 C4. 사이드 슬램 자세에서 제자리 문설트로 연결하는 문설트 사이드 슬램. 제자리에서 쓰기보단 주로 탑로프에 올라가서 쓰는 경우가 더 많다. 시라누이 항목 참조. 존 모리슨이 쓰기 전에 해적 기믹이었던 폴 버칠이 피니쉬로 사용한 적이 있다.


파일:KDH.gif
김두훈의 피니쉬 KDH. 상대를 뒤에서 잡는다는 것이 일반 사이드 슬램과의 차이점. 변형 하프넬슨 사이드 슬램이라고 할 만하다.

파일:St죠.gif

사모아 조의 ST Joe, 자신이 코너에 몰려졌을 때 카운터로 사용한다.
STO를 응용한 기술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사이드 슬램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14]

파일:STO 슬램1.gif

빅 E도 조와 동일기술을 사용한다. 이쪽은 사모아 조 선수와 달리 메칠 때 자신도 같이 쓰러지며 메친다.

파일:더맨핸들슬램.gif
여성부에서는 사이드 슬램을 사용하는 선수가 드물었으나, 베키 린치가 복귀하고 나서 디스 암허 대신 피니쉬급으로 밀고 있는 기술이다. 이름은 더 맨-핸들 슬램.

파일:승천개.gif
고토 히로오키의 승천 개. 상대를 버티컬 수플렉스 자세로 든 후 전방으로 회전시키면서 그대로 사이드슬램으로 찍는 기술. 난폭 무사의 별명에 걸맞은 호쾌한 기술로 고토의 대표적인 피니쉬 무브지만 헤비급으로써 그리 빅맨이 아닌[15] 고토가 자신보다 키가 크거나 무거운 선수를 버티컬 수플렉스 자세로 들어올려야 하고, 특히 자신보다 키가 큰 선수가 회전 시 타이밍에 맞춰 다리를 접어줘야 한다는 어마어마한 난점과 온갖 부상이 가득한 본인의 몸상태로 인해 GTR 개발 후로부터는 큰 경기에서만 나오는 진 피니셔가 되었다가 아예 기술 자체의 위상을 내려서 이제는 큰 경기에서 나오는 시그니쳐 무브로 쓰고 있다. 동일 기술을 알렉산더 해머스톤이 피니시로 사용 중이다.
[1] 피플즈 엘보우의 셋업무브로 쓰이는 경우도 있지만 피플즈 엘보우의 셋업무브는 락 바텀보다는 스파인 버스터가 더 많이 쓰였다. [2] 원래 북 엔드는 피니시 무브였지만 WWE에서는 더 락 때문에 잘 사용되지 않았고, 중간 기술이던 시저스 킥 계열인 액스 킥이 피니시로 격상됐다. [3] 전일본 프로레슬링을 중심으로 활동한 프로레슬러로 현재는 은퇴하고 정치계에 투신하였다. [4] 하세 히로시는 자이언트 스윙, 노던 라이트 수플렉스, 그리고 이 우라나게가 특기였는데. 특히 노던 라이트 수플렉스와 우라나게는 하세 히로시가 직접 고안해낸 기술이다. [5] 이전에는 락 바텀의 원조가 익스플로이더, 혹은 유도의 우라나게가 아닌가 하는 말이 있었지만 익스플로이더는 사이드 슬램이 아닌 수플렉스에 가까운 기술이고(슬램과 수플렉스는 둘 다 상대방을 등으로 떨어뜨리는 기술이지만 슬램은 앞으로, 수플렉스는 뒤로 던지는 기술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무엇보다 락 본인이 우라나게를 보고 만들었다고 하니 사실이 아니다. 또, 하세 히로시는 이 기술을 삼보에서 영감을 얻어 만들었다고 하니 유도의 우라나게와는 겉모습도 그렇고 다른 기술이다. 사실 하세 히로시의 우라나게는 상대 목을 휘감고 뒤로 넘기는 수플렉스지만 상대가 너무 무겁거나 안전하게 시전하고 싶으면 뒤로 넘기는 척하다가 옆으로 돌려서 우리가 아는 락바텀 형태가 나온다. 유도의 우라나게는 형태는 백드롭과 비슷하게 뒤로 던지지만 실제로는 반격기에 가까운 기술이다. [6] 초창기에는 모션이 조금 달라서 점프할 때 양 팔을 그대로 감싼 채로 점프한다. 피폭자의 낙법이 어렵다는 문제 때문인지 나중에는 페디그리처럼 공중에서 한 팔을 놔준다. [7] 예외적으로 탑로프에서 사용하면 위력과 시각 효과가 크게 증가해 위클리 쇼에서 이 기술로 끝내는 경우도 더러 있다. [8] 2000년 9월 스맥다운에서 풀넬슨 슬램으로 트리플 H에게 클린 핀폴을 얻어내기도 했다. [9] 단, 초창기때는 스파인버스터랑 비슷했고, 나중엔 회전도 들어가기도 하고 이름은 같은데 기술의 변화가 많았다. [10] 사실 보스 맨 슬램과 블랙홀 슬램은 약간 차이가 있는데, 겨드랑이 양쪽에 다 팔을 끼워 넣으면 보스 맨 슬램, 한쪽은 팔째로 안고 반대쪽만 겨드랑이 사이에 팔을 끼워 넣으면 블랙홀 슬램이다. [11] 한국에서는 PWS의 오메르타 선수가 사용한다. [12] 처음에 선보였을 때는 코브라 클러치(밀리언 달러 드림)을 건 상태에서 그대로 러시안 레그 스윕으로 마무리했으나 임팩트가 부족해서 사이드 슬램으로 연결하게 변형됐다. [13] 기술명은 더 칼라스. [14] 사실 STO도 변형 사이드 슬램에 가까운 기술이다. 한마디로 사이드 슬램에 유도나 씨름의 밭다리 기술을 더하면 STO가 된다. [15] 원래 고토는 나이토처럼 주니어헤비급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