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13:09:25

사관후보생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국군의 임관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장교
<colbgcolor=#1e5099> 생도 사관학교( 육군/ 해군/ 공군/ 간호/ 육군3)
후보생 학군사관 | 학사사관 | 간부사관 | 전문사관( 의무/ 수의/ 법무/ 군종/ 과학기술)
기타 예비역의 현역 재임용 | 기본병과장교 | 특별임관 | 현지임관
폐지 갑종간부후보생 | 석사장교 | 군사학교( 군사영어/ 육군종합/ 호국군/ 육군2/ 해군2/ 공군2/ 해병)
준사관
후보생 기술·행정준사관 | 항공운항준사관 | 항공요격통제준사관 | 항공무기통제준사관
폐지 통번역준사관
부사관
민간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 민간부사관( 육군/ 특전/ 해군/ 해병/ 공군) | 학군부사관
현역 현역부사관 | 임기제부사관
기타 예비역의 현역 재임용 | 사관학교 퇴교자
폐지 을종간부후보생 | 교육대학 병역특례 | 일반하사 | 단기하사 | 금오공고 301학군단
둘러보기 : 공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 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 ||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대한민국 국군준군인
군무원 사관생도 사관후보생 준사관후보생 부사관후보생 입대장병



士官候保生. Cadet.[1]

1. 개요2. 종류3. 임관

1. 개요

사관후보생 신조
하나, 우리는 조국수호와 민족의 번영을 위하여 젊음을 바친다.
하나, 우리는 장교 후보생으로서 긍지와 자부심을 가지고 항상 솔선수범한다.
하나, 우리는 올바른 가치관 형성과 전기전술 연마를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파일:external/image.newsis.com/NISI20130923_0008705266_web.jpg
대한민국 해군 해군사관후보생.

장교를 육성하는 과정은 여럿인데, 여러 장교 육성과정 중 사관학교를 제외한 다른 과정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사람을 사관후보생이라고 한다.[2]

군인의 정의는 좁은 의미로는 현역으로 군에 복무하는 장교, 준사관, 부사관, 을 지칭하고,[3] 넓은 의미로는 병역의 종류와 무관하게 실역으로 소집되어 군에 복무하는 사람으로 정의될 수 있는데,[4] 사관후보생은 군인사법상 군인이고,[5] 병역법상 현역이나,[6] 군인은 국가공무원법상 특정직공무원으로 분류되지만 사관후보생은 현역병과 동일하게 공무원증이 발급되지 않는다. 서열은 준사관 다음이다.[7] 사관후보생은 군적에 편입된 현역인만큼 군형법 등 군법이 적용된다.

사관생도와의 관계는 대한민국 해군 기준으로 해군사관학교 생도 3학년과 동급 대우를 하도록 되어 있다. 어차피 양성과정에선 거의 마주칠 일이 없기에 가끔 보게 되면 상호존대한다.

사관후보생은 교육간에 사관후보생이라고 자신을 지칭한다. 사관후보생 OOO. 앞에 학사/ 학군 등을 붙여 본인이 어떤 사관후보생인지 구분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면 너무 길어져 주로 사관후보생이나 후보생으로 압축해 부르기도 한다. 육군 부사관후보생은 그냥 후보생 으로 지칭한다. 해군은 사후생/준후생/부후생이라 지칭하게 되어 있다.

간혹 사관후보생이란 일본식 표현 대신에 장교후보생으로 바꾸자는 의견도 있으나 사관학교도 있고 사관이란 말이 워낙에 익숙해졌고 정작 일본에선 해자대[8]를 제외하면 사관이란 말을 안 쓰기 때문에 사관이란 말은 계속 쓰일 것으로 보인다.[9][10]

2. 종류

학군사관후보생 학사사관후보생, 간부사관후보생, 전문사관 등으로 나뉜다. 사관생도들은 보통 사관후보생과는 달리 사관학교에서 수학하기 때문에 구분하여 호칭한다. 군간부후보생(예전 무관후보생)의 개념으로 볼 때엔 사관생도·사관후보생과 함께, 준사관후보생· 부사관후보생 등을 군간부후보생으로 통칭한다. 미군 같은 경우에는 생도냐 후보생이냐 나누지 않고 주로 통칭하여 Cadet으로 부르는 편이다.

한국에서 학사장교를 가리키는 표현으로 사관후보생이 많이 쓰이기도 하나 사관후보생을 가리키는 영어 표현인 OCS(Officer Candidate School)/ OTS(Officer Training School)란 표현 자체는 미국에서 간부사관과 학사장교을 통틀어 OCS/OTS[11]라고 한다.

미군 사병(병 또는 부사관)의 경우 3년 이상 복무했으면 학사 학위가 없어도 장교가 될 수 있다.[12] 미군 주방위군총감 프랭크 그래스 장군이 12년간 병/부사관 생활을 거친 뒤에 OCS로 육군대장까지 올라간 케이스와, 수병 출신으로 해군참모총장이 된 해군대장 제러미 마이클 보더 제독 등 고위직에 진출한 경우도 꽤 된다. 밴드 오브 브라더스 리처드 윈터스 육군 소령도 신병훈련 중 장교 임관 시험을 본 OCS 출신이다.

3. 임관

법무사관, 의무사관, 군종사관 특수사관을 제외하고는 소위로 임관된다. 이외에도 석사 이상의 경우 중위, 박사 이상이면 대위로 임관하기도 한다.

군종장교의 경우는 가톨릭 원불교는 사병 경력을 인정받기 때문에 대위, 나머지는 중위로 임관하는데 가톨릭과 원불교라 하더라도 병역 면제자이거나 방위산업체 현역이 아닌 과정으로 병역 문제를 해결한 경우에는 군 경력이 없기 때문에 다른 종교의 군종장교와 동일하게 중위로 임관한다. 개신교와 불교 역시 박사 학위 소지자나 임관 전 종교인으로 활동한 기간을 인정 받으면 대위로 임관한다.


[1] 사관생도 영어 표현과 같다. [2] 병역법과 군인사법에서는 사관후보생과정, 학생군사교육단 사관후보생과정 이렇게 두 가지로만 분류한다.간부사관 안습 [3] 군인의지위및복무에관한기본법 등 개별법에 따라 현역에 복무하는 장교·준사관·부사관·병만 군인으로 정의되고, 사관생도·사관후보생·준사관후보생· 부사관후보생과 소집되어 군에 복무하는 예비역·보충역은 군인에 준하는 사람으로 정의한다. [4] 국군조직법과 군인사법에서는 군인의 범위를 더 넓게 규정하고 있음. [5] 군인사법 제2조 [6] 병역법 제5조①항의1호나목 [7] 군인사법 시행령 제2조①항1호. 사관생도 및 사관후보생의 서열은 준사관 다음으로 한다. [8] 그것도 공식적으로 쓰는 건 아니고 그냥 통용한다. [9] 정작 일본에서도 장교와 사관이 혼용된다. [10] 참고로 북한 중화권에서의 사관은 부사관을 이르는 말이다. 장교는 '군관'이라고 이른다. [11] 미 공군 OTS(Officer Training School)란 표현을 쓴다. [12] 물론 한국 3사관학교 간부사관도 2년 이상의 대학 재학이면 가능하고 옛날의 갑종장교 고졸이면 됐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