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word-break: normal" {{{#555,#aaa |
<rowcolor=#cd9f51> 1901 | 1902 | 1903 | 1904 |
야코뷔스 헨리퀴스 판트호프 | 헤르만 에밀 피셔 | 스반테 아레니우스 | 윌리엄 램지 | |
<rowcolor=#cd9f51> 1905 | 1906 | 1907 | 1908 | |
아돌프 폰 바이어 | 앙리 무아상 | 에두아르트 부흐너 | 어니스트 러더퍼드 | |
<rowcolor=#cd9f51> 1909 | 1910 | 1911 | 1912 | |
빌헬름 오스트발트 | 오토 발라흐 | 마리 퀴리 | 빅토르 그리냐르 | |
<rowcolor=#cd9f51> 1912 | 1913 | 1914 | 1915 | |
폴 사바티에 | 알프레드 베르너 | 시어도어 윌리엄 리처즈 | 리하르트 빌슈테터 | |
<rowcolor=#cd9f51> 1918 | 1920 | 1921 | 1922 | |
프리츠 하버 | 발터 네른스트 | 프레더릭 소디 | 프랜시스 윌리엄 애스턴 | |
<rowcolor=#cd9f51> 1923 | 1925 | 1926 | 1927 | |
프리츠 프레글 | 리하르트 아돌프 지그몬디 | 테오도르 스베드베리 | 하인리히 오토 빌란트 | |
<rowcolor=#cd9f51> 1928 | 1929 | 1930 | ||
아돌프 오토 라인홀트 빈다우스 | 아서 하든 | 한스 폰 오일러켈핀 | 한스 피셔 | |
<rowcolor=#cd9f51> 1931 | 1932 | 1934 | ||
카를 보슈 | 프리드리히 베르기우스 | 어빙 랭뮤어 | 해럴드 클라이턴 유리 | |
<rowcolor=#cd9f51> 1935 | 1936 | 1937 | ||
장 졸리오퀴리 | 이렌 졸리오퀴리 | 피터 디바이 | 월터 호어스 | |
<rowcolor=#cd9f51> 1937 | 1938 | 1939 | ||
파울 카러 | 리하르트 쿤 | 아돌프 부테난트 | 레오폴드 루지치카 | |
<rowcolor=#cd9f51> 1943 | 1944 | 1945 | 1946 | |
조르주 드 헤베시 | 오토 한 | 아르투리 일마르 비르타넨 | 제임스 B. 섬너 | |
<rowcolor=#cd9f51> 1946 | 1947 | 1948 | ||
존 하워드 노스럽 | 웬들 매러디스 스탠리 | 로버트 로빈슨 | 아르네 티셀리우스 | |
<rowcolor=#cd9f51> 1949 | 1950 | 1951 | ||
윌리엄 지오크 | 오토 딜스 | 쿠르트 알더 | 에드윈 맥밀런 | |
<rowcolor=#cd9f51> 1951 | 1952 | 1953 | ||
글렌 시보그 | 아처 마틴 | 리처드 싱 | 헤르만 슈타우딩거 | |
<rowcolor=#cd9f51> 1954 | 1955 | 1956 | ||
라이너스 폴링 | 빈센트 뒤비뇨 | 시릴 노먼 힌셜우드 | 니콜라이 세묘노프 | |
<rowcolor=#cd9f51> 1957 | 1958 | 1959 | 1960 | |
알렉산더 R. 토드 | 프레더릭 생어 | 야로슬라프 헤이로프스키 | 윌러드 리비 | |
<rowcolor=#cd9f51> 1961 | 1962 | 1963 | ||
멜빈 캘빈 | 존 켄드루 | 막스 페루츠 | 줄리오 나타 | |
<rowcolor=#cd9f51> 1963 | 1964 | 1965 | 1966 | |
카를 치글러 | 도러시 호지킨 | 로버트 번스 우드워드 | 로버트 샌더슨 멀리컨 | |
<rowcolor=#cd9f51> 1967 | 1968 | |||
만프레트 아이겐 | 로널드 조지 레이퍼드 노리시 | 조지 포터 | 라르스 온사게르 | |
<rowcolor=#cd9f51> 1969 | 1970 | 1971 | ||
디릭 바턴 | 오드 하셀 | 루이스 페데리코 를루아르 | 게르하르트 헤르츠베르크 | |
<rowcolor=#cd9f51> 1972 | 1973 | |||
크리스천 베이커 안핀센 | 스탠퍼드 무어 | 윌리엄 하워드 스타인 | 에른스트 오토 피셔 | |
<rowcolor=#cd9f51> 1973 | 1974 | 1975 | ||
제프리 윌킨슨 | 폴 플로리 | 존 콘포스 | 블라디미르 프렐로그 | |
<rowcolor=#cd9f51> 1976 | 1977 | 1978 | 1979 | |
윌리엄 립스컴 | 일리야 프리고진 | 피터 데니스 미첼 | 허버트 찰스 브라운 | |
<rowcolor=#cd9f51> 1979 | 1980 | |||
게오르크 비티히 | 폴 버그 | 월터 길버트 | 프레더릭 생어 | |
<rowcolor=#cd9f51> 1981 | 1982 | 1983 | ||
후쿠이 겐이치 | 로알드 호프만 | 에런 클루그 | 헨리 타우버 | |
<rowcolor=#cd9f51> 1984 | 1985 | 1986 | ||
로버트 브루스 메리필드 | 허버트 애런 하우프트먼 | 제롬 칼 | 더들리 로버트 허슈바크 | |
<rowcolor=#cd9f51> 1986 | 1987 | |||
리위안저 | 존 찰스 폴라니 | 장마리 렌 | 찰스 피더슨 | |
<rowcolor=#cd9f51> 1987 | 1988 | |||
도널드 J. 크램 | 요한 다이젠호퍼 | 로베르트 후버 | 하르트무트 미헬 | |
<rowcolor=#cd9f51> 1989 | 1990 | 1991 | ||
시드니 올트먼 | 토머스 로버트 체크 | 일라이어스 제임스 코리 | 리하르트 로베르트 에른스트 | |
<rowcolor=#cd9f51> 1992 | 1993 | 1994 | ||
루돌프 마커스 | 캐리 멀리스 | 마이클 스미스 | 조지 앤드루 올라 | |
<rowcolor=#cd9f51> 1995 | 1996 | |||
파울 크뤼천 | 프랭크 셔우드 롤런드 | 마리오 호세 몰리나 | 로버트 컬 | |
<rowcolor=#cd9f51> 1996 | 1997 | |||
해럴드 크로토 | 리처드 스몰리 | 존 워커 | 폴 보이어 | |
<rowcolor=#cd9f51> 1997 | 1998 | 1999 | ||
옌스 스코우 | 월터 콘 | 존 포플 | 아메드 즈웨일 | |
<rowcolor=#cd9f51> 2000 | ||||
앨런 히거 | 앨런 맥더미드 | 시라카와 히데키 | ||
}}}}}}}}}
- [ 21세기 ]
- ##
||<-3><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01 || 2002 ||
}}}}}} ||
베냐민 리스트 Benjamin List |
|
|
|
<colbgcolor=#00001b><colcolor=#ffffff> 출생 | 1968년 1월 11일 ([age(1968-01-11)]세) |
서독 헤센 주 프랑크푸르트 | |
국적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
가족 | 배우자, 슬하 2남 |
직업 | 화학자, 교수 |
소속 |
쾰른 대학교 / 명예 교수 막스 플랑크 석탄 연구소 / 소장 홋카이도대학 / 주임연구원 • 특임교수 |
학력 |
베를린 자유대학교 (
화학 / 1993년
석사)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 화학 / 1997년 박사)[1] |
지도교수 | Johann Hermann Wolfgang Mulzer |
링크 | | | |
[clearfix]
1. 개요
베냐민 리스트는 독일의 유기화학자이다.2. 생애
1968년 1월 11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출생했다.1993년에 베를린 자유대학교 졸업 후, 1997년 프랑크푸르트 괴테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 # 미국 캘리포니아의 스크립스 연구소에서 포닥을 지낸 후, 1999년에 해당 연구소의 조교수로 임명되었다.
2003년부터는 독일의 막스 플랑크 연구소 촉배접촉분야연구소에서 그룹리더로 들어가, 2005년부터 현재까지 막스 플랑크 석탄 연구소의 소장을 맡고 있다. 또한 2004년부터 쾰른 대학교 특임명예교수로 활동도 겸임하고 있다.
2005년 및 2008년에는 각각 가쿠슈인대학 및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부에서 방문교수를 지내기도 했으며 #, 또한 2018년 독일 과학 아카데미인 레오폴디나의 회원으로 선출됐다. #
2018년부터는 일본 홋카이도대학 화학반응창성연구거점 (ICReDD) 주임연구원으로 임명되었고, 2020년부터는 특임교수도 겸임하고 있다. #
그러던 중 2021년, 프롤린 촉매를 이용한 비대칭 알돌 반응을 개발한 공적으로 데이비드 W.C. 맥밀런과 함께 노벨화학상을 수상하게 된다. #
3. 업적
공적 상세 내용은 기사 참조.프롤린 촉매를 이용한 아세트알데히드의 비대칭 알돌 반응을 개발한 공적으로, 데이비드 W.C. 맥밀런과 함께 2021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 이 화학반응은 당뇨병 치료제로 유명한 ‘시타글립틴’을 비롯해 향수 원료 물질 등 광범위하게 쓰이는 화학물질을 금속 화합물 촉매나 반응물 없이도 만들어내는 데에 쓰인다.
|
프롤린 촉매의 비대칭 알돌반응의 에나민(enamine) 반응 메커니즘 |
4. 기타
- 2021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두명의 수상자의 경우, 최근 노벨상 과학 부문의 수상자 연령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평균 연령보다도 젊다.[2]
- Google Scholar의 h 인덱스는 95 정도이다.
- 1995년 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자인 크리스티아네 뉘슬라인폴하르트[3]의 조카[4]라고 한다. 영문 위키피디아 참조.
- 그가 수상 당시 재직 중이던 세 기관 ( 막스 플랑크 석탄 연구소, 쾰른 대학교, 홋카이도대학)에서도 축하의 메시지가 올라왔다.
- 노벨화학상 수상 당시 아내와 카페에 있던 리스트 교수는 수상 소식을 접하고는 기쁨에 차서 거리로 뛰쳐나왔다. 이후 그는 맥밀런 교수에게도 소식을 알렸으나, 잠결에 연락을 받은 맥밀런 교수는 이를 믿지 않았다. 프린스턴대 발표에 따르면 맥밀런 교수는 이날 잠자리에 들었다가 노벨위원회 전화를 놓쳤으며, 리스트 교수가 보낸 문자를 받고도 오히려 '또 장난치려고 하는구나'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그래서 맥밀런 교수는 만약 수상이 사실이면 1천달러(약 118만원)을 리스트 교수에게 주겠다는 내기를 걸기까지 했다. 그러고는 다시 잠자리에 들었는데, 실제로 축하 전화와 문자가 쏟아지자 그제야 진짜 자신이 수상자로 선정됐음을 알게 됐다.
- 베냐민 리스트는 일본의 축구선수인 카마다 다이치에게 "카마다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빠르고 축구 센스가 좋다. 공도 잘 다룬다"고 칭찬하며, 프랑크푸르트와 재계약할 경우 노벨상 메달을 준다고 밝혔지만 결국 메달을 주지 못하게 됐다... 기사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