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word-break: normal" {{{#555,#aaa |
<rowcolor=#cd9f51> 1901 | 1902 | 1903 | 1904 |
야코뷔스 헨리퀴스 판트호프 | 헤르만 에밀 피셔 | 스반테 아레니우스 | 윌리엄 램지 | |
<rowcolor=#cd9f51> 1905 | 1906 | 1907 | 1908 | |
아돌프 폰 바이어 | 앙리 무아상 | 에두아르트 부흐너 | 어니스트 러더퍼드 | |
<rowcolor=#cd9f51> 1909 | 1910 | 1911 | 1912 | |
빌헬름 오스트발트 | 오토 발라흐 | 마리 퀴리 | 빅토르 그리냐르 | |
<rowcolor=#cd9f51> 1912 | 1913 | 1914 | 1915 | |
폴 사바티에 | 알프레드 베르너 | 시어도어 윌리엄 리처즈 | 리하르트 빌슈테터 | |
<rowcolor=#cd9f51> 1918 | 1920 | 1921 | 1922 | |
프리츠 하버 | 발터 네른스트 | 프레더릭 소디 | 프랜시스 윌리엄 애스턴 | |
<rowcolor=#cd9f51> 1923 | 1925 | 1926 | 1927 | |
프리츠 프레글 | 리하르트 아돌프 지그몬디 | 테오도르 스베드베리 | 하인리히 오토 빌란트 | |
<rowcolor=#cd9f51> 1928 | 1929 | 1930 | ||
아돌프 오토 라인홀트 빈다우스 | 아서 하든 | 한스 폰 오일러켈핀 | 한스 피셔 | |
<rowcolor=#cd9f51> 1931 | 1932 | 1934 | ||
카를 보슈 | 프리드리히 베르기우스 | 어빙 랭뮤어 | 해럴드 클라이턴 유리 | |
<rowcolor=#cd9f51> 1935 | 1936 | 1937 | ||
장 졸리오퀴리 | 이렌 졸리오퀴리 | 피터 디바이 | 월터 호어스 | |
<rowcolor=#cd9f51> 1937 | 1938 | 1939 | ||
파울 카러 | 리하르트 쿤 | 아돌프 부테난트 | 레오폴드 루지치카 | |
<rowcolor=#cd9f51> 1943 | 1944 | 1945 | 1946 | |
조르주 드 헤베시 | 오토 한 | 아르투리 일마르 비르타넨 | 제임스 B. 섬너 | |
<rowcolor=#cd9f51> 1946 | 1947 | 1948 | ||
존 하워드 노스럽 | 웬들 매러디스 스탠리 | 로버트 로빈슨 | 아르네 티셀리우스 | |
<rowcolor=#cd9f51> 1949 | 1950 | 1951 | ||
윌리엄 지오크 | 오토 딜스 | 쿠르트 알더 | 에드윈 맥밀런 | |
<rowcolor=#cd9f51> 1951 | 1952 | 1953 | ||
글렌 시보그 | 아처 마틴 | 리처드 싱 | 헤르만 슈타우딩거 | |
<rowcolor=#cd9f51> 1954 | 1955 | 1956 | ||
라이너스 폴링 | 빈센트 뒤비뇨 | 시릴 노먼 힌셜우드 | 니콜라이 세묘노프 | |
<rowcolor=#cd9f51> 1957 | 1958 | 1959 | 1960 | |
알렉산더 R. 토드 | 프레더릭 생어 | 야로슬라프 헤이로프스키 | 윌러드 리비 | |
<rowcolor=#cd9f51> 1961 | 1962 | 1963 | ||
멜빈 캘빈 | 존 켄드루 | 막스 페루츠 | 줄리오 나타 | |
<rowcolor=#cd9f51> 1963 | 1964 | 1965 | 1966 | |
카를 치글러 | 도러시 호지킨 | 로버트 번스 우드워드 | 로버트 샌더슨 멀리컨 | |
<rowcolor=#cd9f51> 1967 | 1968 | |||
만프레트 아이겐 | 로널드 조지 레이퍼드 노리시 | 조지 포터 | 라르스 온사게르 | |
<rowcolor=#cd9f51> 1969 | 1970 | 1971 | ||
디릭 바턴 | 오드 하셀 | 루이스 페데리코 를루아르 | 게르하르트 헤르츠베르크 | |
<rowcolor=#cd9f51> 1972 | 1973 | |||
크리스천 베이커 안핀센 | 스탠퍼드 무어 | 윌리엄 하워드 스타인 | 에른스트 오토 피셔 | |
<rowcolor=#cd9f51> 1973 | 1974 | 1975 | ||
제프리 윌킨슨 | 폴 플로리 | 존 콘포스 | 블라디미르 프렐로그 | |
<rowcolor=#cd9f51> 1976 | 1977 | 1978 | 1979 | |
윌리엄 립스컴 | 일리야 프리고진 | 피터 데니스 미첼 | 허버트 찰스 브라운 | |
<rowcolor=#cd9f51> 1979 | 1980 | |||
게오르크 비티히 | 폴 버그 | 월터 길버트 | 프레더릭 생어 | |
<rowcolor=#cd9f51> 1981 | 1982 | 1983 | ||
후쿠이 겐이치 | 로알드 호프만 | 에런 클루그 | 헨리 타우버 | |
<rowcolor=#cd9f51> 1984 | 1985 | 1986 | ||
로버트 브루스 메리필드 | 허버트 애런 하우프트먼 | 제롬 칼 | 더들리 로버트 허슈바크 | |
<rowcolor=#cd9f51> 1986 | 1987 | |||
리위안저 | 존 찰스 폴라니 | 장마리 렌 | 찰스 피더슨 | |
<rowcolor=#cd9f51> 1987 | 1988 | |||
도널드 J. 크램 | 요한 다이젠호퍼 | 로베르트 후버 | 하르트무트 미헬 | |
<rowcolor=#cd9f51> 1989 | 1990 | 1991 | ||
시드니 올트먼 | 토머스 로버트 체크 | 일라이어스 제임스 코리 | 리하르트 로베르트 에른스트 | |
<rowcolor=#cd9f51> 1992 | 1993 | 1994 | ||
루돌프 마커스 | 캐리 멀리스 | 마이클 스미스 | 조지 앤드루 올라 | |
<rowcolor=#cd9f51> 1995 | 1996 | |||
파울 크뤼천 | 프랭크 셔우드 롤런드 | 마리오 호세 몰리나 | 로버트 컬 | |
<rowcolor=#cd9f51> 1996 | 1997 | |||
해럴드 크로토 | 리처드 스몰리 | 존 워커 | 폴 보이어 | |
<rowcolor=#cd9f51> 1997 | 1998 | 1999 | ||
옌스 스코우 | 월터 콘 | 존 포플 | 아메드 즈웨일 | |
<rowcolor=#cd9f51> 2000 | ||||
앨런 히거 | 앨런 맥더미드 | 시라카와 히데키 | ||
}}}}}}}}}
- [ 21세기 ]
- ##
||<-3><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01 || 2002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오토 한 Otto Hahn |
|
|
|
출생 | 1879년 3월 8일 |
독일 제국 프랑크푸르트 | |
사망 | 1968년 7월 28일 (향년 89세) |
서독 괴팅겐 | |
국적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
직업 | 화학자 |
학력 | 마르부르크 대학교 |
소속 |
카이저 빌헬름 연구소 베를린 대학교 |
수상 | 노벨화학상 (1944) |
가족 |
배우자 (1913년 결혼) 자녀 1명 |
서명 |
[clearfix]
1. 개요
독일의 화학자. 방사성 붕괴와 방사 화학의 선구자이며 핵화학의 아버지로 불린다.2. 생애와 업적
1938년 프리츠 슈트라스만, 리제 마이트너과 함께 원자핵에 중성자를 충돌시키면 원자핵이 분열하는 핵분열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이후 나치 독일에서 핵분열에서 엄청난 에너지가 방출됨을 깨달았는데 이를 활용한 핵무기를 개발하는 우란프로옉트에 참여했다. 다만 강제로 연구에 참가했기 때문에 나치 독일에 적극적으로 협력하지는 않았다고 한다.1944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 프리슈는 늦게 참여했다고 쳐도 마이트너와 슈트라스만까지 제외된 것은 논란이 되었으며 오토 한은 단독으로 노벨상을 받은 후부터 마이트너와 슈트라스만의 공로를 축소하거나 부정하는 발언들을 했는데 특히 마이트너가 독일을 떠난 뒤에 핵분열을 발견하게 된 것을 두고 "마이트너가 떠나고 나서야 연구에 속도가 붙었다. 그녀는 방해가 됐다"는 발언까지 하면서 그녀에게 적지 않은 상처를 줬다. 한때 같은 동료로서 서로를 애칭으로 불렀고 그녀의 망명 당시 뇌물로 쓰라고 본인이 유품까지 건내준 사이였음에도 그랬다. 그녀는 친구에게 "내가 오토에게 지워져야 하는 과거가 된 것이 너무나 슬프다"고 이야기하기도 했다.
참고로 당시 나치 독일은 1935년부터 카를 폰 오시에츠키를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지명한 것을 항의하여 모든 독일인의 노벨상 수상을 금지했기 때문에 노벨위원회가 수상을 선정하고도 못 받은 사람이 그때까지 3명이나 되었다. 그런데도 노벨위윈회가 꿋꿋이 오토 한을 선정하자 스웨덴 한림원은 난감해하면서 공식 발표를 1년 뒤로 미루었다. 1년이 지나고 나치가 패망하자 잠시 재선정하자는 여론도 있었지만 결국 "2차대전은 끝났고 이제 독일인도 얼마든지 노벨상을 받을 수 있다!"를 상징하는 차원에서 한에게 수여가 결정되었다. 정작 당시 한은 종전 후 다른 과학자들과 함께 연합군에 감금된 상태여서 노벨위원회의 연락을 못 받았고 데일리 텔레그래프를 통해서야 소식을 접했다. 결국 1946년 12월에 비로소 출국해서 제대로 상을 받았는데 상금은 쓰지 않았다고 한다.
3. 기타
1960년대에 서독이 민간 해상 선박의 원자력 추진을 연구하기 위해 제작, 운영한 실험용 원자력 선박에 그의 이름이 붙은 바 있다.[1] 독일 재통일 후인 2009년에 해체되었다. #
[1]
일본에서 비슷한 용도로 제작한 원자력선으로 '무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