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42:51

벌목 생물 목록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상위 계통에 대한 내용은 곤충강 생물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벌목에 대한 내용은 벌(곤충)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개미과에 대한 내용은 개미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표기는 계통군이 멸종했음을 의미한다.
● 표기는 해당 계통군에 대한 생물 목록 문서가 있음을 의미한다.

1. 넓적허리벌아목(잎벌아목. Symphyta)
1.1. 칼잎벌상과(Xyeloidea)
1.1.1. 납작잎벌상과(Megalodontoidea)
1.2. 벌레살이송곳벌상과1.3. 송곳벌상과(Siricoidea)1.4. 잎벌상과(Tenthredionidea)
1.4.1. 나무벌상과(Cephoidea)
2. 호리허리벌아목(벌아목. Apocrita)
2.1. 벌하목
2.1.1. 꿀벌상과(Apoidea)2.1.2. 청벌상과(Chrysidoidea)2.1.3. 말벌상과(Vespoidea)2.1.4. 개미상과(Formicoidea)
2.2. 좀벌하목
2.2.1. 메갈리루스상과 (Megalyroidea)2.2.2. 갈고리벌상과(Trigonaloidea)2.2.3. 먹좀벌상과(Proctotrupoidea; Serphoidea)2.2.4. 좀벌상과(Chalcidoidea)2.2.5. 혹벌상과(Cynipoidea)2.2.6. 호리벌상과(Evanioidea)2.2.7. 맵시벌상과(Ichneumonoidea)2.2.8. 납작먹좀벌상과(Platygastroidea)

1. 넓적허리벌아목(잎벌아목. Symphyta)

성충의 배마디는 가슴과 넓게 접해 있고, 제1배마디의 제2배마디 사이가 수축되어 있지 않다. 도래마디는 2마디이고 보통은 뒷날개에 적어도 3개의 기실(basal cell)이 있다. 잎벌아목은 거의 모두 식물성 먹이를 먹는다.

1.1. 칼잎벌상과(Xyeloidea)

1.1.1. 납작잎벌상과(Megalodontoidea)

1.2. 벌레살이송곳벌상과

1.3. 송곳벌상과(Siricoidea)

1.4. 잎벌상과(Tenthredionidea)

1.4.1. 나무벌상과(Cephoidea)

2. 호리허리벌아목(벌아목. Apocrita)

성충의 첫 번째 배마디가 가슴과 길게 합쳐져 전신복절을 이룬다. 그리고 첫 번째와 두 번째 배마디는 잘록하여 자루마디를 형성한다. 유충은 다리가 없다.(apodous)[2] 뒷날개에는 2개 이상의 기실이 없다. 유충은 대개 내․외 기생성이거나 성충에 의해 사육되거나, 충영을 형성한다.

2.1. 벌하목

2.1.1. 꿀벌상과(Apoidea)[3]

2.1.2. 청벌상과(Chrysidoidea)

2.1.3. 말벌상과(Vespoidea)

자세한 분류는 말벌 항목 참조.

2.1.4. 개미상과(Formicoidea)

자세한 분류는 개미과 생물 목록 항목 참조.

2.2. 좀벌하목

기생계의 본좌. 파브르 곤충기를 읽어보면 배추흰나비의 알을 해치우는 수중다리좀벌의 일종인 알벌이 등장한다. 완두콩 속에서 번데기가 된 바구미에 알을 낳는 종류도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방제로 쓰이기도 한다.[10]

2.2.1. 메갈리루스상과 (Megalyroidea)

2.2.2. 갈고리벌상과(Trigonaloidea)

2.2.3. 먹좀벌상과(Proctotrupoidea; Serphoidea)

2.2.4. 좀벌상과(Chalcidoidea)

2.2.5. 혹벌상과(Cynipoidea)

2.2.6. 호리벌상과(Evanioidea)

2.2.7. 맵시벌상과(Ichneumonoidea)[11]

2.2.8. 납작먹좀벌상과(Platygastroidea)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8 ( 이전 역사)
문서의 r929 ( 이전 역사)

[1] 성충과 애벌레 모두 나뭇잎을 먹고 산다. 벌목 곤충 중 대표적인 해충. [2] 벌아목의 학명 유래 [3] 는쟁이벌과, 은주둥이벌과 등은 구멍벌과로 포함시켜 분류하기도 한다. [4] 구멍벌과에 포함될 수도 안될 수도 [5] 파브르 곤충기에 나오는 유명한 기생말벌이다. 바구미 비단벌레처럼 신경절들이 가깝게 붙어있는 갑충들을 마취시켜 애벌레의 먹이로 준다. [6] 흙으로 이루어진 벽이나 건물의 벽에 있는 구멍을 찾아서 집을 짓는다. 나뭇잎을 오려내 집의 입구를 막는다. 이러한 행동 때문에 붙은 이름이 가위벌. 과수원에서 사과 수분에 사용한다. [7] 풍뎅이의 유충을 마취시켜 알을 낳는다. 암컷은 결혼비행 이후에는 땅을 파고 돌아다니며 먹이를 찾는다. [8] 암컷은 날개가 없으며 수컷이 암컷을 찾아 날아와 교미한다. 날개가 없어서 커다란 개미처럼 보이기에 붙은 이름. 교미 이후에 암컷은 다른 종류의 벌집을 찾아 벌집 속의 애벌레나 번데기 옆에 알을 하나씩 낳는다. 알에서 깨어난 유충은 숙주가 되는 벌의 애벌레나 번데기를 잡아먹고 자라 우화한다. 영어로는 'velvet ant'라고 한다. [9] 땡벌이라고도 한다 유명한 곡인 땡벌도 이 뜻이라고 알려져 있다. [10] 물론 애벌레들이 당하고만 있는것도 아닌데 종에 따라서 캡슐화라는 면역반응에 의해 기생벌이 알에서 부화를 못하는 경우도 있다. 몸안의 면역 단백질로 기생곤충의 알을 싸는거라고한다. [11] 다른 곤충의 애벌레에 기생하는 녀석들이 많다. [12] 하늘소 사슴벌레 등 나무 속에 사는 애벌레에 기생한다. [13] 주로 나비나 나방의 애벌레에 기생한다. 대표적으로 배추벌레에 기생하는 배추벌레고치벌이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