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25:26

파키스탄-방글라데시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다자관계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인도·파키스탄·방글라데시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인도·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중국·인도·파키스탄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이란·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유럽 · 오세아니아 · 아메리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다자관계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인도·파키스탄·방글라데시
}}}}}}}}}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동파키스탄 시기2.2. 방글라데시 독립 이후
3. 교통 교류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방글라데시 파키스탄의 관계. 방글라데시와 파키스탄은 1947년에서 1971년까지 한 나라였다.

양국은 역사 및 문화적으로 갈등을 빚고있으나, 최근들어 이스라엘에 대한 반감 및 팔레스타인 지지서명 등으로 나름 협력하곤 한다.

2. 역사적 관계

2.1. 동파키스탄 시기

파키스탄 건국 당시 파키스탄의 주도세력이었던 펀자브인, 신드인 등은 민족적으로 동파키스탄과 인도 서벵골 주의 벵골인보다 오히려 북부 인도인과 더 가깝다. 벵골인과 펀자브인을 외모로 구별하는게 인도인과 파키스탄인을 구별하는 것보다는 훨씬 쉽다. 파키스탄의 국부 무함마드 알리 진나는 세속주의 성향이 강해서인지 “파키스탄은 아리아인의 국가”라는 이데올로기를 천명했는데, 이는 서파키스탄 관료들에 의해 피부색이 더 짙은 동파키스탄 주민[1]을 2등 시민 취급해도 된다는 발언으로 해석되었다.

문화는 말할 것도 없고 언어도 완전 달랐다. 우르두어 힌디어와 흡사하데, 벵골어와는 매우 다르다. 파키스탄 최대 언어인 펀자브어도 벵골어와 크게 다르기는 마찬가지. 사실상 서파키스탄과 인도 내 힌디어 지역은 종교 빼면 서로 구분될 만한 점이 많지 않다. 그런데 파키스탄의 성립에는 인도 제국 서북부 출신의 무슬림들이 큰 역할을 했기 때문에 파키스탄의 정치적 헤게모니는 옛 인도 제국 서북부 출신들이 쥐게 되었고, 당연히 동벵골 사람들의 불만이 커졌다.

파키스탄 독립 운동에 기원이 되는 사람들은 대부분 우르두어 교육 및 진흥 운동에 연관된 사람들이었다. 사이드 아흐마드 칸 무함마드 이크발 등등이 대표적이다. 1930년 인도 이슬람계에 대표적인 법 철학자이자 문학가였던 무함마드 이크발은 무슬림 엘리트들의 이권을 수호하기 위해 서북부 무슬림 밀집 지역( 펀자브, 신드, 발루치스탄, 카이베르파크툰크와)이 따로 독립하여 안정적인 무슬림 국가를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여기서 벵골 지역은 빠져 있었다. 즉 파키스탄 독립 운동을 주도하는 엘리트들 입장에서 방글라데시는 주요 관심 대상 밖이었다.

파키스탄 정부에서는 방글라데시에서 많이 쓰는 벵골어 대신 우르두어를 쓰라고 했으나, 이에 다카 대학교 학생들이 반발 시위를 벌였다.[2] 서파키스탄의 경우 주요 민족별 언어만 해도 4가지가 되었고 다른 언어들도 각 지역별로 여러개가 쓰였기 때문에[3] 우르두어를 공용어이자 국어로 해야 한다는 방침에 사람들이 수긍했으나, 동파키스탄의 경우에는 인도에서 피난온 무슬림과 줌머인들을 빼면 거의 대부분이 벵골어를 썼던지라 동파키스탄에서 우르두어를 국어로 정한다는 것에, 일부러 벵골어 대신 우르두어를 사용하라는 방침에 반발하였다. 결국 파키스탄 정부가 벵골 민족주의자들과 세속주의자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동파키스탄의 공용어를 벵골어로 지정했지만, 시위를 군인들이 폭력으로 누른 것이 방글라데시인들에게 자극이 되었고, 벵골인들은 아와미 연맹을 결성했다.

하지만 동파키스탄의 공용어가 벵골어로 지정된 이후에도 양측의 갈등은 깊어져만 갔는데, 서파키스탄은 정치, 경제 등 파키스탄의 모든 주도권을 모두 독점했고, 동파키스탄은 철저히 소외당했다. 이 과정에서 , 소고기, 생선 등 식량자원들까지 수탈하는 등 경제적 식민지로 차별하기까지 했으며, 심지어 동파키스탄 사람들이 먹어야 할 식량까지도 수탈할 정도로 악랄했다. 동파키스탄은 서파키스탄 본국과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었고 상술했다시피 같은 수니파 무슬림이라지만 언어와 문화 차이도 컸고 인종적으로도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파키스탄의 아리아인들은 여러 민족으로 나뉘어져 있던 이유로 우르두어를 국어로 사용하는 정책에 순응하는 편이었으며 대체적으로 피부색이 흰 반면에 동파키스탄인들은 사실상 벵골어를 사용하는 벵골인 단일 민족으로 이루어졌으며(다시 말해서 굳이 우르두어를 공용어로 사용해야 할 이유가 없었으며) 피부색이 상당히 검은 편이다. 그러다보니 동파키스탄은 서파키스탄에게 인종차별까지 당하고 살았으며, 당연히 동파키스탄인들의 분노는 극에 달했다. 결국 동파키스탄의 분노는 1970년 방글라데시에서만 50만 명에 달하는 인명피해를 낸 사이클론에 서파키스탄 정부가 미적지근하게 대응한 일과 아와미 연맹이 압승한 1970년 총선 결과[4]를 서파키스탄 정부에서 인정하지 않은 것을 계기로 폭발해 독립전쟁을 일으켰고, 결국 서파키스탄으로부터 1971년에 독립했다. 하지만 서파키스탄에서는 이마저도 인정하지 않았고 방글라데시의 독립선언 후 군대를 동원해 이를 무력으로 진압하였다. 이 과정에서 동파키스탄 사회의 기득권을 차지했던 자마아티 이슬라미 라자카르 민병대들의 주도로 최소 30만, 추산에 따라 최대 300만 명에 달하는 방글라데시 민간인들이 학살당하고 20~40만여 명이 강간당했다. #[5] 이를 피해 600만 명이 넘는 방글라데시인들이 인도로 피난가는 사태까지 벌어지다 결국 인도의 개입으로 독립했다.

2.2. 방글라데시 독립 이후

위의 갈등은 현재진행형이라 2013년 12월에는 방글라데시에서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당시 자마아티 이슬라미 민병대를 이끌고 수백 명의 민간인을 학살하고 수여 명을 강간한 혐의로 기소된 압둘 카디르 몰라에게 사형을 선고하자 카타르(...)와 파키스탄이 이를 비난하는 결의안을 의회에서 채택하였고, 이에 분노한 방글라데시 시민들이 다카에 있는 파키스탄 대사관을 포위한 일까지 있었으며, 2017년에는 3월 25일을 파키스탄군에 의해 시민들이 학살당한 것을 기억하기 위해 기념일로 지정했다. # 실제로 이러한 역사적인 악감정 때문인지 방글라데시는 인도와 파키스탄 간 카슈미르 영토분쟁에서 아예 인도가 점령하고 있는 잠무카슈미르를 비롯해 파키스탄이 지배하고 있는 길기트발티스탄 아자드 카슈미르 등 카슈미르 북서부 지역까지 모조리 인도 땅으로 인정, 자국에서 발간하는 세계지도에 인도령으로 표기하며 인도를 편 들고 있다.[6] 심지어 방글라데시인들은 외국에 나가서도 인도인들과 대화할 때는 힌디어[7]로 대화해도 파키스탄인들과 대화할 때는 일부러 영어로 대화하려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방글라데시 내 주요 이슬람주의 정당 중 하나로 인도/파키스탄의 극우 이슬람주의 정당 자마아티 이슬라미 파키스탄과 같은 뿌리를 가진 자마아티 이슬라미 방글라데시가 존재한다. 자마아티 이슬라미 방글라데시는 방글라데시의 국어를 다시 우르두어로 정해야 한다는 정책을 주장하는데, 이는 이들이 파키스탄의 유명 이슬람주의 신학자 아불 알라 마우두디의 이슬람주의를 추종하기 때문이다. 아불 알라 마우두디는 파키스탄과 방글라데시에서 샤리아 내 고리대금업을 합법화시킨 주범인데, 덕분에(...) 방글라데시에서 고리대금업의 폐단이 너무 심각하여 사회 문제가 된 적이 있었다.

방글라데시 내 고리대금업과 빈부격차 문제를 줄이기 위해 무함마드 유누스의 그라민 은행이 출범하여 서민들에게 저리 대출을 실시하였으나, 자마아티 이슬라미 측은 무함마드 유누스가 샤리아에 승인을 받지 않은 세속주의 은행을 운영하여 샤리아에 어긋난다며 고소하는 등 추태를 부렸다. 물론 이런 행태 덕분에 방글라데시인들의 어그로를 제대로 끌어서 현재 방글라데시 의회에 의석은 1석도 없는 원외정당이다.

시간이 지나고 오히려 양국은 팔레스타인을 지지하고, 이스라엘에 반감을 가진 탓에 이런 부분에선 협력적이다.

3. 교통 교류

파키스탄 카라치 국제공항과 방글라데시 다카의 샤잘랄 국제공항은 운항노선이 이어져 있다.

4. 관련 문서



[1] 물론 벵골인들도 인도아리아어군 민족이지만... [2] 이 시위는 1952년 2월 21일에 일어났는데, 이날은 현재 방글라데시의 주요 국가 기념일 중 하나이자 유네스코에서 세계 모어의 날로 기념하는 날이다. [3] 펀자브어, 신드어, 발루치어, 파슈툰어 외에도 사라이키어, 와키어, 부루샤스키어, 발티어 등등 엄청 많다. [4] 당시 동파키스탄의 인구가 서파키스탄보다 더 많아서 전체 의석 300석 중 162석이 동파키스탄 지역에, 138석이 서파키스탄 지역에 배정되어 있었는데, 아와미 연맹이 동파키스탄의 의석 162석 중 160석을 차지하면서 단독으로 과반을 달성하는 쾌거를 이뤘다. [5] 서파키스탄군이 학살과 강간을 주도했다고 잘못 알려지기도 했는데,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 당시 학살과 강간을 주도했던 세력은 한국으로 치면 조선에 거주하는 일본인과 친일파에 해당하던 세력이었다. 자신들이 하루아침에 기득권에서 난민이 될까봐 무차별 학살을 벌인 것. 다만, 이와 별개로 라자카르 민병대 등의 창설을 주도한 것은 당연히 서파키스탄군이었기에 서파키스탄군이 방글라데시에서 벌어진 학살과 강간 등에 대한 책임이 없다고 볼 수는 없다. 또한 서파키스탄군에 의해 직접 자행된 학살과 강간 역시 적지 않으며, 심지어 수많은 방글라데시 여성들이 서파키스탄군의 성노예가 되기도 했다. [6] 단 중국이 점거하고 있는 악사이친 지역에 대해서는 중국도 인도도 편 들지 않고 중립으로 일관한다. 사실 중국이 점거하고 있는 지역을 중립으로 표기했다는 거부터가 인도를 편드는거나 다름없는 거지만... [7] 파키스탄의 우르두어와 입말로 80% 정도 호환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