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6 13:30:01

부루샤스키어

고립어
{{{#fff 'Language isolate'}}}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가나다순 정렬 / 원어민이 약 50만 명 이상 있는 언어는 굵게 표시. / 사어는 † 표시.
<colbgcolor=#eee,#000> ㄴ 니브흐어
마푸체어
바스크어 · 부루샤스키어
수메르어
아이누어 · 야간어† · 에트루리아어† · 엘람어† · 이베리아어
한국어
관련 문서: 비교언어학 · 어족 }}}}}}}}}
부루샤스키어
بروشسکی[1]
Burushaski
<colcolor=#000,#eee><colbgcolor=#8ef6f6,#000> 문자 아랍 문자, 로마자
주요 사용 지역
[[인도|]][[틀:국기|]][[틀:국기|]]
파일:잠무 카슈미르.png 잠무 카슈미르 연방 직할지

[[파키스탄|]][[틀:국기|]][[틀:국기|]]
파일:길기트 발티스탄 주기.png 길기트 발티스탄 주
원어민 약 11만 2천 명[2]
계통 고립어
언어
코드
<colcolor=#000,#eee><colbgcolor=#8ef6f6,#000> ISO 639-3 bsk

1. 개요2. 분류3. 하위 방언

[clearfix]

1. 개요

부루샤스키어는 카슈미르의 산악지대에 거주하는 민족인 부루쇼인[3]이 사용하는 언어다. 주변 지역의 영향으로 인해 우르두어 발티어[4], 하자라어 등에서 많은 차용어를 받아들였다. 통상적으로 부루샤스키어를 표기하는데 쓰이는 문자는 아랍 문자인데, 언어학자들은 논문이나 기타 학술 자료에서 로마자를 이용해 표기한다. 딱히 규범화된 문어는 없으나, 가까운 티베트 측에서 부루샤스키어에 대해 언급한 사료에 의하면, 이 언어를 사용하는 이들인 부루쇼인들이 이슬람교를 받아들이기 전만 해도 티베트 문자를 이용해서 표기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언어학자들은 부루샤스키어에 정형화된 문어가 존재하던 시기가 있었다고 추정하지만, 이를 입증할 물증이 부족하다.

2. 분류

주류 언어학계는 부루샤스키어를 고립어로 분류한다. 하지만, 이 언어의 독특한 특성 때문에 다른 언어들과의 비교 분석이 꾸준히 제기되어왔고, 이에 따라 여러 언어군과의 친연 관계가 제안되어왔다.

우선 가장 많이 거론되는 가설은 예니세이어족과 동계라는 설이다. 이에 대해, 예니세이어족이 북아메리카에서 쓰이는 언어군인 나데네어족[5]과 동계라는 가설인 데네예니세이어족이 제안되면서, 여기에 부루샤스키어와 카르트벨리어족, 북캅카스어족을 끼워넣어서 확장한 가설인 데네캅카스어족이 제안되었으나, 주류 언어학계는 전자는 몰라도 후자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이 가설에서 나데네어족을 배제하고, 예니세이어족과 부루샤스키어로만 구성된 가설 상의 어족인 카라수크어족이 제안된 바 있다.

혹여는 인도유럽조어 사과를 *h₂ébōl[6]이라고 하는데, 부루샤스키어에서 사과나 사과나무를 báalt라고 한다는 점에서, 인도유럽어족에 속해있을 가능성이 제안되기도 했고, 북캅카스어족과 동계라는 설이 제안되기도 했다[7].

3. 하위 방언

부루샤스키어는 훈자 방언과 나가르 방언, 야신 방언의 3개의 방언으로 구분된다. 각각의 방언 화자들 간에 상호 이해도는 다소 낮은 편이나, 서로 간의 의사소통에는 문제가 없는 수준이다. 이 중에서 야신 방언이 외부 언어로부터의 영향이 가장 적으며, 화자 수는 훈자 방언이 가장 많다.


[1] burū́šaskī [bʊˈruːɕʌskiː\] [2] 2016년 조사 [3] 세계적인 장수마을로 유명한 장수마을인 훈자의 주민들이 바로 이들이다. [4] 중국티베트어족 티베트버마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16세기 경에 카슈미르로 이주한 티베트 무슬림들인 발티인이 사용하는 언어다. [5] 달리, 애서배스카-에야크-틀링깃어족이라고도 하는데, 나바호어가 바로 이 어족에 속한다. [6] 독일어 Apfel, 영어 apple(애플)의 어원이다. [7] 이들과 비교언어학적인 연관성은 없을지언정, 최소한 어휘 교류는 있었다는 설도 꽤 유력하다. 가령, 선술한 *h₂ébōl을 부루샤스키어 báalt를 인도유럽조어쪽에서 차용한 어휘로 보는 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