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3 14:32:04

미카도

1. 호칭2. 지명3. 인명
3.1. 해당 인물
3.1.1. 인명3.1.2. 성씨
4. 오페라 미카도5. 보드 게임6. 일본 과자 포키의 유럽판 이름7. 증기 기관차의 형식 분류8. 란스 시리즈의 직책9. 일본 도쿄의 고전게임 전문 오락실 게센 미카도

1. 호칭

미카도([ruby(帝, ruby=みかど)])는 일본 군주 천황의 별칭으로, 천황이 거주하는 어소의 고귀한 문을 의미한다. 어원의식을 반영하여 '御門'이라고도 표기한다. 大王(오오키미)는 주로 귀족들이 사용했던 반면, 미카도는 귀족 백성 모두가 사용했다. 현대 일본에서도 현지인들의 일상적인 언어에서 사용하기도 한다. 일본의 대중문화 작품에서 천황을 등장시킬 때는 미카도라 에둘러 표기하는 예가 많다. 한국어로 따지면 임금과 유사하다. 단순히 황제를 뜻하는 보통 명사로도 사용된다.

2. 지명

三門.

오카야마, 시즈오카, 이와테등지에 위치한 지명 이름이며, 일본 전국 각지에 미카도란 지명이 수 없이 존재한다.

또한 미카도역, 비젠미카도역 등 철도역명도 존재한다.

3. 인명

미카도란 천황의 별칭이며, 이로 인한 이름의 어감 때문에 일반인들의 이름으로 쓰이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만화 게임 속 가공의 인물들의 이름 및 성씨로는 종종 쓰인다.

3.1. 해당 인물

3.1.1. 인명

3.1.2. 성씨

4. 오페라 미카도

파일:images.duckduckgo.com.jpg

1885년 작곡가 아서 설리번과 극작가 윌리엄 슈웽크 길버트가 만든 코믹 오페라이다. 당시 영국에서 엄청난 인기를 얻었다. 672회 연속 공연으로 영국에서 역대 두 번째 장기 흥행 기록을 세웠다.

일본 배경이긴 한데 부제 '타운 오브 티티푸'[2]나 등장인물 이름[3]에서 알 수 있듯이 일본과 관련이 없다. 대본을 집필한 길버트는 '일본을 비하하는게 아니라 영국을 풍자하는 작품이다.'라고 하였다.

최근 공연할 때는 양복을 입고 영국 배경으로 무대를 꾸미는 경우가 많다.

당시 영국 사회를 풍자하기 위해 다른 나라 일본의 이미지를 가져온 것은 논란이 될 만 하다. 일본에선 2차대전 때까지 황실 모독으로 공연을 금지하였으나, 지금은 일본에서 꽤 자주 공연된다.

작품 중간에 일본 최초의 군가인 미야상 미야상이 나온다.

노래 I've got a little list가 유명하다. 사회 풍자적인 가사인데 오페라가 공연될 당시 세계 상황에 맞게 등장 인물 이름이 바뀐다.

5. 보드 게임

유럽에서 유래된 산가지 놀이. 41개의 기다란 막대기들을 이용한다.

6. 일본 과자 포키의 유럽판 이름

포키가 유럽에 수출될 때는 미카도라는 이름으로 수출되었다. 이 명칭은 포키 막대가 5번의 보드 게임에서 사용되던 미카도 막대와 닮았다는 것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7. 증기 기관차의 형식 분류

파일:Japanese-national-railways-D51-200-20111213.jpg
바퀴가 2-8-2형인 증기 기관차를 부르는 명칭. 일본이 영미의 적성국이 된 이후에는 맥아더 마이크로도 불렸다. 미카도라는 애칭은 의외로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일본에 납품하기 위해서 제작사에서 이런 이름을 붙였기 때문.
한반도에 들어온 미카도 증기기관차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미카형 증기기관차 참조.

8. 란스 시리즈의 직책

미카도(란스 시리즈)

9. 일본 도쿄의 고전게임 전문 오락실 게센 미카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게센 미카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서로 별개의 인물이지만 한자 표기는 같다(三千院 帝). 참고로 산젠인은 교토에 실재하는 사원. [2] 일본 사이타마현에 속한 지명인 ' 치치부(ちちぶ[秩父\])'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해당 도시명을, 실제 발음에 중점을 둔 헵번식 로마자로 쓰면 'Chichibu'이되 본 작품 창작 당시 그 나름대로 널리 쓰였던, 음절 구조에 중점을 둔 일본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쓰면 'Titibu'이기 때문. 그러나 명확한 증거는 없다. 원작자가 19세기 당시 영국에서의 일본산 주요 수입품 중 하나인 지치부 비단을 접하고 여기에서 작명한 게 아닌가 하는 추정이 있긴 하다. # [3] 난키-푸, 푸-바, 피쉬-투쉬, 염-염, 핍-보 등 영어권 아기들의 혀짤배기말에 가까운 이름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