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9 22:51:33

미일화친조약

미일 화친 조약에서 넘어옴
에도 막부 말기 주요 사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3400> 1716년 ~ 1735년 교호 개혁
1787년 ~ 1793년 간세이 개혁
1830년 ~ 1843년 텐보 개혁
1853년 7월 8일 쿠로후네 사건
1854년 3월 31일 미일화친조약 체결
1858년 7월 29일 미일수호통상조약 체결
1858년 ~ 1859년 안세이 대옥
1860년 3월 24일 사쿠라다 문 밖의 변
1862년 2월 13일 사카시타 문 밖의 변 (坂下門外の變)
1862년 5월 21일 사쓰마 번 지사 숙청 사건 (薩摩藩志士肅淸事件)
1862년 8월 21일 나마무기 사건
1863년 8월 15일 ~ 1863년 8월 17일 사쓰에이 전쟁
1863년 9월 30일 8월 18일의 정변 (八月十八日の政變)
1863년 ~ 1864년 시모노세키 전쟁
1864년 7월 8일 이케다야 사건
1864년 8월 20일 금문의 변
1864년 8월 24일 ~ 1865년 1월 24일 제1차 조슈 정벌
1866년 3월 7일 삿초 동맹
1866년 7월 18일 ~ 1866년 10월 8일 제2차 조슈 정벌
1867년 11월 9일 대정봉환
1868년 1월 3일 왕정복고의 대호령
1868년 1월 27일 ~ 1869년 6월 27일 보신 전쟁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일관계 관련 문서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 역사 쿠로후네 사건 · 미일화친조약 · 미일수호통상조약 · 가쓰라-태프트 밀약 · 태평양 전쟁 · 연합군 점령하 일본 · 미국의 류큐 통치
사건사고 시모노세키 전쟁 · 파나이 호 사건 · 일본 제국정부 대미통첩각서 · 일본 미군기지 폭발사고 · 미야모리 소학교 미군기 추락사고· 요코하마 미군기 추락사고
외교 미일관계 · 미일관계/2020년대 · 미일안전보장조약 · 미일 반도체 협정 · 플라자 합의 ·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 · G7 · Quad · IPEF · 2021년 미일정상회담 ·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 · 주일미국대사관
기타 미군 vs 자위대 · 한미일관계 · 미중일관계 · 미영일관계 · 미국-오키나와 관계 · Quad }}}}}}}}}

파일:KanagawaTreaty.gif 파일:external/www.kodomo.go.jp/img_archive_01.jpg

1. 개요2. 내용3. 기타

1. 개요

파일:미국 국기(1851-1858).svg 파일:에도 막부 국기.svg
미합중국[1] 에도 막부[2]
미일화친조약 | 美日和親條約
영어 Japan–US Treaty of Peace and Amity
일본어 [ruby(日米和親条約, ruby=にちべいわしんじょうやく)]
1854년 3월 31일 에도 막부(일본)와 미국이 체결한 조약이다. 가나가와[3] 조약(神奈川 条約)이라고도 부른다.[4]

1853년, 미국 밀러드 필모어 대통령의 명을 받은 페리 제독은 함대를 이끌고 일본에 내항하여, 대통령의 개국·통상을 요구하는 친서를 가지고 막부에 이를 요구했지만 막부 측이 1년의 유예를 구하여 이를 받아들이고 일시 해산한다. 이듬해 1854년 2월 13일, 다시 도쿄에 입항하여 협의를 했는데 일본측 전권은 외교관이자 주자학자 하야시 후쿠사이(林復斎, 1801 ~ 1859)[5], 미국측 전권은 동인도 함대 사령관인 매튜 페리에게 일임되었다. 약 1개월 간의 협의 끝에 3월 31일, 총 12개조로 구성된 미일화친조약을 체결한다. 그 후, 현재의 시즈오카현 시모다시로 협상의 장을 옮겨 같은 해 6월 17일에 화친 조약의 세칙을 정한 시모다 조약(전체 13 개조)을 체결하게된다.

이 조약에 의해 일본은 시모다와 하코다테를 개항함으로써, 쇄국 체제는 종말을 맞이하였다.

2. 내용

제 1 조
미일 양국·양 국민 사이에는 사람·장소의 관계없이 향후 영원한 화친이 맺어진다.

제 2 조
시모다와 하코다테를 개항한다.(시모다는 즉시, 하코다테는 조약 체결 일년 뒤) 이 두 항구에서 식수, 식량, 석탄, 기타 필요한 물자의 공급을 받을 수 있다.
상품의 가격은 일본 관료가 결정하고, 그 지불은 금화 혹은 은화로 한다.

제 3 조
미국 선박이 좌초 또는 난파한 경우 승무원은 시모다 또는 하코다테에 이송되어 미국인에 인도된다.
피난민의 소유 물품은 모두 반환되며 구조에 발생한 지출에 따른 변제는 필요없다.(일본 선박이 미국에서 조난 당한 경우도 마찬가지)

제 4 조
미국인 조난자 및 시민은 타국에서와 마찬가지로, 체제비는 없으며 감금되는 정도는 아니나, 일본의 공정한 법률을 따를 필요가 있다.

제 5 조
시모다와 하코다테에 임시 거류하는 미국인은 나가사키의 네덜란드인과 중국인과는 달리, 그 행동 제한이 없다.
행동가능 범위는 시모다에서는 7리(里) 이내, 하코다테는 별도로 정한다.

제 6 조
기타 필요한 물품이나 동의에 관해서는 양 당사국간에 신중하게 심의한다.

제 7 조
두 항구에서 금화·은화를 통한 구매 및 물물교환은 가능하다.
거래가 성립되지 않는 물품은 모두 가져갈 수 있다.

제 8 조
물품 조달은 일본 관리가 알선한다.

제 9 조
미국에 편무적(片務的)인 최혜국 대우를 준다.

제 10 조
조난·악천후를 제외하고 시모다와 하코다테 이외의 항구에 내항을 금지한다.

제 11 조
양국 정부 중 하나가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본 협약 체결 일로부터 18개월 경과 한 후 미국 정부는 시모다에 영사를 둘 수 있다.

제 12 조
양국은 이 조약을 준수할 의무가 있다.
양국은 18개월 이내에 협약을 비준한다.

* 미국인의 이동 가능 범위는 시모다에서 7리 , 하코다테에서 5리 사방에 한한다. 무가·상가에 들어가는 것은 보류한다.
* 미국인에 대한 잠정적인 휴식처로 료센지(了仙寺)[6]·교쿠센지(玉泉寺)[7] 에 설치하고, 미군 묘소는 교쿠센지에 둔다.
* 미국인이 짐승을 사냥하는 것을 보류한다.

3. 기타

만일 겹겹이 문을 걸어 잠근 나라인 일본이 방문객을 환대하는 날이 온다면, 그 공은 오로지 포경선에 돌려야 할 것이다. 포경선은 이미 일본의 문지방에 올라가 있기 때문이다.
문학동네 판 모비 딕 1권 219페이지, 역자 황유원


[1] 1851년 ~ 1858년 미국 국기. [2] 개항을 계기로 만들어진 상선기인 대중흑기. [3] 현재의 가나가와현 요코하마항에 있는 개항광장을 말한다. [4] 일본에서는 이 명칭이 일반적이다. 한국에서도 조일수호조규라는 명칭보다 강화도 조약이라는 명칭이 익숙한 것처럼 말이다. [5] 두개의 하야시 가문이 있는데 여기에 나온 후쿠사이는 두번째 햐야시 7대 가문 당주이다. [6] 시즈오카현 시모다시에 있는 일련종 사찰로 창건일은 1635년 [7] 같은 장소에 있으며 조동종 사찰로 창건일이 알수 없지만 미일화친조약이후 총영사관으로 사용되었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기념관으로 남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