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2 08:19:07

미네카제급 구축함

미네카제급에서 넘어옴
제1차 세계 대전의 일본군 군함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구축함 카미카제급 구축함(1905), 우미카제급 구축함, 이소카제급 구축함, 사쿠라급 구축함, 카바급 구축함, 모모급 구축함, 나라급 구축함, 미네카제급 구축함
잠수함 가와사키형 잠수함, O4형, O6형
방호순양함 니타카급 방호순양함, 나니와급 방호순양함, 치쿠마급 방호순양함
경순양함 텐류급 경순양함, 쿠마급 경순양함
장갑순양함 아사마급 장갑순양함, 야쿠모급 장갑순양함, 아즈마급 장갑순양함, 이즈모급 장갑순양함, 카스가급 장갑순양함, 츠쿠바급 장갑순양함, 쿠라마급 장갑순양함
순양전함 B-40, 빅커스 설계 472형 순양전함, 공고급 순양전함
전함
<colbgcolor=#ffffff,#191919> 전/준 드레드노트급 후지급, 시키시마급, 카토리급, 사쓰마급, 이와미C, 히젠C, 페레스베트급C, 페트로파블로프스크급C
드레드노트급 카와치급, 공고타이강급 전함, 가네다 전함
포함 반조급, 마야급, 오시마급, 후시미급, 우지급, 사가급, 아타카급A
어뢰정 1호형 어뢰정, 5호형 어뢰정, 코타카급, 후쿠류급C, 21호형 어뢰정, 22호형 어뢰정, 26호형 어뢰정C, 27호형 어뢰정C, 29호형 어뢰정, 39호형 어뢰정, 50호형 어뢰정, 67호형 어뢰정, 시라타카급, 하야부사급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윗첨자C: 노획 함선, 윗첨자A: 전후 완공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일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군 군함 파일:일본 제국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투함
구축함
(DD)
미네카제급, 카미카제급, 무츠키급, 특1형 후부키급, 특2형 아야나미급, 특3형 아카츠키급, 하츠하루급, 시라츠유급, 아사시오급, 카게로급, 유구모급, 시마카제급, 아키즈키급, 마츠급, 타치바나급
사쿠라급, 모모급, 나라급, 모미급, 와카타케급, 제101호 초계정C, 제102호 초계정C
잠수함
(SS)
L급, 로 100형, 71호, 해중형( 로-34), 해대 1형, 해대 2형, 해대 3형, 해대 4형 해대 5형, 해대 6형, 해대 7형, 순잠 1형, 순잠 2형, 순잠 3형, 순잠 갑형, 순잠 을형, 순잠 병형, 순잠 정형, 센토쿠급, 키라이센급, 갑표적, 삼식잠항수송정 로500, 유보트 Type XC
경순양함
(CL)
텐류급, 쿠마급, 나가라급, 센다이급, 유바리, 아가노급, 오요도, 815형, 이오시마C, 야소시마C
장갑순양함 이즈모급R, 카스가급
중순양함
(CA)
후루타카급, 아오바급, 묘코급, 타카오급, 모가미급, 토네급, 이부키급
순양전함
(CC)
공고급, 아마기급, 13호급, B-65
전함
(BB)
카와치급, 후소급, 이세급, 나가토급, 카가급, 키이급, 후지모토 전함 계획안, A-140 전함, 야마토급, 슈퍼 야마토급
경 / 개조 / 호위항공모함
(CVL/CVE)
호쇼, 쇼호급( 쇼호- 즈이호), 류호, 히요급( 히요- 준요), 치토세급( 치토세- 치요다), 다이요급( 다이요- 운요- 추요- 신요- 카이요), 시마네마루급- 야마시오마루
정규항공모함
(CV)
아카기, 카가, 류조, 소류, 히류, 쇼카쿠급, 운류급, G18, 다이호, 카이다이호, 시나노
수상기모함
(AV)
노토로, 카모이, 아키츠시마, 미즈호급, 닛신
강습상륙함 아키츠마루급, 쿠마노마루
연습함 / 포함
(CL/FF)
카토리급, 하시다테급, 아타카급, 사가급, 아타다C
어뢰정 치도리급, 오오토리급, 갑형 어뢰정, 을형 어뢰정
해방함
(DE)
시무슈형, 에토로후형, 미쿠라형, 히부리형, 우쿠루형, 제1호형, 제2호형
특공 병기 신요, 마루레, 가이텐, 카이류, 후쿠류
군수지원함
공작함 아카시, 아사히
급유/급탄/급병함 시레토코급, 온도급, 카자하야, 하야스이, 타카노급, 하리오급, 무로토급, 카시노
급양함 마미야, 이라코, 노사키
상륙함정 신슈마루, 대발동정, 제101호형 수송함
잠수모함 진게이급, 타이게이
잡역선 아스카C, 아타다C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 윗첨자: 일본 제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C: 노획 함선
※ 윗첨자R: 재취역한 함선
※ 윗첨자A: 전후 완공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Japanese_destroyer_Minekaze_Yokosuka_Showa_7.jpg
峯風型駆逐艦

1. 개요2. 제원3. 동형함
3.1. 함선 상세정보
4. 매체에서의 등장

[clearfix]

1. 개요

미네카제급 구축함은 1919년에 개발된 일본 제국 해군 소속의 구축함이다. 88함대 계획으로 인해 개발된 구축함으로, 88함대 계획이 완성될 시 아마기급 순양전함을 호위할 예정이었다.

렉싱턴급 순양전함과 아마기급 순양전함 등을 비롯한 30노트 이상급의 순양전함들의 건조가 예상되자 이에 대응하여 38,500 마력의 고출력 엔진을 사용, 39~40 노트의 빠른 속도를 확보하였다. 또한 능파성을 위한 설계를 적용하였으며 항속능력 또한 늘리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나 만족할 만큼의 항속능력 및 능파성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성능은 차후 건조되는 후부키급과 카게로급 구축함이 되어서야 확보하게 된다.

고속성을 위시하여 카미카제급, 무츠키급 과 함께 쇼와 초기 수뢰전대의 중추를 맡았으나 태평양 전쟁 당시에는 노후화되었으며 전간기에 건조된 탓에 대공, 대잠능력마저 떨어졌기으며, 무엇보다 더욱 양질의 성능을 가진 특형구축함들이 다량 건조되었기에 2선급으로 물러나 전투 임무가 아닌 초계임무나 수송임무 등 보조임무에 사용되었으며, 일부 함은 항공전대에 들어가 공중전의 과정에서 불시착한 전투기 조종사의 회수를 위한 임무를 주로 맡게 되었다

태평양전쟁의 최종장에 미네카제급의 15척 중 2척이 가이텐 모함으로써 개수되어 사용되었다.

전쟁을 거치며 총 4척이 생존, 1척이 착저 되었으며, 전후 운용 가능하였던 4척중 1척은 영국군에, 1척은 중화민국에 배상함으로 인도, 2척은 방파제로 전용되었다.

착저된 1척은 1940년대 후반, 스크랩 되었다.

2. 제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ONI_Minekaze_class_destroyer.jpg
배수량 기준 1,215톤 /만재 1,345톤
전장 102.57 m
수전장 99.44 m
수선간장 97.54 m
전폭 8.92 m
깊이 5.79 m
흘수 2.90 m
기관 보일러: 로호합본식부 기름 부기관 4기
주기: 파슨스식 터빈 2기
추진기: 2축x400rpm
출력 38,500마력(계획)
17,000(1943년)
속력 39노트
항속거리 3,600해리 / 14노트
연료 석유: 400톤(미네카제외 6척)
석유: 395톤(시오카제외 7척)
승무원 145명(미네카제준공시)
154명(1943년)
무장 준공시계획
12cm단장포 4문
6.5mm단장기관총 2정
3년식기관포 2정(1920년)
53cm연장발사관 3기
6년식어뢰 8발
기뢰투하궤도 2발
1호기뢰 16개(부유식)
1943년
45구경3년식12cm단장포 4문
3년식기관포 2정
6년식연장발사관 3기
6년식개조어뢰 6발
수압 이형 투하대 2기
투하 궤도 4개
95식 폭뢰 18개
탑재정 20ft내연기관1척, 20ft커터 1척, 20ft통선 1척(계획)
6m내연기관1척, 6m커터 1척, 20ft통선 1척(1943년)
특수장비 대함식 대소해구 2형 2조
1형소 소해구 2조

3. 동형함

함번 함명 계획 기공 진수 준공 제적 조선소
1번함 미네카제峯風 1917년 1918년 4월 20일 1919년 2월 8일 1920년 5월 29일 1944년 3월 31일 마이즈루 해군 공창
2번함 사와카제澤風 1917년 1918년 1월 7일 1919년 1월 7일 1920년 3월 16일 1945년 9월 15일 미쓰비시 나가사키 조선소
3번함 오키카제沖風 1917년 1919년 2월 22일 1919년 10월 3일 1920년 8월 17일 1943년 3월 1일 마이즈루 해군 공창
4번함 시마카제島風 1917년 1919년 3월 31일 1920년 3월 31일 1920년 11월 15일 1943년 2월 10일 마이즈루 해군 공창
5번함 나다카제灘風 1917년 1920년 1월 9일 1920년 6월 26일 1921년 9월 30일 1945년 9월 30일 마이즈루 해군 공창
6번함 야카제矢風 1917년 1918년 8월 15일 1920년 4월 10일 1920년 7월 19일 1945년 9월 15일 미쓰비시 나가사키 조선소
7번함 하카제羽風 1917년 1918년 11월 11일 1920년 6월 21일 1920년 9월 16일 1943년 3월 1일 미쓰비시 나가사키 조선소
8번함 시오카제汐風 1917년 1920년 5월 15일 1920년 10월 22일 1921년 7월 29일 1945년 10월 5일 마이즈루 해군 공창
9번함 아키카제秋風 1917년 1920년 6월 7일 1920년 12월 14일 1921년 4월 1일 1945년 1월 10일 미쓰비시 나가사키 조선소
10번함 유카제夕風 1918년 1920년 12월 14일 1921년 5월 28일 1921년 8월 24일 1945년 10월 5일 미쓰비시 나가사키 조선소
11번함 타치카제太刀風 1918년 1920년 8월 18일 1921년 3월 31일 1921년 12월 5일 1944년 3월 31일 마이즈루 해군 공창
12번함 호카제帆風 1918년 1920년 11월 30일 1921년 7월 12일 1921년 12월 22일 1944년 9월 10일 마이즈루 해군 공창
13번함 노카제野風 1918년 1921년 4월 16일 1921년 10월 1일 1922년 3월 31일 1945년 4월 10일 마이즈루 해군 공창
14번함 나키카제波風 1918년 1921년 11월 7일 1922년 6월 24일 1922년 11월 11일 1945년 10월 5일 마이즈루 해군 공창
15번함 누마카제沼風 1918년 1921년 8월 10일 1922년 2월 25일 1922년 7월 24일 1944년 2월 5일 마이즈루 해군 공창
13번함 노카제부터는 노카제급 구축함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3.1. 함선 상세정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Japanese_destroyer_Minekaze_Yokosuka_Showa_7.jpg
1번함 미네카제 (峯風) : 제2구축대 소속함으로 양쯔강과 그 이북 지역을 순찰했다. 태평양 전쟁때는 주로 호위 임무를 하다가 1944년 2월 10일 대만 인근에서 미국잠수함 Pogy에 격침당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Japanese_destroyer_Sawakaze.jpg
2번함 사와카제 (澤風) : 제2구축대 소속함이지만 딱히 한 건 없고, 1948년 스크랩되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IJN_Okikaze_at_Yokosuka_Showa_7.jpg
3번함 오키카제 (沖風) : 제2구축대 소속함이지만 이쪽은 아예 무장이 해체됐다가 태평양 전쟁이 터지자 재무장하고 요코스카 진수부 근방을 순찰했다. 1943년 1월 10일 대잠 순찰 중, 가토급 잠수함 USS 트리거에게 어뢰 2발을 맞고 격침당하고 선원들은 모조리 전멸했다.

4번함 시마카제 (島風) : 미네카제급 중 유일하게 밥값한 함선. 자세한 사항은 시마카제 항목 참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IJN_Nadakaze_on_trials_Taisho_10-11.jpg
5번함 나다카제 (灘風) : 완공 시기에서 보듯 날림으로 만들었고, 미네카제급 중에서도 제일 성능이 떨어졌다.
따라서 제3구축대를 해체한 후 시마카제와 같이 초계함이 되어 96식 25mm 기총을 추가로 달고, 120mm 포와 어뢰발사관을 제거하였다.--이정도면 초계함이 아니라 어뢰정 수준으로 태평양 전쟁 시작 후 필리핀, 네덜란드령 동인도, 솔로몬 제도, 가오슝, 사이공, 마닐라, 싱가포르 등에서 활약하다가 1945년 7월 25일 영국 잠수함 Stubborn에 격침당했다.

이렇게 일본군 구축함 중 최약체였던 함이 활약할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속도. 2등구축함 모미급이 고성능 엔진[1]을 이용한 39노트에 달하는 속도에 있다. [2] 뿐만 아니라 비교대상이 동시대의 다른 구축함들이 아니라 호위함, 초계함들이라면 적절한 무장에 적절한 장갑과 적절한 항속거리를 가지고 있는 미네카제급은 꽤 적절한 초계함이 될 수 있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5px-Yakaze.jpg
6번함 야카제 (矢風) : 제3구축대의 함선들이 다 그렇듯이 초계함[3]이 되어 종전때까지 바다를 누비고 다녔다. 특이한 건 다른 미네카제급처럼 1948년에 스크랩되지 않고 요코스카에서 일어난 홍수에 의하여 격침당하고, 남은 잔해는 방파제로 쓰였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IJN_Hakaze_on_trials_Taisho_9.jpg
7번함 하카제 (羽風) :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제 34구축대로 자리를 옮겨 남방작전, 수마트라 해전, 미드웨이 해전, 과달카날 해전 등 크고 굵직한 전투에 여러 번 참전했지만 대부분 후방에서 호위, 호송, 순찰 등을 맡았고 실전 경험은 전무하다시피 했다. 1943년 1월 23일 수상기모함 아키츠시마를 호위하다 가토급 잠수함 USS 가드피쉬를 발견, 어뢰를 발사했지만 명중하지 못하고[4] 오히려 격침당했다.[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IJN_DD_Shiokaze_and_BC_Kongo_in_1924.jpg
8번함 시오카제 (汐風) : 제3구축대 함선으로, 정규항모 류죠의 호위함이었다가 1942년 남방작전에서 활약하다 중파당했고, 수리 후 호송, 호위 임무를 맡았다. 종전 후 1945년 10월 5일 스크랩되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IJN_Akikaze_departing_Yokosuka_Taisho_12.jpg
9번함 아키카제 (秋風) : 제4구축대 함선, 진주만 공습 이후 제 34구축대에 편입, 1942년 5월부터 호위임무를 수행했고, 1943년 3월 14일 잠수함 USS 트리톤을 공동격침하는 성과를 올린다. 1944년 11월 1일에는 무츠키급 유즈키와 함께 항모 준요, 경순양함 키소를 호위하다 11월 3일 미국 가토급 잠수함 USS Pintado에게 어뢰를 맞고, 피해를 줄이기 위해 결국 자침한다.
여기까지만 본다면 미네카제급 중 밥값은 하고도 남은 아주 우수한 수훈함으로 사람들의 기억에 남을 수 있었으나 구축함 아키카제 학살 사건(駆逐艦秋風虐殺事件)이 일어났다.
【구축함 아키카제 학살 사건 】
카비앵 학살
1943년 3월 13일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 남동방면함대(사령장관: 쿠사카 준이치(草鹿任一)중장)의 지휘하에 뉴기니 전투에서 일본군이 뉴기니 섬 동부에 일대 거점이였던 뉴브리튼섬 라파울에 현지거주민과 각국민간인을 아키카제에 탐승시켜 이송중에 아키카제 함상에서 승무원이 그 민간인을 처형한 사건이다.

본래 북동부는 독일 제국의 식민지이며(독일령 뉴기니, 제1차세계대전 독일의 패전 이후 섬의 남동부를 호주가 위임통치했다.), 현지에는 선교사와 농장주 등 독일인외 각국의 민간인이 정착하여 살았다. 당시의 라파울 작전 전반을 지휘하고 있던 남동방면함대(사령장관: 쿠사카 진이치중장, 참모장: 나카하라 요시마사)은 동부 뉴기니, 중부솔로몬의 방비를 하고, 항공기지정비와 남동방면기지설열계획인 『남동방면기지정비계획』을 발령하고 4월 15일을 목표로 21개소의 육군기지와 12개의 수상비행기지를 정비하려 했다.

피해자는 아래와 같다.
카일루섬 26명 : 수도사 12명, 수녀 11명, 2~7세 중국인아이 3명
미누스섬 40명 : 신부와 수녀 각3명, 독일인 선교사부부 2쌍, 어린이1명, 독일인 농장주 2명, 중국인 2명, 원주민 3명
밖에 적어도 네덜란드인 5명, 헝가리인 1명, 미국인 1명

전후 연합국은 이사건을 조사했고, 당시 아키카제가 소속된 제8함대 사령장관: 미카와 군이치(三川 軍一)중장, 참모장: 오니시 신조(大西 新蔵)소장을 1947년 1월에 구속 B급 전범으로 지정했다. 하지만 사건당시 아키카제의 함장인 사베 츠루요시(佐部 鶴吉)대위와 주요사관도 1943년 8월이 아키카제가 대파되어 침몰해 모든 승무원이 전몰했다. 이후에도 전범조사 때도 이전에 탐승함승무원을 조사했으나 원악에 일본제국의 거지 같은 명령체계와 복잡하고, 육군지휘계통도 복잡하게 얽혀있었다.

1948년 10월 오구치 시게루(小口 茂)기관장과 아키카제의 승무원등이 피고측에 증인으로 채택되었다. 10월 15일 도이 가즈오(土肥 一夫)는 남동방면함대의 전시일지를 재판에 재출했다. 이에 의한 학살사건때의 아키카제의 남동방면함대의 사령장관인 미카와 군이치(三川 軍一)중장, 제11항공함대 사령장관겸)이 명령을 받은 것으로 밝혀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IJN_Yukaze_commissioning_at_Nagasaki_Taisho_10.jpg
10번함 유카제 (夕風) : 제3구축대 소속함이다. 1928년 10월 11일에는 자매함 시마카제와 충돌 사고를 내 손상시켰다.거의 20년 동안 호쇼와 함께 다녔고, 이 인연은 미드웨이 해전에 참전한 이후 호쇼가 비행사 양성을 위해 1선에서 물러난 후에도 계속되었다. 종전때까지 호쇼와 함께 다녔지만 종전 후 영국에 보상함으로 넘겨졌고, 공식적으로는 이런 구형 구축함을 쓸 필요가 없었던 영국이 1947년에 스크랩했지만, 민간에 이양되어 남은 여생을 고기잡이배로 평화롭게 보냈다는 도시전설이 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IJN_Tachikaze_on_trials_Taisho_10.jpg
11번함 타치카제 (太刀風)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강탈에 참전했다. 진주만 공습때도 호위함으로써 참전, 안다만 제도 침략때 중파되었으나 수리하고 임무를 계속한다. 1944년 2월 18일 캐롤라인 제도 해전에서 굉침당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Japanese_destroyer_Hokaze_circa_1921.jpg
12번함 호카제 (帆風) : 제4구축대였지만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제 3구축대로 자리를 옮긴다. 타이요, 쇼호, 나치 등의 호위함으로 자리잡는다. 1943년 3월, 수리와 동시에 수중 음파 탐지기를 설치받는다. 1944년 7월 6일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 인근에서 미국 가토급 잠수함 USS Paddle 에게 굉침당했다.

13번함 노카제 (野風) : 1945년 2월 20일 미국 가토급 잠수함 USS Pargo에 베트남 인근 해역에서 격침당했다. 여기서부터는 미네카제급 또는 노카제급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14번함 나미카제 (波風) : 1944년 9월 8일 미국 샐먼급 잠수함 Uss Seal이 깔아놓은 기뢰에 대파당하여 수리에 들어갔다. 이후에 1945년 가을에 보일러 1개를 들어내고 후방 12cm포와 어뢰발사관을 제거하고 가이텐 모함으로 개조되었다. 종전후 1948년 10월에 중국에 배상함으로 넘겨졌다.

15번함 누마카제 (沼風) : 1943년 12월 19일 오키나와 인근해역에서 미국 탬버급 잠수함 USS Grayback에 격침되었다.

4. 매체에서의 등장

파일:external/www.goonsteam.com/Minekaze_1920_1.jpg
파일:Naval Creed 미네카제.png

[1] 일본 기준이 아니라 타국 엔진 중에서도 상위권이었다. [2] 약 72km 정도 [3] 무장은 그대로였기 때문에 구축함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4] 제한적이지만 3차원적으로 기동하는 잠수함을 어뢰로 잡기란 정말 어렵다. [5] 공교롭게도 언니인 시마카제 역시 가드피쉬에게 격침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