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03:21:11

몬스터 헌터 트라이 G

몬헌 트라이 G에서 넘어옴
파일:몬스터 헌터 로고.png
몬스터 헌터 시리즈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메인 시리즈
분류 본편 확장판
<colcolor=#000,#fff> 1세대 몬스터 헌터 (2004) PS2 몬스터 헌터 G (2005) PS2/Wii
몬스터 헌터 포터블 (2005) PSP
2세대 몬스터 헌터 도스 (2006) PS2
몬스터 헌터 포터블 세컨드 (2007) PSP 몬스터 헌터 포터블 세컨드 G (2008) PSP/iOS
3세대 몬스터 헌터 트라이 (2009) Wii 몬스터 헌터 트라이 G (2011) 3DS/Wii U
몬스터 헌터 포터블 서드 (2010) PSP/PS3
4세대 몬스터 헌터 4 (2013) 3DS 몬스터 헌터 4G (2014) 3DS
몬스터 헌터 크로스 (2015) 3DS 몬스터 헌터 더블 크로스 (2017) 3DS/NSW
5세대 몬스터 헌터: 월드 (2018) PS4/XB1/PC 몬스터 헌터 월드: 아이스본 (2019) PS4/XB1/PC
몬스터 헌터 라이즈 (2021)
NSW/PC/PS4/PS5/XB1/XBX|S
몬스터 헌터 라이즈: 선브레이크 (2022)
NSW/PC/PS4/PS5/XB1/XBX|S
6세대 몬스터 헌터 와일즈 (2025)
PS5/XBX|S/PC
* 윗첨자의 경우 각 타이틀이 발매된 기종
* 발매 연도 표기의 경우 각 타이틀이 최초 발매된 연도만 표기하며 타 기종 이식 연도의 경우 표기하지 않음
문서가 존재하는 외전 시리즈 · 기타 미디어 믹스
스토리즈 몬스터 헌터 스토리즈 (2016) 몬스터헌터 스토리즈 2 (2021)
몬스터 헌터 스토리즈 RIDE ON
아이루 마을 몬헌일기 따끈따끈 아이루 마을 몬헌일기 따끈따끈 아이루 마을 G
몬헌일기 따끈따끈 아이루 마을 DX 몬헌일기 아슬아슬 아이루 마을
모바일 몬스터 헌터 다이나믹 헌팅 몬스터 헌터 익스플로어 (서비스 종료)
포터블 세컨드 G for iOS 몬스터 헌터 라이더즈 (서비스 종료)
Monster Hunter Now
온라인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서비스 종료) 몬스터 헌터 온라인 (서비스 종료)
영화 몬스터 헌터 (2020)
만화 몬스터 헌터 오라쥬 }}}}}}}}}
몬스터 헌터 트라이 G
モンスターハンター3(トライ)G
Monster Hunter 3 Ultimate
파일:attachment/mh3g_front.jpg
<colbgcolor=#053865><colcolor=#ffffff,#dddddd> 개발 캡콤
유통
플랫폼 닌텐도 3DS[1] | Wii U
장르 헌팅 액션
출시 3DS
파일:일본 국기.svg 2011년 12월 10일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3월 19일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13년 3월 22일
파일:호주 국기.svg 2013년 3월 23일
Wii U
파일:일본 국기.svg 2012년 12월 8일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3월 19일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13년 3월 22일
파일:호주 국기.svg 2013년 3월 23일
한국어 지원 비공식 지원[2]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평가용.svg 평가용
파일:게관위_등급분류거부.svg 등급 분류 거부
심의 예정(한국)
심의 없음(한국)
##
파일:ESRB Everyone.svg ESRB E
파일:ESRB Everyone 10+.svg ESRB E10+
##
파일:CERO A.svg CERO A
##
파일:EOCS 전연령.gif EOCS 전연령
파일:EOCS E12.gif EOCS E12
파일:EOCS E15.gif EOCS E15
파일:EOCS 18금.gif EOCS 18금
##
파일:PEGI 3.svg PEGI 3
##
파일:USK 0 로고.svg USK 0
파일:USK 12 로고.svg USK 12
파일:USK 16 로고.svg USK 16
파일:USK 18 로고.svg USK 18
##
파일:ACB General.svg ACB G
파일:ACB Parental Guidance.svg ACB PG
파일:ACB Mature Accompanied.svg ACB MA15+
파일:ACB Restricted(R18+).svg ACB R18+
파일:ACB Refused Classification.svg ACB RC
##
파일:GSRR G 로고.svg GSRR G
파일:GSRR PG 12 로고.svg GSRR PG 12
파일:GSRR PG 15 로고.svg GSRR PG 15
##
파일:CADPA-8+.png CADPA 8+
파일:CADPA-12+.png CADPA 12+
파일:CADPA-16+.svg CADPA 16+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오프닝3. 발매 전 정보
3.1. 체험판
4. 변경점5. 버그6. Wii U 이식판7. 추가 등장 몬스터
7.1. 대형 몬스터
8. 관련 문서9. 평가
9.1. 장점9.2. 복합적 평가9.3. 단점
10. 흥행11. 기타

[clearfix]

1. 개요


캡콤의 수렵 액션 게임으로 몬스터 헌터 시리즈 중 하나. 2011년 12월 10일에 닌텐도 3DS로 발매. Wii로 발매된 몬스터 헌터 트라이의 확장판격 후속작이며, 프로듀서 츠지모토 료조 / 디렉터는 후지오카 카나메.

한국에서는 eShop 다운로드 전용으로 2013년 4월 24일에 북미판인 'Monster Hunter 3 Ultimate'을 발매했다.

2012년 12월 8일, Wii U로 《몬스터 헌터 트라이 G HD ver.》이 발매되었다. 그래픽/사운드 향상 및 무료 온라인 환경을 지원, 3DS판과의 데이터 쌍방 연계 및 크로스플레이가 가능하다.[3]

패키지 디자인은 본작의 간판 몬스터인 쇄룡 브라키디오스 건랜스 헌터가 서로 대치하는 모습을 채택하였다. 북미판인 《MONSTER HUNTER 3 Ultimate》는 리오레우스 아종(창화룡)+대검 헌터.

디시인사이드 몬스터헌터 갤러리의 유저 건방진용자가 한글화를 진행중이며, 2017년 3월 기준 무기/방어구 설명과 NPC 대사를 제외한 모든 내용이 한글화되었다. 다만 홈브루가 실행되는 환경(펌웨어 버전 11.2 이하 또는 커스텀 펌웨어 환경)에서만 적용할 수 있다. 간단히 말하자면 카트리지 내의 데이터를 덤프, 특정 파일을 추출한 후 해당 파일에 패치를 적용하여 3DS 홈브루 중 하나인 HANS를 통해 읽어들일 수 있는 파일을 생성한 후 게임 실행시 같이 읽어들이는 방식.

2. 오프닝


몬스터의 생태나 헌터의 생활, 혹은 몬스터와 헌터의 긴장감 넘치는 대립에 초점이 맞춰졌던 이전작들과의 오프닝들과는 달리 줄창 몬스터만 나오는 영상인지라 내용이 없고 다소 밋밋한 오프닝이라는 평이 있다. 아무래도 3D 입체영상에 중점을 두다보니 좀 더 박력있는 장면을 연출하기 위해서인듯. 3DS로 보면 영상 자체는 굉장히 멋지다.

오프닝에 등장하는 라기아크루스 아종, 리오레우스 아종, 브라키디오스 마을 최종 퀘스트 영웅의 증명에서 다같이 등장한다. 또한 라기아크루스 리오레우스, 브라키디오스 이 셋은 공식에서 육해공이라고 취급하고 있다.

3. 발매 전 정보

2011년 9월 초 패미통을 통해 정체가 드러난 물건으로, 도쿄 게임쇼 2011에서 보다 상세한 정보가 공개될 예정이다. 사실 닌텐도 3DS 몬스터 헌터가 나온다는 루머는 동년 7월경부터 돌기 시작했지만 당시에는 대부분 반신반의했던지라….

원래는 단순히 트라이의 3DS 이식작을 제작할 예정이었으나 이왕 만드는거니 G쪽으로 개발 방향을 바꿨다고 한다.

트라이의 가장 큰 특징인 수중전을 그대로 물려받으면서 트라이에서 빠졌던 쌍검, 건랜스, , 수렵피리는 다시 추가되었다. 그럼 트라이에서 대체 왜 빠진거야[4] 이에 따라 몬스터 헌터 포터블 서드와 마찬가지로 12종류의 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트라이에서 세분화 됐던 보우건의 커스텀 방식은 간략화된다는 듯. 대신 리미터 해제라는 요소가 추가되어 리미터 해제시 완전 다른 무기가 되는 모양이다.

라이트 보우건은 리미터 해제시 모든 탄을 한번에 리로드 가능하며, 탄을 바꿔도 장전 상태가 유지되고, 속사를 쏠 수 없게되는 대신 일부 탄의 장전수가 증가. 사이드 스텝도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듯.

헤비 보우건은 리미터 해제시 공격력이 상승. 용격탄을 쏠 수 있게되며 앉아쏘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고 한다.

시리즈 최초로 셀프 섀도우[5]가 도입되는 작품이기도 하다. 이전에도 충분히 표현가능한 기술이었음에도 이제 와서 도입되는건 아마 박력있는 3D 연출을 위해서인 듯.

몬헌잡기가 불가능한 3DS의 구조상 시점조작 관련으로 여러가지 공을 들인 듯하다. 시점은 십자키 외에도 하단 터치 스크린에 있는 십자키 패널로도 조작가능. 또한 새로운 기능인 타겟 카메라를 도입했다. 타켓 카메라 기능을 키고서 시점 리셋 버튼인 L키를 누르면 카메라가 수렵대상 몬스터 쪽으로 자동으로 돌아가는 기능. 개발진의 말에 따르면 수중전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거라고한다. 유저들의 평가는 대만족.[6]또한 조작감 향상을 위해 3DS의 우측에 확장 슬라이드 패드를 장착하는 주변기기가 몬헌3g와 동시 발매 되었다.[7]

하단 터치스크린은 자신이 사용하고 싶은 기능을 골라서 꾸밀 수 있으며, 3DS의 작은 상단 스크린 탓에 UI가 화면을 많이 가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인지 기존에 화면에 표시되던 파티원 리스트나 지도, 체력/스테미너 바 등을 하단 스크린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한 파티 플레이 기능 지원여부에 대해 많은 기대를 모았으나 결국 불가능하다는 공식답변이 떴다.[8] 또한 xlink kai의 개발자는 3DS를 지원할 계획이 없다는 듯.[9] 넷파티의 개발자 역시 3DS는 wifi 신호가 독특한지라 지원하기 어렵다는 모양이다. 몬헌4에선 닌텐도가 자금을 풀자 너무도 쉽게 wi-fi 플레이 기능이 개발되었다(...). 캡콤을 죽입시디 결국 오프라인에서의 로컬 통신 플레이 이외에는 파티 플레이를 즐기 수 있는 방법이 전무했으나, 발매된 지 1년이 지나 2013년 2월 닌텐도 다이렉트 이후 온라인 플레이가 가능해졌다. 닌텐도 Wii 샵에서 온라인 툴을 다운 받고, 유선 LAN 접속 상태의 Wii U를 이용하여 몬헌3G HD ver.의 유저가 개설한 방으로 들어갈 수 있게끔 하는 것. 정리하자면, Wii U도 필요하고, 적어도 함께 플레이하는 사람들 중 한 사람은 몬헌3G HD ver.일 필요가 있는 것이다. ……3DS로 온라인 파티를 할 바엔 그냥 Wii U랑 같이 몬헌3G HD ver.을 사는게 속 편할 듯(…).

본작의 메인 몬스터는 '쇄룡 브라키디오스'라는 수룡종 골격의 몬스터. 냅다 머리만 들이대는 수룡종 몬스터의 특징을 개선하여 앞발을 사용하는 패턴 위주로 제작된 몬스터라는 듯.

트라이에서 삭제된 아종의 개념이 부활하였고, 몬스터 헌터 포터블 서드의 오리지널 몬스터들도 대부분 추가[10]되면서 볼륨이 늘어났다. 트라이에서 '볼륨이 부족하면 아종이라도 내지 그랬냐'라는 말을 들어서인지, 작정하고 마구 늘리는 분위기.

오프닝 무비가 11월 30일에 공개되었다. 오프닝에서마저 보이지 않던 티가렉스는 결국 잘렸다.

3.1. 체험판

2011년 12월 7일에 닌텐도 eShop을 통해 체험판 배포가 시작되었다. 기동에 30회 제한이 있으며, 백토수 울크스스와 수룡 가노토토스를 수렵할 수 있다. 무기는 12종류 모두 사용 가능.

그래픽의 경우 전반적인 텍스쳐 및 이펙트의 질이 높아진 것은 물론[11], 닌텐도 3DS 최대 특징이라 할 수 있는 3D 입체 화면 표현이 꽤나 자연스러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격렬한 조작을 요구하는 만큼, 시선이 쉽게 흔들리기 때문에 눈이 피곤해진다는 점이 아쉽다. 3D 모드를 끄면 Wii판 트라이와 거의 같은 느낌의 그래픽(광원 등)이 제공된다.

몬헌잡기가 되지 않는 만큼 우려되었던 조작성이었으나, 타겟 카메라가 매우 유용하기 때문에 실제 수렵시에는 크게 불편하지 않다. 다만 터치스크린 조작이 생각보다는 유용하지 않아서 실전에서는 타겟 카메라'만' 쓰게 되는 느낌. 검사는 상관없으나, 정밀한 조준이 필요한 거너의 경우 약간 불편할 수 있다. 특히 활의 경우 재빠른 궤도(높낮이) 조절이 좀 어려워서 전작에 익숙한 헌터라도 연습을 요한다.

4. 변경점

몬스터 헌터 트라이로부터의 변경점을 서술한다.

5. 버그

개발 기간이 짧았던 탓인지[15] 시스템적인 버그가 다른 몬헌 시리즈에 비해 눈에 띄는 편인데, 대표적인 버그는 검성의 피어스와 증탄의 피어스 입수 버그. 입수조건이 투기대회 클리어인데, 마을에서 희소교역으로 단장의 강화재를 입수하고 투기대회를 클리어하면 받을 수 없다. 이에 대응하여 닌텐도 e샵에서 패치 프로그램을 배포하고 있다. 프로그램을 구동하면 수렵선이 이미 강화 된 상태에서 투기대회를 올 클리어한 세이브 데이터에 한해서 증탄, 검성의 피어스를 지급해 주는 방식. 엄밀히 말하면 버그 수정이라고는 할 수 없고, 세이브 파일을 수정해 주는 셈이다. 참고로 HD버전에선 인게임에서 정상적으로 지급해준다. 현재는 e샵 서비스가 종료되었으므로[16] 수렵선 강화제를 얻지 않고 진행해서 획득하거나, 3DS 커펌 후 수정 프로그램을 직접 구해 깔거나 HD버전을 이용하는 수밖에 없다.

위 증탄피어스 버그는 그래도 패치 배포 등으로 어느 정도 해결되었지만 끝까지 해결되지 않은 더욱 치명적인 버그가 존재하는데, 트라이G 고유의 호석 감정 시스템과 관련되어있다. 트라이G에서는 캐릭터 생성과 동시에 소위 말하는 특정 '호석 테이블'이 결정되는데, 이 테이블이 결정되면 해당 테이블 안에선 나올 수 있는 호석의 종류가 각각 결정되어 있어서 절대로 나올 수 없는 호석이 존재한다. 즉 테이블에 따라 아예 작성이 불가능한 커스텀도 존재해서[17] 유저들의 원성이 자자한 상황. 게다가 이 호석 테이블은 한번 결정되면 절대로 바꿀 수가 없기 때문에 더 논란이 되었다.

여기서 끝나면 좋겠는데, 일부 테이블의 경우에는 호석 뿐만 아니라 장비 생산에 들어가는 특정 소재를 무슨 짓을 해도 얻을 수 없는 경우도 있다.[18] 예를 들어 일부 테이블의 경우에는 '녹슨 파편' 아이템이 절대 안 나와서 이 아이템이 들어가는 장비를 못 만든다던지[19], 일부 테이블의 경우는 녹슨 덩어리를 깠을 때 특정 무기군이 아예 출연하지 않는다던지 하는 식이다. 어느 시점부터 녹슨 조각이 나오지 않는 지옥 테이블도 존재한다! 이미 상당시간 진행한 유저들이 이런 테이블로 밝혀진 경우는 패치도 불가능하고 세이브 이전 등도 불가능하므로 얄짤없이 그냥 해당 컨텐츠를 포기하거나 새 캐릭터를 키우는 수밖에 없다. 꽤나 치명적인 버그임에도 캡콤은 이에 대한 패치를 진행하지 않았고 HD버전에서도 수정되지 않았다. 이런 '꽝 테이블'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 자체가 일종의 악마의 증명에 속하기 때문에 그렇다. 호석 테이블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위에서 말했듯 없고, 캐릭터를 생성할 때 특정 테이블로 맞추는 등의 방법밖에 없다.

그리고 마이세트에서 특정 행동을 취하면[20] 존재하지 않는 마이세트 창이 뜨면서 원래는 존재하지 않는 데이터 부분을 참조하면서 세이브파일의 변조가 일어나는 현상도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특정 상황에서 프리징이 발생해서 게임을 아예 껐다 켜야 되는 경우도 보고되고 있는데, 현재까지 명확히 밝혀진 건 ' 진오우거 소재의 헤비보우건을 들고 무기점에서 무기 생산 항목에 히든스나이퍼 혹은 길리스나이퍼, 잠포 하블 등의 무기를 선택해서 X버튼을 여러번 누르는 경우' 등이 전부이다. 이것도 뾰족한 해결책은 없고 그냥 알려진 특정 행동을 봉인하는 방법밖에 없다.

도움이 되는 버그도 존재하는데, 온라인 모드에서 식사 스킬「ネコの手配上手」[21]를 발동한 채로 상위 이벤트 퀘스트 '네기마! 추운 세계의 흡혈귀'를 가면 기기네블라 2마리를 잡아야지 오는 야옹택시티켓이 바로 와있어서 초고속으로 클리어할 수 있다. 해당 버그는 HD ver.에서도 가능하다. 위 방법으로 각종 상위 기기네블라 소재와 티켓 등을 얻을 수 있으며, 이 소재들을 이용해서 '진 굉단검'이라는 대검을 만들 수 있는데 상위 초반 무기 치고 매우 성능이 좋은 편이라 상위 입문이 힘들다면 써봄직하다.

6. Wii U 이식판

2012년 12월 8일 Wii U의 런칭 타이틀로 몬스터 헌터 트라이 G HD 버전이 발표되었고, 해외판인 몬스터 헌터 3 얼티밋도 함께 발표되었다. 트라이 G HD는 무료 온라인 플레이를 지원하며 3DS와 세이브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Wii U와 3DS간의 로컬 플레이도 가능하다.

3DS 버전의 피어스 버그를 비롯한 일부 버그가 수정되었으며, 이벤트 퀘스트도 기본 포함된다.

이식 퀄리티는 매우 뛰어나다. HD 해상도에 맞게 GUI는 전부 새로 그렸고[22], 텍스쳐도 고해상도로 새로 적용하였으며, 온라인 멀티플레이는 무료로 즐길 수 있고 서버 상태도 쾌적하다. 이후 발매된 몬스터 헌터 더블 크로스의 스위치 이식판도 서드 수준의 발이식은 아니어도 아쉬운 부분이 많다는 평가라 본작의 이식이 재평가되기도 했다. 비록 흥행에 실패한 Wii U로 발매되긴 했지만 몬스터 헌터 과거작의 이식판 중에서는 최고의 퀄리티라고 봐도 무방하다.

단점으로는 가변 60프레임이던 3DS에 비해 프레임 레이트가 40fps 정도로 낮고, 디스크판은 장비의 외관 확인 등 일부 상황에서 약간의 로딩이 있다. 그리고 3DS에 비해 약간의 입력 지연이 있다. 프레임 회피 시 상당히 불편하지만 회피성능이 있다면 못해먹을 정도는 아니다. 초기에는 부실한 한자 변환 등으로 일본어 채팅의 불편함도 지적됐지만 업데이트로 해결되었다.

3DS 및 Wii U의 온라인 서비스 종료로 이제 HD버전으로도 온라인 멀티는 불가능해졌지만, 이벤트 퀘스트를 새로 다운받을 수 없게 된 3DS와 달리 기본 내장되어 있다는 장점은 있다.

Wii U e샵에서 패킷 릴레이 툴이라는 소프트를 다운로드받으면 이식판 없이 3DS판으로도 멀티를 즐길 수 있었다. 단 방을 직접 만들 수 없다는 제약이 있다. 현재는 e샵 및 온라인 서비스 종료로 이용 불가.

7. 추가 등장 몬스터

<colbgcolor=#dddddd><colcolor=#373a3c><rowcolor=#373a3c> 소형 대형 합계
MH3 16 18 34
MHP3 5 19(25-6) 24(30-6)
기존 0 4 5
신규 0 10 10
합계 21 51 72
※ 도감 등재 기준. 어류 6종 포함시 76종.

몬스터 헌터 포터블 서드에서 잘렸던 수중전의 부활로, 같이 잘렸던 어류, 에피오스, 차나가블, 라기아크루스, 나발데우스가 돌아왔지만, 포터블 서드에서 추가 혹은 부활했던 도스팽고, 티가렉스, 티가렉스 아종, 아캄토름, 우캄루바스, 아마츠마가츠치는 트라이G에 추가되지 않았다.

7.1. 대형 몬스터

몬스터 헌터 트라이 · 트라이 G 의 대형 몬스터
<colbgcolor=white,#1f2023>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트라이 ]
{{{#!wiki style="margin-top:-29px;margin-bottom:-13px"
구룡
도스재기
파일:도스바기 3G 아이콘.webp
면구룡
도스바기
파일:쿠르페코 3G 아이콘.webp
채조
쿠르페코
파일:로아루드로스 3G 아이콘.png
수괴수
로아루드로스
파일:볼보로스 3G 아이콘.webp
토사룡
볼보로스
파일:차나가블 3G 아이콘.webp
등어룡
차나가블
파일:기기네블라 3G 아이콘.png
독괴룡
기기네블라
파일:리오레이아 3G 아이콘.png
자화룡
리오레이아
파일:리오레우스 3G 아이콘.webp
화룡
리오레우스
파일:디아블로스 3G 아이콘.webp
각룡
디아블로스
파일:벨리오로스 3G 아이콘.webp
빙아룡
벨리오로스
파일:우라간킨 3G 아이콘.png
폭추룡
우라간킨
파일:아그나코트르 3G 아이콘.webp
염과룡
아그나코트르
파일:라기아크루스 3G 아이콘.webp
해룡
라기아크루스
파일:이블조 3G 아이콘.png
공폭룡
이블조
파일:나발데우스 3G 아이콘.png
대해룡
나발데우스
파일:지엔 모란 3G 아이콘.png
봉산룡
지엔 모란
파일:??? 트라이 아이콘.webp
황흑룡
알바트리온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트라이 G ]
{{{#!wiki style="margin-top:-27px;margin-bottom:-12px"
독구룡
도스프로기
파일:아오아시라 3G 아이콘.webp
청웅수
아오아시라
파일:울크스스 3G 아이콘.png
백토수
울크스스
파일:랑그로토라 3G 아이콘.png
적갑수
랑그로토라
파일:쿠르페코 아종 3G 아이콘.png
홍채조
쿠르페코 아종
파일:로아루드로스 아종 3G 아이콘.png
자수괴수
로아루드로스 아종
파일:하플보카 3G 아이콘.webp
잠구룡
하플보카
파일:볼보로스 아종 3G 아이콘.png
빙쇄룡
볼보로스 아종
파일:기기네블라 아종 3G 아이콘.png
전괴룡
기기네블라 아종
파일:리오레이아 아종 3G 아이콘.webp
앵화룡
리오레이아 아종
파일:리오레이아 희소종 3G 아이콘.webp
금화룡
리오레이아 희소종
파일:리오레우스 아종 3G 아이콘.webp
창화룡
리오레우스 아종
파일:리오레우스 희소종 3G 아이콘.webp
은화룡
리오레우스 희소종
파일:디아블로스 아종 3G 아이콘.webp
흑각룡
디아블로스 아종
파일:도볼베르크 3G 아이콘.webp
미추룡
도볼베르크
파일:도볼베르크 아종 3G 아이콘.png
미부룡
도볼베르크 아종
파일:가노토토스 3G 아이콘.png
수룡
가노토토스
파일:가노토토스 아종 3G 아이콘.png
취수룡
가노토토스 아종
파일:벨리오로스 아종 3G 아이콘.webp
풍아룡
벨리오로스 아종
파일:우라간킨 아종 3G 아이콘.png
강추룡
우라간킨 아종
파일:아그나코트르 아종 3G 아이콘.webp
동과룡
아그나코트르 아종
파일:나르가쿠르가 3G 아이콘.webp
신룡
나르가쿠르가
파일:나르가쿠르가 아종 3G 아이콘.webp
녹신룡
나르가쿠르가 아종
파일:나르가쿠르가 희소종 3G 아이콘.webp
월신룡
나르가쿠르가 희소종
파일:진오우거 3G 아이콘.webp
뇌랑룡
진오우거
파일:진오우거 아종 3G 아이콘.webp
옥랑룡
진오우거 아종
파일:라기아크루스 아종 3G 아이콘.png
백해룡
라기아크루스 아종
파일:라기아크루스 희소종 3G 아이콘.png
명해룡
라기아크루스 희소종
파일:브라키디오스 3G 아이콘.png
쇄룡
브라키디오스
파일:미친 이블조 3G 아이콘.png
미친
이블조
파일:나발데우스 아종 3G 아이콘.png
황해룡
나발데우스 아종
파일:지엔 모란 아종 3G 아이콘.png
영산룡
지엔 모란 아종
파일:??? 트라이 아이콘.webp
연흑룡
그란 밀라오스
}}}}}}}}}

8. 관련 문서

9.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플랫폼 메타스코어 유저 평점


[[https://www.metacritic.com/game/monster-hunter-3-ultimate/|
82
]]


[[https://www.metacritic.com/game/monster-hunter-3-ultimate/user-reviews/|
8.2
]]

9.1. 장점

9.2. 복합적 평가

9.3. 단점

10. 흥행

2011년 12월 21일, 캡콤에서는 일본내에서 백만장이 출하되었음을 공식 발표하였다. 2012년 1월 첫주, 일본 내 판매량이 백만장을 돌파. 2012년 상반기 이후 150만 장을 넘겼다.

11. 기타



[1] New 닌텐도 3DS 대응 [2] 한글 패치 [3] 이후 MH3G HD Ver.과 동일한 방식을 채용한 몬스터 헌터 더블 크로스 닌텐도 스위치 버전에서도 적용되었다(일본판 한정). 대신 온라인 환경의 경우 유로 방식인 관계상 2018년 9월부터 서비스될 예정인 닌텐도 스위치 온라인에 가입해주지 않으면 안된다. [4] '물 속에서는 활이나 피리를 쓸 수 없잖아'라며 스스로를 납득시키던 팬들이지만 한순간에 새됐다(…). [5] 대상의 움직임에 따라 그림자도 변하는 방식. [6] 다만 어디까지나 지상전의 경우이고, 수중전의 경우 확장 슬라이드 패드가 없으면 굉장히 답답하다는 평이 대다수. [7] xbox360에서의 몬헌 프론티아 조작방식과 동일하게 조작 가능하다. [8] 현재 wii u용 몬헌3G 게임 서버는 닌텐도의 지원하에 운영되며, 몬헌4부터는 기본 지원 예정. [9] '우리가 지원 안해줘도 닌텐도 게임은 wifi 대전이 되는게 많으니까'라는 모양(…). [10] 서드에 등장했던 몬스터들 중 트라이 G에 나오지 않는 몬스터는 아마츠마가츠치 티가렉스, 아캄트룸, 우캄루바스, 도스팽고(...)의 다섯 종류이다. [11] 이펙트의 경우 가장 쉽게 체감할 수 있는 것이 건랜스의 포격 히트시 나타나는 불꽃 효과. 맞았는지 아닌지 애매하던 서드와는 달리 상당히 리얼한 효과를 제공한다. [12] 신호를 주면 함정을 깐다. 쿨은 약 15분으로 매우 길다. [13] 함정을 깔고 신호를 주면 함정 위에서 어그로를 끄는 것 외에도 여러 잡다한 효과가 있다. [14] 신호를 주면 다른 기면족을 대포알로 날려버린다. 날려지는 기면족은 바로 리타이어. 대포의 대미지는 날려지는 기면족의 스펙만으로 정해지는데, 잘 세팅하면 발사 한번에 대형나무통폭탄G 3개분이라는 미친 화력을 자랑한다. 참격 타격 속성을 동시에 가지기 때문에 대포만으로 부위파괴도 가능. 사거리 또한 무진장 길어 하늘 위로 날아간 알바트리온까지 맞출 수 있다. 여러모로 챠챠와 카얀바가 최고의 오토모 소리를 듣게 만들어주는 일등공신 [15] 연말에 맞춰 발매하려고 무리했는지, 발표 후 발매까지 3개월밖에 걸리지 않았다. [16] 한번 받은 이력이 있다면 재다운로드는 가능. 다만 장기적으로는 막힐 것이다. [17] 특히 각성과 예리도+1이 동시에 들어가는 커스텀 등은 일부 매우 좋은 호석이 들어가있는 테이블에서만 작성이 가능하다. 물론 스킬 하나정도 포기하면 다른 테이블도 얼추 비슷한 스킬구성이 나오긴 하지만, 역시 좀 찜찜하긴 하다. [18] 쉽게 말하면, 자기 호석 테이블을 모르고 몇백시간을 진행한 경우라도 이런 테이블로 밝혀진 경우는 절대로 해당 장비를 생산할 수 없다! [19] 녹슨 파편과 광석 소재로 제작하는 아티어셋이 각성이 들어가는 커스텀에 자주 등장하기에 이런 경우 해당 커스텀 자체를 완성시키지 못할 가능성이 농후해진다. 특히 이런 버그성 테이블은 호석도 시원찮은거만 주기에... [20] 정확히는 마이세트 9~14 항목에서 터치패널의 17~24 항목과 십자키 아래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21] 몬스터 헌터 4G 기준 '야옹철저준비'로 번역된다. 요리 조합은 해물+술, 요리법은 찌기. [22] 사실 HD 이식작이라면 당연히 해야 하는 것이지만, PSP 당시의 저해상도 GUI를 그대로 때려박아서 비웃음을 산 포터블 서드 HD 버전의 전례가 있다 보니 상대적으로 고평가받았다. [23] 일본에서는 빈틈 지우기(隙消し)라고 불린다. [24] 트라이 G뿐만 아니라 다른 3DS 게임들도 본체 업데이트 이후 프레임 저하 문제가 많이 개선되었다. [25] ZL, ZR 버튼과 C 스틱이 추가된 후속기기인 New 닌텐도 3DS에서 플레이할 경우 기존의 확장 슬라이드 패드 역할을 완벽하게 커버하기 때문에 배터리 사용시간이 크게 줄어드는 문제는 해결되었다. [26] 무엇보다 지상전과는 달리 돌격이 상하좌우 360도 어디나 마구 뚫고 다니는 궁극무기로 돌변한 랜스가 너무 강력해서 타 무기 사용자들의 불만이 많았다. [27] 선브레이크까지 나온 지금 시점으로 4(G)의 단차와 길퀘, 발굴무기는 월드가 어느정도 계승했으며, (더블)크로스의 수렵스타일과 수렵기술은 라이즈가 이어갔지만, 여전히 수중전은 대체재가 나오고 있지 않으며, 또한 수중 전용 몬스터들도 여전히 3G를 끝으로 등장하고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