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18:55:01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새로운 시대의 문

말딸 극장판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애니메이션
,
,
,
,
,

파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png
{{{#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일반
메인 페이지 | 출시 과정 | 등장인물 | 우마무스메 목록 | 우마무스메 분류 | 트레센 학원 관계자 | 설정 ( 트레센 학원)
인게임 정보
캐릭터 인게임 정보 | 시스템 | 능력치 | 미션 및 칭호 | 별명
URA | 아오하루배 | 클라이맥스 | 그랜드 라이브 | 그랜드 마스터즈 | 프로젝트 L'Arc | U.A.F. | 대풍식제
이벤트
스토리 이벤트 | 레전드 레이스 | 챔피언스 미팅 ( 1회차 2회차 3회차 4회차)
애니메이션 ( 1기 우마욘 2기 우마유루 RTTT 3기 극장판)
만화 ( 신데렐라 그레이 | 스타 블로섬) | 음반 ( STARTING GATE) ( 애니메이션) ( WINNING LIVE)
| 도주 시스터즈 | 열혈 우당탕탕 대감사제!
기타
공식 홈페이지 | 일섭갤 | 한섭갤 | 트레센갤 | 채널 | 사건 사고 | 원화가 트위터 논란 | 2022년 한섭 운영 미숙 파동 ( 전개 (10월 이후) 간담회 환불 소송 사건) | 평가 | 경마계 영향 | 2차 창작 | 한자 표기 | 라이브
}}}}}}}}}}}} ||

우마무스메 PRETTY DERBY
새로운 시대의 문
(2024)
ウマ プリティーダービー新時代の扉
Umamusume: Pretty Derby BEGINNING OF A NEW ERA
파일:극장판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신시대의 문 국내 메인 키 비주얼.png
<colbgcolor=#ffffff,#010101><colcolor=#e87f8d,#e87f8d> 장르 경마, 스포츠
감독 야마모토 켄
시나리오 디렉터 코바리 테츠야(小針哲也)
스토리 원안
콘티 야마모토 켄
이시이 토시마사[1]
나카야마 나오야[L]
연출 야마모토 켄
후치모토 슈헤이
쿠로야나기 토시마사
랴오 청즈(廖 程芝)
나카야마 나오야[L]
오카모토 마나부연출 보좌
각본 요시무라 키요코(吉村清子)
원작 Cygames
제작 ○○
주연 후지모토 유리, 우에사카 스미레, 오구라 유이, 후쿠시마 하루나
캐릭터 디자인 야마자키 준
총 작화감독
작화감독
[ 펼치기 · 접기 ]
오치아이 료스케(落合良亮)
후쿠모토 요스케(福元陽介)
미야치
후치모토 슈헤이
미노시마 아야카
TOMATO
노무라 마사시(野村雅史)
야마모토 슈토(山本脩斗)
나카야마 나오야
액션 작화감독 야마모토 켄
후치모토 슈헤이
와타베 타카히로(渡部尭皓)
원화
[ 펼치기 · 접기 ]
스기타 슈
마에나미 타케시
미노시마 아야카
히사타케 이오리(久武伊織)
니시타니 슈헤이(西谷衆平)
미야자키 테루(宮崎 輝)
오키타 히로후미
TOMATO
ump
호네호네
사카즈메 타카히토
에노키도 슌
오오시마 토야
사토 토시유키
이스타
스고로쿠
saucelot
야마모토 켄
케로리라
테노히라
미톤
미야치
양리에쥔(楊烈駿)
야마자키 소타
노무라 마사시
츠지 아야카
이토 유키(伊藤優希)
세오 켄
덩 자메(鄧 佳湄)
후치모토 슈헤이
후쿠모토 요스케
오다시
후쿠로 P(フクロウP)
모로토미 나오야
시게쿠니 유지(重国勇二)
온다 나오유키
이마오카 노리유키
코지마 타카시
요시나리 코우나레이션 파트
Mahmoud MOFTAH제2원화
36.5°C제2원화
Nii제2원화
아이네 코우제2원화
치나제2원화
rui제2원화
동화 검사 니시타니 슈헤이
미술 감독 ○○
색채 설계 ○○
프롭 디자인 오다시
CG 감독 ○○
촬영 감독 ○○
편집 ○○
음향 감독 ○○
음악 ○○
주제곡 ○○
프로듀서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미조구치 타다시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 CygamesPictures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플러스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 도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플러스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4년 5월 2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7월 11일
파일:홍콩 국기.svg 2024년 8월 1일
파일:대만 국기.svg 2024년 8월 2일
화면비 ○○
상영 시간 107분[4][5]
제작비 ○○
월드 박스오피스 $○○
북미 박스오피스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명
스트리밍 (스트리밍 서비스사 이름) [6]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관람가
공식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개봉 전 정보3. 포스터4. 예고편5. 시놉시스6.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7. 설정8. 에피소드 가이드9. 줄거리10. 주제가11. 평가
11.1. 개봉 전11.2. 개봉 후
12. 흥행
12.1. 대한민국12.2. 일본12.3. 북미 (미국·캐나다)12.4. 중국12.5. 대만12.6. 영국12.7. 기타 국가
13. 미디어 믹스14. 기타

[clearfix]

1. 개요

最強はオレだ
최강은 나다
Cygames의 모바일 게임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를 원작으로 하는 극장판[7]. 감독은 야마모토 켄, 제작사는 CygamesPictures.

아그네스 타키온, 정글 포켓, 맨하탄 카페의 01세대를 주역으로 한 극장판 애니메이션이다. 주인공은 정글 포켓.

2. 개봉 전 정보

3. 포스터

파일:새로운 시대의 문.jpg
파일:극장판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신시대의 문 메인 키 비주얼.jpg
티저 포스터 메인 포스터

4. 예고편

첫공개 특보
특보 2탄
예고

5. 시놉시스

달리기에서 최강을 목표로 호언하는 정글 포켓
<트윙클 시리즈> 에서 후지 키세키의 달리기에 충격을 받아 레이스의 세계로 뛰어든다.
트레이너와 함께 데뷔를 완수하고 정글 포켓은 평생
한 번밖에 달릴 수 없는 영예 있는 클래식 삼관 레이스에 도전한다.
그러나 그곳에 가로막는 것은 아그네스 타키온이나 맨하탄 카페같은 동세대 경쟁자들이었다.

새로운 시대의 문을 여는 뜨거운 싸움이, 지금 시작된다 —— .

6.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mv_logo..png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새로운 시대의 문
등장인물 & 성우진
파일:정글 포켓 애니메이션.png 파일:아그네스 타키온 애니메이션.png 파일:맨하탄 카페 애니메이션.png 파일:단츠 플레임 애니메이션.png
정글 포켓
CV. 후지모토 유리
아그네스 타키온
CV. 우에사카 스미레
맨하탄 카페
CV. 오구라 유이
단츠 플레임
CV. 후쿠시마 하루나

7.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설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에피소드 가이드

9. 줄거리

10. 주제가

주제가
Ready!! Steady!! Derby!!
MV ver.
Full ver.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e87f8d,#010101> 노래 정글 포켓(CV. 후지모토 유리)
아그네스 타키온(CV. 우에사카 스미레)
맨하탄 카페(CV. 오구라 유이)
단츠 플레임(CV. 후쿠시마 하루나)
작사 오오이시 마사요시
작곡
편곡 eba (F.M.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走って 走って
하싯테 하싯테
달려서 달려서
憧れを越えて
아코가레오 코에테
동경을 넘어서
(Ready!! Steady!! Derby!!)

まだ見たことのないスピードの向こう側へ
마다 미타 코토노나이 스피-도노 무코-가와에
아직 본 적 없는, 스피드의 너머로
(ウォームアップは完璧さ!)
(워-무 앗푸와 칸페키사!)
(준비운동은 완벽해!)
地球をほら踏み込む蹄鉄
지큐-오 호라 후미코무 테이테츠
지구를 이렇게 짓밟는 편자
ゴール前のキセキ 仕掛ける場所は最終コーナー
고-루 마에노 키세키 시카케루 바쇼와 사이슈-코-나-
결승선 앞의 기적, 치고 나갈 곳은 최종 코너
あとは行けるとこまで息を切らしてたい
아토와 이케루토코마데 이키오 키라시테타이
남은건 갈 수 있을 때 까지 숨을 참고 싶어

何万と手を叩くオーディエンス
난만토 테오 타타쿠 오-디엔스
몇만이나 되는 손뼉 치는 청중
割れんばかり響く大歓声
와렌 바카리 히비쿠 다이칸세-
깨질듯이 울리는 대환성
ファンファーレが鳴る
팡파-레가 나루
팡파레가 울려
心音が昂(たか)まる
신-온가 타카마루
심장소리가 솟구쳐
動き出す秒針 夢のゲートが開く
우고키다스 뵤신 유메노 게-토가 히라쿠
움직이는 초침, 꿈의 게이트가 열리네

「いくぞー!」
「이쿠조-!」
「가자!」

走って(ハイ!) 走って(ハイ!)
하싯테(하이!) 하싯테(하이!)
달려서(그래!) 달려서(그래!)
憧れを追い越して
아코가레오 오이코시테
동경을 추월하여
次は誰の番だ!? さあ目指すはスーパースター
츠기와 다레노 반다?! 사- 메자스와 수-파-스타-
다음은 누구 차례지?! 자, 목표는 슈퍼 스타
生きてく(ハイ!) 意味なんて(ハイ!)
이키테쿠(하이!) 이미난테(하이!)
살아가는(그래!) 이유 따윈(그래!)
ぶっちぎった後で ついてくる
붓치깃타 아토데 츠이테쿠루
크게 이긴 뒤에 따라오는거야
(勝ちたい!)そうこれは本能
(카치타이!) 소- 코레와 혼노-
(이기고 싶어!) 그래 이건 본능
(走りたい!)止まない衝動
(하시리타이!) 야마나이 쇼-도-
(달리고 싶어!) 그치지 않는 충동
(叫びたい!)勝利の雄叫びよ 轟け!
(사케비타이!) 쇼-리노 오타케비요 토도로케!
(외치고 싶어!) 승리의 함성이여, 울려퍼져라!

誰かとバチバチ競うことでしか
다레카토 파치파치 키소-코토데시카
누군가와 치열하게 겨루는 것으로만
到達し得ない輝かしいゴールライン
토-타츠시에나이 카가야카시이 고-루라인
도달할 수 있는 눈부신 결승선
AH どんな理屈でも言語化できない感情
AH 돈나 리쿠츠데모 겐고카데키나이 칸죠-
AH 어떤 이치로도 말로 할 수 없는 감정

科学を超えて オカルトを超えて
카가쿠오 코에테 오카루토오 코에테
과학을 넘어서 오컬트를 넘어서
熱い勝負したい!したい!したい!
아츠이 쇼-부 시타이! 시타이! 시타이!
뜨거운 승부를 하고파! 하고파! 하고파!
どちらが最強か
도치라가 사이쿄-카
누가 최강인지
決めようか好敵手
키메요-가 코테키슈-
정해보자고 호적수
速い者が勝つ 何も言い訳はなしさ
하야이 모노가 카츠 나니모 이이와케와 나시사
빠른 자가 이기는걸로, 아무 핑계도 못 대게 말야

「よーいどん!」
「요-이 돈!」
「준비, 땅!」

飛ばして(ハイ!) 飛ばして(ハイ!)
토바시테(하이!) 토바시테(하이!)
뛰쳐나가(그래!) 뛰쳐나가(그래!)
涙さえ振り切って
나미다 사에 후리킷테
눈물조차 뿌리치고
前に足を出すんだ 悩む暇なんてない
마에니 아시오 다슨다 나야무 히마난테나이
앞으로 발을 내밀어, 미워할 틈은 없어
答えを(ハイ!) 出すのは(ハイ!)
코타에오(하이!) 다스노와(하이!)
해답을(그래!) 내놓는 건(그래!)
ゴールした後でも遅くない
고-루시타 아토데모 오소쿠나이
결승선을 넘은 후라도 늦지 않아
(Go Fight!)抗えぬ本能
(Go Fight!) 아라가에누 혼노-
(Go Fight!) 저항할 수 없는 본능
(絶対!)譲れない頂上
(젯타이!) 유즈레나이 쵸-죠-
(반드시!) 용서할 수 없는 정상
(騒ぎたい!)王者の雄叫びに続け!
(사와기타이!) 오-쟈노 오타케비니 츠즈케!
(떠들고 싶어!) 챔피언의 외침을 뒤따르라!

(Ready!! Steady!! Derby!!)
「いくぞー!」
「이쿠조-!」
「가자!」

どんなことが起こったって
돈나 코토가 오콧탓테
어떤 일이 일어나더라도
レースが止まらないように
레-스가 토마라나이 요-니
레이스가 멈추지 않도록
ずっと続いてゆく この友情
즛토 츠즈이테유쿠 코노 유-죠-
계속 이어져 가는 이 우정
憎まれ口をたたいたって
니쿠마레 쿠치오 타타이탓테
증오로 찬 말을 내뱉더라도
みんな一列になれば
민나 이치레츠니 나레요
모두 한 줄로 서는거야
AH てっぺんめがけて
AH 텟펜 메가케테
AH 정점을 노리고
位置について よーい
이치니 츠이테 요-이
제자리에 서서, 준비―

―走って 走って
―하싯테 하싯테
―달려서 달려서


走って(ハイ!) 走って(ハイ!)
하싯테(하이!) 하싯테(하이!)
달려서(그래!) 달려서(그래!)
憧れを追い越して
아코가레오 오이코시테
동경을 추월하여
次は誰の番だ!? さあ目指すはスーパースター
츠기와 다레노 반다?! 사- 메자스와 수-파-스타-
다음은 누구 차례지?! 자, 목표는 슈퍼 스타
生きてく(ハイ!) 意味なんて(ハイ!)
이키테쿠(하이!) 이미난테(하이!)
살아가는(그래!) 이유 따윈(그래!)
ぶっちぎった後で ついてくる
붓치깃타 아토데 츠이테쿠루
크게 이긴 뒤에 따라오는거야
(勝ちたい!)そうこれは本能
(카치타이!) 소- 코레와 혼노-
(이기고 싶어!) 그래 이건 본능
(走りたい!)止まない衝動
(하시리타이!) 야마나이 쇼-도-
(달리고 싶어!) 그치지 않는 충동
(叫びたい!)勝利の雄叫びよ 轟け!
(사케비타이!) 쇼-리노 오타케비요 토도로케!
(외치고 싶어!) 승리의 함성이여, 울려퍼져라!

(Ready!! Steady!! Derby!!)
}}}}}}}}}

11.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

11.1. 개봉 전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ROAD TO THE TOP에서 캐릭터 디자인 및 총 작화감독을 담당해 우수한 작화를 선보인 야마자키 준이 본작에서도 캐릭터 디자인 및 총 작화감독으로 참여하고, 좋은 연출력으로 높은 명성을 보유한데다 팬들에게 고평가를 받았던 ROAD TO THE TOP의 오프닝을 연출한 야마모토 켄이 감독으로 발표되면서 기대가 높다. 영상 퀄리티는 우려할 필요가 없는 라인업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스토리 원안 및 시나리오 디렉터가 혹평받은 전작 3기의 코바리 테츠야라 이에 대한 우려의 반응도 있다. 그러나 코바리는 ROAD TO THE TOP에서도 시나리오 디렉터를 맡았으며, 본래 애니메이션에서 각본의 문제는 감독 지분이 큰 만큼 야마모토 감독이 어떻게 조율하느냐에 따라 극장판의 스토리 평가가 판가름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아무리 총 작화감독이 ROAD TO THE TOP과 같다고 해도 감독인 야마모토 켄이 강렬한 느낌을 주는 일그러진 작화를 추구해서 그 부분에서 호불호가 갈릴 수가 있다.[8] 실제로 공개되는 PV나 포스터들을 보면 감독의 의향에 맞춘 것인지 평소의 야마자키 준 작화와 느낌이 다르며, 특히 아그네스 타키온은 광기어린 얼굴개그를 짓는 설정화가 유출되었는데 이에 대해서 호불호가 갈렸다.[9]

11.2. 개봉 후

시사회 평은 굉장히 좋다. 이런 시사회는 팬들만 가서 감상이 편향되는 경향이 있지만 우마무스메 팬덤은 바로 얼마 전에 다른 감독 다른 제작사에서 만든 TVA 3기의 실패로 신경이 상당히 예민해진 상태였고, 해당 작품의 비판에도 적극적이었으므로 호평이 나온 건 고무적이다.

개봉 후에도 호평이 이어졌다. 야마모토 켄 감독과 그의 인맥이 총동원되어 참여한 호화 애니메이터들이 그려낸 경기 장면 하나하나가 강렬해서 박진감 넘치게 연출했으며, 우마무스메 IP가 표방하는 주제의식 및 캐릭터 조명은 물론 신규 우마무스메와 기존 우마무스메들의 새로운 면면들까지 묘사해 팬서비스도 충실히 넣었다. 거기다 라이브 연출 전문가 나카야마 나오야가 고퀄리티로 연출한 위닝 라이브는 덤이다. 그래서 RTTT에 이어 우마무스메 팬덤을 위한 헌정작이자, 단독 애니메이션 영화로만 봐도 충분한 수작이라는 고평가를 얻었다.

어딘가 내일의 죠 같다는 평이 많은데 야마모토 켄 감독이 내일의 죠 오마주 작품이 맞다고 밝혔다.

다양한 평론가와 영화 감독들도 해당 영화에 대해 호평했다.

애니메이션 평론가 타나카 다이스케(田中大裕)는 "정말 훌륭하다. 이건 흡사 데자키 오사무 내일의 죠 2같다. 너무 굉장하다." 라고 평했다. #

애니메이션 평론가 마에Q는 "정말 훌륭하다. 이런 걸 보고 싶어서 난 애니메이션을 연구해온 것일지도 모른다." 라고 호평했다. # 마에Q도 이 작품은 어딘가 내일의 죠 같다고 평했다.

애니메이션 감독 사이토 케이이치로는 "최고의 애니메이션 영화였다." 라고 호평했다. #

애니메이션 작화 평론가 오구로 유이치로는 "꽤 좋았고 작화나 연출을 좋아하는 사람과 지금까지의 우마무스메 애니메이션을 보지 않은 사람도 괜찮다며 영화관에서의 감상을 추천한다." 라고 호평했다. #[10]

애니메이션 감독 신카이 마코토는 "장면의 만듦새가 정말로 훌륭하다. 음향도 연출도 작극도, 모든 것이 확신으로 가득 차 있다. 무엇보다 감동한 부분은 색채 설계이다. 초반 지하도 장면에서의 빛과 그림자, 시계가 좁아지며 숨이 막히는 듯한 느낌이 드는 레이스 장면 등, 전율을 느꼈다." 라고 호평했다. 그런데 우마무스메에 대한 지식이 전무한 상태로 감상하다보니 " 왜 갑자기 라이브를!?"라고 놀라기도 했다. #

12.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2024년 5월 24일 $6,703,479 2024년 6월 16일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미국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북미
미정 미개봉 미정

[[중국|]][[틀:국기|]][[틀:국기|]]
미정 미개봉 미정

[[일본|]][[틀:국기|]][[틀:국기|]]
2024년 5월 24일 $6,703,479 2024년 6월 16일

12.1.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11]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명 -명 미집계 -원 -원
1주차 20XX-XX-XX. 1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3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4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5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6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7일차(화) -명 -위 -원
2주차 20XX-XX-XX. 8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9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0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1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2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13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16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7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8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9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0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3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24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25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26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7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8일차(화) -명 -위 -원
}}}}}}}}}||

일본 개봉 첫날 무대인사에서 한국, 홍콩, 대만 지역에서의 개봉이 발표되었다. 시기는 미정이었다. #

다만, 애니플러스에서 전작인 RTTT 극장상영용 재편집판을 2024년 6월 27일부터 2주간 상영한다는 것을 공개한 이상, 아무리 빨라도 7월 11일 이후로 추정할 수 있으며, 역시 메가박스 7월 11일 단독 개봉으로 확정되었다.

12.2. 일본

개종 첫날 1억 5천5백만엔을 기록하며 1위로 출발했다. 영화흥행순위 집계사이트의 트윗

2024년 극장판 애니메이션 개봉작 중에선 극장판 블루 록 -EPISODE 나기- 거의 동률이며, 현재 1차 목표치는 흥행수입 15억엔대이다.

개봉 24일차에 수익 10억엔을 돌파했다. 10억엔이란 수치가 크게 느껴지지 않을 수도 있지만, 2023년도 일본 개봉영화 1232편 중 10억엔 돌파 영화가 49편 뿐이었다는 점과 자국산 애니메이션 영화는 주로 점프계열 작품이 대세라는 점을 생각하면 오타쿠 대상의 미소녀게임 원작의 극장 애니메이션으로는 상당한 수준의 흥행성적이다.
[  개봉 1주차 순위  ]
파일:2024년 21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첫 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2위에 자리했다.
[  개봉 2주차 순위  ]
파일:2024년 22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2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4위로 하락했다.
[  개봉 3주차 순위  ]
파일:2024년 23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3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5위로 하락했다.
[  개봉 4주차 순위  ]
파일:2024년 24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4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5위에 그쳤다.
[  개봉 5주차 순위  ]
파일:2024년 25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5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9위로 내려 앉았다.

12.3. 북미 (미국·캐나다)

12.4. 중국

12.5. 대만

12.6. 영국

12.7. 기타 국가

13. 미디어 믹스

극장 상영 4일 뒤인 2024년 5월 28일부터 카도카와 문고에서 공식으로 노벨라이즈한 소설 - 극장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새로운 시대의 문』이 발매될 예정이다.

14. 기타



[1] 야마모토 켄 감독은 이시이가 감독한 애니메이션 86 -에이티식스-의 2쿨 오프닝을 만든 적이 있으며 이시이를 존경한다고 한다. [L] 라이브 [L] [4] # [5] 제작 국가인 일본에서는 상영 시간이 100분으로 책정되었다. [6] '▶'가 링크된 주소는 해당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작품이 방송되고 있는 주소로 기입합니다. [7] 사이게임즈의 오리지널 IP 중에서 최초로 제작된 극장판 애니메이션이다. [8] 연출자는 다르지만 ROAD TO THE TOP 2화의 후반부 레이스 장면이나, 나루토의 페인 전에서 나온 일그러진 작화를 떠올리면 쉽다. 실제로도 공식 PV에서도 볼 수 있듯이 야마모토 켄 답게 달리기 작화가 과장되어 있다. [9] 이 설정화 및 예고편 등에서 등장한 타키온의 표정은 성우들 사이에서도 화재였는지, 개봉 전 파카라이브에 출연한 담당성우 우에사카 스미레가 직접 따라해 보기도 했다. 물론 생긴 것 답지 않게 예능감 넘치는 우에사카다 보니 개그로 만들어 버리긴 했지만 어쨌든 공식 선전방송에서도 언급이 될 정도로 화재가 된 작화라는 것. [10] 오구로는 TV판 1 ~ 3기는 호평한 적 없으며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ROAD TO THE TOP과 새로운 시대의 문만 호평했다. [11] ~ 20XX/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12] 2000년 아리마 기념 출발 직전 경쟁마 중 한마리가 갑자기 흥분하자 거기에 놀라 몸부림 치다 벽에 얼굴을 부딫혀 코피가 나고 한쪽 눈도 다친 위험한 상태에 놓였지만, 출발 직전이라 어쩔 수 없이 출전을 강행했었다. 영화에서는 레이스 도중 튀어오른 돌조각이 부딪히는 것으로 각색. [13] 당시 도토는 외각에서 3번째로 빠른 말각을 보이며 맹추격 했으나 단단한 마군을 뚫고 2번째로 빠른 말각으로 돌파를 해 낸 오페라 오에게 코차이 패배를 당한다. [14] 유년기에 자신을 찾아내준 트레이너와 함께 '트윙클 시리즈'의 정점을 목표로 노력을 거듭한다 [15] 제목: 아직 별은 돈다 AFTER "ROAD TO THE TOP" [16] 2001년부터 처음으로 외산마가 클래식 노선에 출주할 수 있게 바뀌었고, 경주마들의 연령표시를 세는나이에서 연 나이로 바꾸었다. [17] 당시에는 라디오 탄파배 3세 스테이크스라고 불렸다. [18] 또한 당시에는 한신 경마장에서 열린 경주였지만, 예고편에 드러나는 경기장 모습을 보면 게임판 기준인 지금의 나카야마 경마장에서 열린 것으로 교체된 걸 확인할 수 있다. [19] 이미 애니 1기 OVA였던 EXTRA R부터 당시까지만 해도 G2 경기였던 오사카배를 현재 기준인 G1 경기로 높여놓은 전례가 있다. [20] 당시 경기에서 3착으로 들어온 이가 쿠로후네로, 게이트 번호 기준으로 5번에 해당한다. 이 때 타키온은 2조 2번, 정글 포켓은 4조 4번에서 출발했다. [21] 이 사람은 경마 외의 돈벌이 수단으로 경주마를 써서는 안 된다는 철학을 가지고 있어서 자기 소유 경주마들을 실장 허가는 커녕 매체 이용 허가도 잘 안내주기로 유명한 사람이다. [22] 쿠로후네 사건 자체가 페리 제독이 이끈 증기선이 일본에 내항한 사건에서 온 이름. [23] 이름은 타나베이며, 성우는 오가타 켄이치이다. [24] 성우: 사쿠라이 미유키 [25] 성우: 히토미 사야 [26] 성우: 이고마 유리에 [27] 해당 분석이 큰 힘을 얻게 되자, 현재 은퇴한 오켄 브루스 리를 관리하는 <우라카와 우준 아에루> 측에서 바로 반응을 보였다. 여기서 처음엔 모브 캐릭터였다가 나중에 정규 우마무스메로 실장된 사례를 일부러 문의하는 반응을 보면 공식 실장에 대한 기대도 은근 가진 듯. [28] 이름 때문에 재규어 메일 설도 있었지만 성별을 짐작할 수 있는 머리장식이 왼쪽이라 기각되었다. [29] 개그맨 사이토 신지의 말로, 사이토는 유명한 정글 포켓 팬이자 경마 게닌으로 애니 3기에도 본인역으로 출연한 적이 있다. [30] 유일하게 최근 세대인 2023년 클래식 세대로, 후나바시 경마장 소속으로 활동하고 있는 지방 쪽 현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