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23:17

레스 왈론드

왈론드에서 넘어옴
레스 왈론드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c30452><tablebg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LG 트윈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앤더슨 파일:미국 국기.svg
펠릭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펠릭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대톨라 파일:미국 국기.svg
해리거 파일:미국 국기.svg
테이텀 (2) 파일:미국 국기.svg
쿡슨 (3) (2)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 (3) 파일:미국 국기.svg
해리거 파일:미국 국기.svg
발데스 파일:미국 국기.svg
로마이어 (2) 파일:미국 국기.svg
린튼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만자니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퀸란 (2) 파일:미국 국기.svg
케펜 (3) 파일:미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쿡슨 (2)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트라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후타도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쿠퍼 (3) 파일:미국 국기.svg
클리어 파일:미국 국기.svg
마테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왈론드 (3) 파일:미국 국기.svg
아이바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라이어 (3) 파일:미국 국기.svg
텔레마코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베로커 (3)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 (2) 파일:미국 국기.svg
옥스프링 (3) 파일:호주 국기.svg
발데스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옥스프링 파일:호주 국기.svg
브라운 (2) 파일:미국 국기.svg
페타지니 (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타지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옥스프링 (2) 파일:호주 국기.svg
바우어 (3) (2)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 (3) 파일:미국 국기.svg
오카모토 파일:일본 국기.svg
곤잘레스 (2) 파일:멕시코 국기.svg
더마트레 (3) 파일:미국 국기.svg
주키치 파일:미국 국기.svg
리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주키치 파일:미국 국기.svg
리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주키치 파일:미국 국기.svg
리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오단 파일:미국 국기.svg
티포드 파일:미국 국기.svg
조쉬벨 (2) 파일:미국 국기.svg
스나이더 (3)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루카스 파일:미국 국기.svg
한나한 (2)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히메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코프랜드 (2) 파일:미국 국기.svg
허프 (3)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허프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니 (3) (2)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가르시아 파일:쿠바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조셉 (2) 파일:미국 국기.svg
페게로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 파일:멕시코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 (2) 파일:멕시코 국기.svg
보어 (3) 파일:미국 국기.svg
수아레즈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플럿코 파일:미국 국기.svg
루이즈 (2)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 (3)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플럿코 (2) 파일:미국 국기.svg
오스틴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2)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 (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오스틴 파일:미국 국기.svg
엔스 파일:미국 국기.svg
치리노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131230><tablebgcolor=#131230>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두산 베어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d700>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캐세레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캐세레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파머 파일:미국 국기.svg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파머 (2) 파일:미국 국기.svg
빅터콜 (3) 파일:러시아 국기.svg
니일 (2) 파일:미국 국기.svg
베넷 (3) (2) 파일:호주 국기.svg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빅터콜 파일:러시아 국기.svg
레스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d700>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이리키 파일:일본 국기.svg
쿨바 (2)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 (3) 파일:미국 국기.svg
레스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 (2)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트라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랜들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 (2)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 (3) 파일:미국 국기.svg
랜들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랜들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랜들 파일:미국 국기.svg
레스 (2)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어 (3) (2) 파일:미국 국기.svg
랜들 (1) 파일:미국 국기.svg
세데뇨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왓슨 (2) 파일:미국 국기.svg
니코스키 (3)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왈론드 파일:미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라미레즈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르난도 (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프록터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 (1)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올슨 (3) (2) 파일:미국 국기.svg
핸킨스 (3) 파일:미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볼스테드 (2) 파일:미국 국기.svg
마야 (3) 파일:쿠바 국기.svg
칸투 파일:멕시코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마야 (2) 파일:쿠바 국기.svg
스와잭 (3) 파일:미국 국기.svg
루츠 (2) 파일:미국 국기.svg
로메로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보우덴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스 파일:미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보우덴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스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후랭코프 파일:미국 국기.svg
파레디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반슬라이크 (3) (2) 파일:미국 국기.svg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후랭코프 파일:미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아이티 국기.svg
플렉센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타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아이티 국기.svg
미란다 파일:쿠바 국기.svg
로켓 파일:미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아이티 국기.svg
미란다 (2) 파일:쿠바 국기.svg
브랜든 (3) 파일:미국 국기.svg
스탁 파일:미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아이티 국기.svg
<rowcolor=#fff>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알칸타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딜런 (2) 파일:미국 국기.svg
브랜든 (3) 파일:미국 국기.svg
로하스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타라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발라조빅 (3) 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랜든 파일:미국 국기.svg
시라카와 (4) 파일:일본 국기.svg
니퍼트 (5)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 (2)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제러드 (3) 파일:캐나다 국기.svg
어빈 파일:미국 국기.svg
해치 파일:미국 국기.svg
케이브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5) 은퇴식 특별 엔트리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 ||

레스 왈론드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ff [[LG 트윈스|LG 트윈스]] 등번호 56번}}}
마테오
(2005~2005.6.15,)
왈론드
(2005.6.23.~2005)
아이바
(2006)
{{{#fff [[두산 베어스|두산 베어스]] 등번호 30번}}}
세데뇨
(2009)
왈론드
(2010)
라미레즈
(2011~2011.4.6.)
}}} ||
}}} ||
파일:레스왈론드.jpg
레스 왈론드
Les Walrond
본명 레슬리 데일 왈론드
Leslie Dale Walrond
출생 1976년 11월 7일 ([age(1976-11-07)]세)
미국 오클라호마 주 머스코지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털사 유니온 고등학교
신체 190cm, 92kg
포지션 투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1998년 드래프트 13라운드 (전체 378번, STL)
소속팀 캔자스시티 로열스 (2003)
LG 트윈스 (2005)
시카고 컵스 (2006~2007)
필라델피아 필리스 (2008)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2009)
두산 베어스 (2010)
등장곡 Kool & The Gang - Get Down on it

1. 개요2. 선수 경력3. 연도별 성적4. 은퇴 후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LG 트윈스, 두산 베어스 소속의 외국인 선수.

저니맨 투수로 야구선수 중 8개국[1]에서 승리를 쌓은 유일한 선수이며 라이언 사도스키와 같이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을 경험해본 선수이다.

2. 선수 경력

2.1.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절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지명을 받고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 1998년 데뷔한 그는 싱글 A SS급의 뉴 저시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승 4패 4.01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한 그는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다. 1999년 싱글 A 페오리아에서 활약하여 7승 10패 ERA 5.70을 기록하였다. 성적부진을 이유로 2000년 싱글 A 어드밴스 급의 포토맥으로 강등되고 만다.

그러나 구위상승으로 10승을 거두자 다음 해, 더블A 뉴 해븐으로 승격된다. 16경기 출장하여 2승 8패 ERA 3.87이라는 그럭저럭한 성적을 낸 그는 트리플A 진출을 목표로 많은 연습을 한다. 2002년 뉴 해븐에서 2승 1패 2.42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고 그해 바로 트리플A 멤피스로 승격된다. 멤피스에서 주축 선발로 활약하며 8승 7패 4.98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2002시즌 마이너 10승에 성공한다. 2003년 그는 높은 평균자책점, 제구력 등 때문에 더블A 테네시로 다시 돌아간다. 그는 트레이드를 통해 캔자스시티 이적을 성공시켰고, 더블 A 위치타에서 마이너리그 생활을 시작했다. 위치타에서 2승을 거두고 트리플A 오마하로 승격되 18경기 계투등판에서 3승 1패 2.45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는 등 좋은 활약을 펼쳤다. 그러나 캔자스시티에서는 알 수 없는 이유로 그를 다시 세인트루이스로 돌려보낸다. 트리플A 멤피스에서는 1점대 초반 평균자책점을 기록한다. 2004년 그는 캔자스시티 이적을 다시 하게 되고 마이너리그 14승을 거두는 등 맹활약을 펼쳤다. 2005년 왈론드는 플로리다 트리플A 앨버커키에 입단하여 4승 5패 4.57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고 퇴출당했다.

2.2. LG 트윈스

파일:lg왈론드.jpg

2005년 시즌 중 루벤 마테오의 대체 용병으로 LG 트윈스에 입단하고 초반에는 두산전에서 완투승을 따내며 잘 나가는 듯 했지만 시기가 지날수록 고질적인 제구력 문제가 드러나고 투구 패턴이 읽혀지는 등 고초를 경험했다. 결국 두산전 완투승 이후 9경기에서 모두 패전투수가 되는 부진을 겪으며 4승 10패 1세이브[2] 2홀드 ERA 5.04 라는 기록을 남기고 재계약에 실패했다.

2.3. 마이너 리그 시절

LG 트윈스와 재계약 불발 후 고국인 미국으로 돌아갔다. 2006~2007년에는 시카고 컵스 산하 마이너 팀에서 활약했다. 2006년과 2008년에는 잠깐 메이저리그에도 올라서 16경기에 등판했다.

2.4.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2009년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와 계약하여 센트럴리그 최하위의 팀성적에도 불구하고 5승 10패 방어율 4.80을 기록했다.

이 와중에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와의 경기에서 1루 악송구를 몇번이나 저지르며 화제가 되기도 했다.

2.5. 두산 베어스

파일:external/sports.chosun.com/a6l74149_12.jpg

2010년 두산 베어스와 계약하면서 5년 만에 대한민국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두산에 같이 들어와서 맹활약한 켈빈 히메네스와 달리 시즌 전 팔꿈치 통증으로 조금 늦게 합류하였고 2010년 4월 21일 노게임 선언된 잠실 SK전에서는 연속 볼넷과 밀어내기를 남발하여 최악의 제구난을 보였다.

이 사건으로 2군으로 강등당한 후, 김경문 감독이 퇴출을 시사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1군에 올라와 불펜에서 다시 감각을 찾은 후 2010년 5월 15일 문학 SK전에서 선발로 등판하여 제구난을 딛고 첫 승을 기록했고, #이후 출전한 4경기에서도 연속으로 1실점 이하로 막아 3승을 올리는 쾌조를 보여서 퇴출설을 불식시켰다. 시즌 초 부진했던 이유가 올해 초 여친과 헤어진 이후 많이 힘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여름에 보여줬던 모습과 달리 가을 들어 다시 시즌 초반으로 회귀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팬들을 불안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포스트시즌에서는 제대로 각성하며, 팀 투수진의 핵심으로 자리잡았다.

팀이 시리즈 전적 1패로 지던 2010년 9월 30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 롯데 자이언츠와의 2010년 준 플레이오프 2차전에서 스코어 1:1인 8회초에 등판하여 1⅔이닝 22투구수 1피안타 1탈삼진 무실점으로 호투했지만, 팀은 연장 10회초에 3점을 내주고 스코어 4:1로 졌다.

2010년 10월 2일 사직 야구장에서 열린 2010년 준플레이오프 3차전에서 팀이 스코어 6:2로 이기던 5회말 무사 1, 3루 상황에서 첫 타자이자 2번타자인 손아섭에게 희생플라이, 다음 타자 조성환에게 유격수 내야안타를 맞았는데, 유격수 손시헌이 송구 실책을 저질러 2루 주자마저 홈으로 들어와 스코어 6:4를 만들고 말았다. 그래도 추가 실점없이 3⅔이닝 52투구수 2피안타 1볼넷 2탈삼진 무실점으로 호투했고, 팀이 스코어 6:5로 이기면서 승리투수가 되었다.

2010년 준플레이오프 5경기 중 3경기에 등판하여 7⅔이닝 6피안타 1볼넷 3탈삼진 무실점, 1승을 기록했고 팀은 2연패 뒤 3연승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삼성 라이온즈와의 2010년 플레이오프 5경기에 전부 등판하여 7⅓이닝 3피안타 6볼넷 1사구(死球) 4탈삼진 2실점 2자책점 평균자책점 2.45, 2홀드를 기록했고 팀은 시리즈 전적 2승 3패로 탈락했다.

왈론드는 2010년 포스트시즌에서 10경기 중 8경기에 등판하여 15이닝 9피안타 7볼넷 1사구(死球) 7탈삼진 2실점 2자책점 평균자책점 1.20, 1승 2홀드를 기록했다. 왈론드가 2010년 포스트시즌에서 기록한 8경기 등판은, 10경기 전부 등판한 고창성에 이어 2번째로 많은 등판이었고, 15이닝은 4경기에서 17이닝을 던진 히메네스에 이어 2번째로 많은 이닝이었다.

이런 호투에도 불구하고 베어스는 또다시 우승에 실패하며 왈론드의 활약은 빛이 바랬다.[3][4]포스트시즌이 끝나고 두산은 그를 보류선수 명단에 올려놓았다. 이후 라몬 라미레즈 더스틴 니퍼트와 계약하며 왈론드와의 재계약을 포기했다.

2.6. 이후

이후 미국으로 돌아간 뒤 마이너리그에서 활동하다가 2012년에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3. 연도별 성적

역대 성적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03 KC 7 8 0 2 0 1 0.000 10.13 11 2 7 6 9 9 2.25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05 LG 19 89⅓ 4 10 1 2 0.286 5.04 85 12 51 68 56 50 1.50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06 CHC 10 17⅓ 0 1 0 0 0.000 6.23 19 2 12 21 13 12 1.79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08 PHI 6 10⅓ 1 1 0 0 0.500 6.10 13 0 9 12 7 7 2.13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09 요코하마 21 110⅔ 5 10 0 0 0.333 4.80 128 10 54 85 63 59 1.61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10 두산 29 129 7 9 0 0 0.438 4.95 143 13 64 100 84 71 1.53
MLB 통산
(3시즌)
23 35⅔ 1 4 0 1 0.200 7.07 43 4 28 39 29 28 2.00
NPB 통산
(1시즌)
21 110⅔ 5 10 0 0 0.333 4.80 128 10 54 85 63 59 1.61
KBO 통산
(2시즌)
48 218⅓ 11 19 1 2 0.367 4.99 228 25 115 168 140 121 1.52

4. 은퇴 후

2014년 2월 보스턴 레드삭스 스카우트로 임명되었다.

5. 관련 문서


[1] 대한민국, 미국, 캐나다, 멕시코, 일본, 푸에르토리코, 도미니카 공화국, 베네수엘라 [2] 그 해 SK와의 최종전에서 기록하였다. 한규식의 결승타에 이어 왈론드가 세이브를 기록하며 대형 고춧가루를 뿌렸고 그 결과 SK는 3위로 주저앉았다. [3] 결국 다음 시즌인 2011년 김경문 감독은 시즌 도중 해임되었다. 이후 NC 다이노스의 감독을 맡고 나서도 끝내 포스트시즌 우승에는 실패했다. 공교롭게도 두 팀 모두 김경문이 감독에서 물러난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우승을 차지하며 김경문의 평가는 더욱 깎였다. [4] 한편 이러한 방식의 무리한 투수 기용은 두산에서도 NC에서도 불펜자원 소모로 이어졌으며 2020 도쿄 올림픽 야구대표팀 감독 자리에서도 이런 운용을 반복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