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트릭 엔스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미네소타 트윈스 등번호 47번 | ||||
크레이그 브레슬로우 (2017) |
→ |
<colcolor=#fff> 디트릭 엔스 (2017) |
→ |
웨스 존슨 (2019~2022) |
|
탬파베이 레이스 등번호 75번 | |||||
결번 | → |
디트릭 엔스 (2021) |
→ |
크리스토페르 오간도 (2022) |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등번호 75번 | |||||
오니자키 유지 (2021) |
→ |
디트릭 엔스 (2022~2023) |
→ |
오쿠무라 코이치 (2024~) |
|
LG 트윈스 등번호 34번 | |||||
김대현 (2023) |
→ |
엔스 (2024) |
→ | 결번 |
|
|
디트릭 엔스 Dietrich Enns |
|
본명 |
디트릭 아서 엔스[1] Dietrich Arthur Enns |
출생 | 1991년 5월 16일 ([age(1991-05-16)]세) |
일리노이 주 프랭크퍼트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링컨웨이 이스트 고등학교 - 센트럴 미시간 대학교 |
신체 | 185cm / 95kg |
포지션 | 선발 투수 |
투타 | 좌투좌타 |
프로 입단 | 2012년 드래프트 19라운드 (전체 607번, NYY) |
소속팀 |
미네소타 트윈스 (2017) 탬파베이 레이스 (2021)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2022~2023) LG 트윈스 (2024) |
등장곡 | Dirty Heads - 〈Oxygen〉[2] |
가족 | 아내, 딸 |
종교 | 개신교 |
[clearfix]
1. 개요
미국 국적의 좌완 투수.2. 선수 경력
디트릭 엔스의 선수 경력 | |
통합 선수 경력: 디트릭 엔스/선수 경력 | |
2017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3. 피칭 스타일
151km/h 패스트볼[3] |
LG 트윈스로 합류하기 전에는 제구력이 좋지 않아 이닝 소화력에서 문제를 드러냈으며, 주무기인 포심과 커터마저 2023년에는 구종가치에서 음수를 기록하는 등 매우 좋지 못했다. 땅볼 유도율이 50%가 넘어가는 것도 아님에도 불구하고 전체 뜬공 타구 중 피홈런 비율이 2022년에는 8.9%, 2023년에도 7.6%를 기록하였다. 9이닝당 피홈런은 2022년에 1.03, 2023년에는 1.00. 그래도 외야가 무지막지하게 넓어 홈런 파크팩터가 낮은 잠실을 홈으로 사용하며, 구위와 구속 자체로 압도가 가능한 한 단계 아래인 한국에서[5] 어떤 모습을 보일지 미지수였다.
합류 후에도 리그 상위권 구속의 포심과 구종 가치 1위의 커터를 위주로 피칭 디자인을 하고 있다. 문제는 서드 피칭. 이로 인해 2024 시즌 초반에 크게 고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보완하고자 코치들의 피드백을 꾸준히 적용하며[6] 자신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수정하는 모습을 보였고, 그 중 커브는 리그 상위권 수준까지 구종가치를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4. 연도별 성적
4.1. MLB
디트릭 엔스의 역대 MLB 기록 | |||||||||||||||||
<rowcolor=#fff> 연도 | 팀 | 경기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fWAR | bWAR |
2017 | MIN | 2 | 0 | 0 | 0 | 0 | 4 | 6.75 | 7 | 2 | 1 | 0 | 2 | 2.00 | 71 | -0.1 | -0.1 |
<rowcolor=#fff> 연도 | 팀 | 경기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fWAR | bWAR |
2021 | TB | 9 | 2 | 0 | 2 | 0 | 22⅓ | 2.82 | 17 | 1 | 6 | 0 | 25 | 1.03 | 142 | 0.6 | 0.2 |
MLB 통산 (2시즌) |
11 | 2 | 0 | 2 | 0 | 26⅓ | 3.40 | 24 | 3 | 7 | 0 | 27 | 1.177 | 121 | 0.5 | 0.1 |
4.2. NPB
디트릭 엔스의 역대 NPB 기록 | |||||||||||||||
<rowcolor=#fff> 연도 | 소속 | 경기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탈삼진 | WHIP | WAR |
2022 | 세이부 | 23 | 10 | 7 | 0 | 0 | 122⅓ | .588 | 2.94 | 103 | 14 | 45 | 92 | 1.21 | 1.2 |
2023 | 12 | 1 | 10 | 0 | 0 | 54 | .091 | 5.17 | 53 | 6 | 23 | 30 | 1.41 | -0.2 | |
NPB 통산 (2시즌) |
35 | 11 | 17 | 0 | 0 | 176⅓ | .393 | 3.62 | 156 | 20 | 68 | 122 | 1.27 | 1.0 |
4.3. KBO
디트릭 엔스의 역대 KBO 기록 | |||||||||||||||||
<rowcolor=#ffffff>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FIP | ERA- | sWAR |
2024 | LG | 30 |
13 (3위) |
6 | 0 | 0 | 167⅔ | 4.19 | 169 | 16 | 50 | 6 | 157 | 1.31 | 4.03 | 87.84 | 3.75 |
KBO 통산 (1시즌) |
30 | 13 | 6 | 0 | 0 | 167⅔ | 4.19 | 169 | 16 | 50 | 6 | 157 | 1.31 | 4.03 | 87.84 | 3.75 |
5. 여담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시절 버치 스미스, 브라이언 오그레디와 함께 찍은 사진이 발굴되어 LG 팬들이 괜한 불안감을 갖게 만들었다. 그도 그럴 것이 당장 전임 애덤 플럿코와 그 전전임 앤드류 수아레즈가 온갖 부상 이슈와 가을야구에서의 형편없는 부진을 자주 봤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2024 시즌에서의 활약과 몸 상태에 따라 타일러 윌슨 이후 오랫동안 끊겼던 건강한 외인 선발 에이스의 계보를 다시 이어가게 될지, 아니면 위에서 설명한 전임들의 전철을 밟을 것인지 결정될 것으로 보여지나, 아니나 다를까 5월 현재 위의 오그레디와 비슷한 모습을 보이며[7][8] 퇴출이 유력해지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이후 반등하는 모습을 보이며 우상향 흐름을 타고 있고 그럭저럭 괜찮은 성적으로 시즌을 완주했다.
- 2023년 세이부 라이온즈에서 같이 뛰었던 데이비드 맥키넌과는 다른 팀에서 상대하게 되었다. 맥키넌이 최형우를 연상시키는 라이온즈에서의 생활에서 소외감을 느꼈다는 인터뷰를 하자 별명이 맥형우, 맥외감이 되었고[9][10] 같이 뛰었던 엔스는 딱히 그런 말을 한 적이 없자 엔우찬과 엔씹차라는 별명이 생겼다.[11][12] 그런데 맥키넌이 점점 부진하다가 방출되었고, 엔스가 반등했다.
- 등판 경기 한정 부진하면 엥스 혹은 뒤틀린 엔스[13]라고 불렸다.
- 유난히 롯데 자이언츠에 강한 면모를 보여준다. 단, 정훈에게는 피홈런을 2방이나 허용하는 등 굉장히 약한 편이다.
- 이닝 종료 시 혹은 강판 시 손가락으로 하늘을 찌르는 세리머니를 하기 때문에 콕콕엔스라는 별명이 생겼다. 다만, 해당 이닝 혹은 경기에서 부진할 때도 눈치없이 이 세리머니를 해서 팬들이 엔스의 세레머니에 대해 부정적으로 봤으나 부진했던 시즌 초반과 달리 지금은 성적도 나아져 그러려니 하는 편이다.[14]
- 인스타 활동이 매우 활발한데, 본인이 등판하지 않아도 팀이 승리하면 Great team win[15]이라는 문구를 항상 작성한다. 덕분에 엔스가 잘하는 날은 댓글창이 GTW로 도배된다.
- 2024년 개막전 선발등판 포함 팀 내에서 가장 많은 낮 경기에 선발등판하였다. 공교롭게도 지상파 중계로 인해 낮 경기로 전환될 때 주로 걸리는 편이었다. 포스트시즌에도 전부 낮 경기에 선발등판했다. 낮 경기 성적은 정규시즌 기준으로 8경기 4승 무패로 나쁘지 않은 편.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c30452><tablebgcolor=#c30452> |
LG 트윈스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앤더슨
펠릭스 |
펠릭스
(2)
대톨라 |
해리거
테이텀 (2) 쿡슨 (3) (2) 스미스 (3) |
해리거
발데스 로마이어 (2) 린튼 (3) |
만자니오
마르티네스 퀸란 (2) 케펜 (3) |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
마르티네스
쿡슨 (2) 알칸트라 (3) |
마틴
후타도 (2) 쿠퍼 (3) |
클리어
마테오 (2) 왈론드 (3) |
아이바
(2)
카라이어 (3) 텔레마코 (2) 베로커 (3) |
하리칼라
(2)
옥스프링 (3) 발데스 |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
옥스프링
브라운 (2) 페타지니 (3) |
페타지니
옥스프링 (2) 바우어 (3) (2) 존슨 (3) |
오카모토
곤잘레스 (2) 더마트레 (3) |
주키치
리즈 |
주키치
리즈 |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주키치
리즈 |
리오단
티포드 조쉬벨 (2) 스나이더 (3) |
소사
루카스 한나한 (2) 히메네스 (3) |
소사
히메네스 코프랜드 (2) 허프 (3) |
소사
허프 히메네스 (2) 로니 (3) (2) |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가르시아
윌슨 소사 |
윌슨
켈리 조셉 (2) 페게로 (3) |
윌슨
켈리 라모스 |
켈리
라모스 (2) 보어 (3) 수아레즈 |
켈리
플럿코 루이즈 (2) 가르시아 (3) (2) |
|
2023년 | 2024년 | 2025년 | 2026년 | 2027년 | |
켈리
플럿코 (2) 오스틴 |
켈리
(2)
에르난데스 (3) 오스틴 엔스 |
치리노스
에르난데스 오스틴 |
|||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c30452> |
LG 트윈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f00> 1982 | 1983~1984 | 1985 | 1986 | 1987 |
이길환 | 하기룡 | 정삼흠 | 오영일 | 김건우 | |
<rowcolor=#ffff00> 1988 | 1989 | 1990 | 1991 | 1992 | |
김용수 | 김기범 | 최일언 | 김용수 | 김기덕 | |
<rowcolor=#fff> 1993~1994 | 1995~1996 | 1997~1998 | 1999 | 2000~2001 | |
김태원 | 이상훈 | 김용수 | 손혁 | 해리거 | |
<rowcolor=#fff> 2002 | 2003~2004 | 2005 | 2006 | 2007 | |
만자니오 | 이승호 | 장문석 | 최상덕 | 박명환 | |
<rowcolor=#fff>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
브라운 | 봉중근 | 곤잘레스 | 리즈 | 주키치 | |
<rowcolor=#fff> 2013 | 2014 | 2015~2017 | 2018~2019 | 2020 | |
리즈 | 김선우 | 소사 | 윌슨 | 차우찬 | |
<rowcolor=#fff>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
켈리 | 플럿코 | 켈리 | 엔스 |
[1]
현지 중계 발음 참조. 독일계 남성 인명인
디트리히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영미권에서는 '디트릭'으로 발음한다. 국내 언론에서는 원어인 독일어식 표기로 '디트리히'라고 자주 표기하나 잘못된 표기이며, LG가 영입을 발표하며 배포한 공식 보도자료에서도 '디트릭'으로 표기했다.
[2]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시절에도 이 등장곡을 썼다.
[3]
2024년 10월 19일
플레이오프
삼성 라이온즈전에서
이재현을 상대로 다섯 번째 탈삼진을 잡는 엔스
[4]
KBO 리그에서의 최고 구속은 156km
[5]
단 말이 한 단계 아래지
일본프로야구는 전형적인 투고타저 리그로, 타고투저인 KBO 리그와는 아예 리그 유형 자체가 달라서 확실한 구위로 찍어 눌러야만 어느 정도 성공을 장담할 수 있다. 예전이라면 모를까 현재의 KBO 수준이라면 NPB에서 10승 한 번 했다고 절대 성공을 장담할 수 없다. 리그 특성차에 인한 실패 사례에는 대표적으로
아롬 발디리스가 있는데, 이 선수도 2루타 1위에 홈런 3위도 한 번씩 해봤고, 6시즌 연속 두 자릿수 홈런을 때렸음에도 삼성에서의 활약은 잠깐 반짝을 제외하면 기대 이하였다. 즉 물론 선수의 스타일 차이도 크겠지만, NPB에서 확실히 성공했다고 할 수 있는 성적을 가져와야 한 단계 아래인 KBO라고 해도 어느 정도 성공을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6]
여담으로 이는 같은 LG의 장수 외인 투수인
케이시 켈리와는 완전히 반대되는 성향이다. 켈리는 변화를 주기보다는 자신의 고집을 유지하는 편이었다.
[7]
스미스는 고의적으로 꾀병을 부렸던 악질 먹튀여서 엔스, 오그레디 사례와는 다르다.
[8]
심지어 좋지 못한 실력을 가졌으나 워크에식이 좋다는 점까지 똑같다.
[9]
맥키넌과 중장거리 타자에 컨택이 좋은 점이 같다.
[10]
맥키넌과 최형우 입장에서는 팀 동료들이나 팬들은 좋았다고 하며 실제로 팀원들이랑 친하게 지내고 팬들과도 사인을 통해 소통하던 모습을 보면, 아무래도 연봉협상에서 이견을 보인 구단에 대한 서운함일 것으로 추정된다.
[11]
차우찬처럼 좌완투수에다가 구속도 빠른 편인데, 홈런을 많이 맞고, 라이온즈에서 생활에서 소외감을 느꼈다는 언급을 하지 않았고, 라이온즈에서 LG 트윈스로 이적했다는 점이 같다.
[12]
심지어 LG 이적 후 부진했던 차우찬과의 커리어와도 비슷하다. 다만 일본 세이부 라이온즈 마지막 해에도 부진하고 한국으로 와 KBO 입성 후 첫 해부터 무너지고 있는 엔스와 달리 차우찬은 삼성 마지막 해에서 에이스로 활약하고 LG와 계약해 첫 해 만큼은 잘 해주었고, 18시즌 마지막 등판에서의 역투를 보여주며 일부 LG 팬들에게는 동정심을 얻고 있다. 게다가 차우찬의 부진 원인은 삼성 시절과 LG 시절의 혹사가 주된 원인이었기 때문에 차우찬보다는 감독을 까는 여론이 많다.
[13]
뒤틀린 웬수라고도 불린다.
[14]
사실 엔스는 기독교 신자다. 성적을 떠나 루틴으로 종교적인 세리머니를 하는 것.
[15]
위대한 팀 승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