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3 00:39:51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게임 '던전앤파이터'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은광의 타고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rowcolor=#cd9f51> 1901 1902 1903 1904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쉴리 프뤼돔 테오도르 몸젠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외른손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rowcolor=#cd9f51> 1904 1905 1906 1907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파일:폴란드 입헌왕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호세 에체가라이 헨리크 시엔키에비치 조수에 카르두치 러디어드 키플링
<rowcolor=#cd9f51> 1908 1909 1910 1911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루돌프 오이켄 셀마 라겔뢰프 파울 폰 하이제 모리스 마테를링크
<rowcolor=#cd9f51> 1912 1913 1915 1916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인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로맹 롤랑 베르네르 폰 헤이덴스탐
<rowcolor=#cd9f51> 1917 1919 1920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카를 기엘레루프 헨리크 폰토피단 카를 슈피텔러 크누트 함순
<rowcolor=#cd9f51> 1921 1922 1923 1924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1919-1927).svg
아나톨 프랑스 하신토 베나벤테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브와디스와프 레이몬트
<rowcolor=#cd9f51> 1925 1926 1927 1928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조지 버나드 쇼 그라치아 델레다 앙리 베르그송 시그리드 운세트
<rowcolor=#cd9f51> 1929 1930 1931 1932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토마스 만 싱클레어 루이스 에릭 악셀 카를펠트 존 골즈워디
<rowcolor=#cd9f51> 1933 1934 1936 1937
파일:러시아 국기2.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이반 부닌 루이지 피란델로 유진 오닐 로제 마르탱 뒤 가르
<rowcolor=#cd9f51> 1938 1939 1944 1945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칠레 국기.svg
펄 벅 프란스 에밀 실란패 요하네스 빌헬름 옌센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rowcolor=#cd9f51> 1946 1947 1948 1949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헤르만 헤세 앙드레 지드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윌리엄 포크너
<rowcolor=#cd9f51> 1950 1951 1952 1953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영국 국기.svg
버트런드 러셀 페르 라게르크비스트 프랑수아 모리아크 윈스턴 처칠
<rowcolor=#cd9f51> 1954 1955 1956 1957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어니스트 헤밍웨이 할도르 락스네스 후안 라몬 히메네스 알베르 카뮈
<rowcolor=#cd9f51> 1958 1959 1960 1961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살바토레 콰시모토 생존 페르스 이보 안드리치
<rowcolor=#cd9f51> 1962 1963 1964 1965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존 스타인벡 요르기우스 세페리스 장폴 사르트르(거부) 미하일 숄로호프
<rowcolor=#cd9f51> 1966 1967 1968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슈무엘 요세프 아그논 넬리 작스 미겔 앙헬 아스투리아스 가와바타 야스나리
<rowcolor=#cd9f51> 1969 1970 1971 197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칠레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사뮈엘 베케트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파블로 네루다 하인리히 뵐
<rowcolor=#cd9f51> 1973 1974 1975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패트릭 화이트 에위빈드 욘손 하뤼 마르틴손 에우제니오 몬탈레
<rowcolor=#cd9f51> 1976 1977 1978 197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1977-1981).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솔 벨로 비센테 알레익산드레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 오디세우스 엘리티스
<rowcolor=#cd9f51> 1980 1981 1982 1983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체스와프 미워시 엘리아스 카네티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윌리엄 골딩
<rowcolor=#cd9f51> 1984 1985 1986 1987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야로슬라프 사이페르트 클로드 시몽 월레 소잉카 조지프 브로드스키
<rowcolor=#cd9f51> 1988 1989 1990 1991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나기브 마푸즈 카밀로 호세 셀라 옥타비오 파스 나딘 고디머
<rowcolor=#cd9f51> 1992 1993 1994 1995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1979–2002).svg.pn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데릭 월컷 토니 모리슨 오에 겐자부로 셰이머스 히니
<rowcolor=#cd9f51> 1996 1997 1998 1999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비스와바 심보르스카 다리오 포 주제 사라마구 귄터 그라스
<rowcolor=#cd9f51> 2000
파일:프랑스 국기.svg
가오싱젠
}}}
}}}}}}}}}
[ 21세기 ]
##
||<table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01 || 2002 || 2003 || 2004 ||

}}}}}} ||
물리학 | 화학 | 생리학·의학 | 평화 | 경제학

BBC 방글라 선정 위대한 벵골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위 2위 3위 4위 5위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카지 노즈룰 이슬람 아불 카셈 파즐룰 후크 수바스 찬드라 보스
6위 7위 8위 9위 10위
베굼 로케야 사카와트 호사인 자가디시 찬드라 보스 압둘 하미드 칸 바샤니 이슈와르 찬드라 비댜사가르 람 모한 로이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colbgcolor=#000><colcolor=#fff>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রবীন্দ্রনাথ ঠাকুর[1] | Rabindranath Tagore
파일:Rabindranath Tagore.jpg
[[노벨문학상|{{{#white 1913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출생 1861년 5월 7일
인도 제국 벵골 콜카타 [2]
사망 1941년 8월 7일 (향년 80세)
인도 제국 벵골 콜카타 [3]
국적
[[인도 제국|]][[틀:국기|]][[틀:국기|]][4]
신장 175cm
학력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법학 / 명예 학사)
캘커타대학교 (벵골 문학 / 명예 학사)
캘커타대학교 (철학 / 명예 박사)
직업 시인, 소설가, 극작가, 수필가, 화가, 철학자, 작곡가, 작사가, 교육자
종교 힌두교
서명
파일:Rabindranath Tagore Signature.png

1. 개요2. 생애3. 한국과의 관계4. 기타

[clearfix]

1. 개요

인도 시인. 아시아 최초의 노벨문학상 수상자이다.

2. 생애

1861년 5월 7일, 인도 벵골주 캘커타의 저명한 브라만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조부는 19세기 초에 영국 동인도 회사가 해체되는 과정에서 무역으로 막대한 부를 쌓았으며, 부친 데벤드라나트 타고르(দেবেন্দ্রনাথ ঠাকুর, 1817~1905)는 힌두교의 개혁에 관심을 두어 '마하르시(মহর্ষি, 위대한 성자)'라는 호칭까지 얻은 인물이었다.

영국의 명문 대학이자 간디가 졸업한 런던 대학교 그룹 소속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에서 법을 전공했으나 중퇴하였다. 벵골 문예 부흥의 중심이었던 집안 분위기 탓에 8살 때부터 벵골어로 시를 썼고 16세에는 첫 시집 《들꽃》을 냈다. 초기 작품은 유미적이었으나 갈수록 현실적이고 종교적인 색채가 강해졌다. 교육 및 독립 운동에도 힘을 쏟았다.

시집 《기탄잘리》(গীতাঞ্জলি, 신께 바치는 노래)로 1913년 노벨 문학상을 받았는데, 이는 아시아인 최초의 노벨상 수상 기록이다. 이는 직접 수상한 노벨 문학상 부문을 기준으로도 마찬가지.

시뿐만이 아닌 소설과 희곡도 집필하였다.

3. 한국과의 관계

타고르는 한국을 소재로 한 시, 《동방의 등불》을 남겼다. 《동방의 등불》은 1929년 타고르가 일본에 들렀을 때, 동아일보 기자가 한국 방문을 요청하자 이에 응하지 못함을 미안하게 여겨 그 대신 동아일보 기자에게 전해준 짧은 시이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찍이 아시아의 황금시기에
빛나던 등촉의 하나인 조선
그 등불 한번 다시 켜지는 날에
너는 동방의 밝은 빛이 되리라
1929년 4월 2일 동아일보 기사

다음날 동아일보는 타고르가 써줬던 영어 원문도 실었다.
In the golden age of Asia
Korea was one of its lamp-bearers,
and that lamp is waiting
to be lighted once again
for the illumination
in the East
1929년 4월 3일 동아일보 기사

이보다 더 긴 버전으로 돌아다니는 시는 누군가가 타고르의 다른 작품인 '기탄잘리 35'의 글귀를 짜깁기해 이어붙이고 마지막엔 출처도 알 수 없는 '나의 마음의 조국 코리아여 깨어나소서'라는 문구가 붙여진 것이라고 한다. #

타고르의 또 다른 작품인《패자(敗者)의 노래》는 최남선의 요청에 따라 쓴 것으로 알려졌지만 사실 이전에 타고르 자신이 번역 미국에서 발간한 시집인 '채과집(Fruit-Gathering)'에 실린 것을 그냥 보낸 것이다. 최남선이 이를 타고르가 한국을 위해 쓴 창작물로 오해한 것. 거기다 문구도 원문과 비교하면 오역이 들어가 있는 상황이니.
위의 시들로 인해 한국을 우대한 인물로 국내에 알려져 있지만, 실은 일본의 문화에 매료된 자포네스크적 기질의 인물로 '일본은 시심을 자아내는 나라'라든지 '일본은 아시아에 희망을 가져다주었다. 우리는 이 해 뜨는 나라에 감사한다'라든지 하는 말을 하며 일본을 5차례 방문하고 러일전쟁에 일본을 숭상하는 시를 써 기고하기도 했으며 군국주의를 밀어주던 일본 우익의 거물 도야마 미쓰루(頭山滿)와도 친분이 있는 인물이었다.[5]

다만 일본에서의 강연에서 "이 나라(일본)는 물질적으로는 진보했지만 정신적으로는 퇴보하고 있다"라고 하거나, "일본이 인도에도 야심을 품고 있는 듯하다.[6] 굶주린 그들은 지금 조선을 잠식하고 중국을 물어뜯고 있다"라고 일본 제국주의를 비판하기도 했다. 오히려 일본은 정신 면에 많이 낙후되었다고 비판하여 극우 일본인들에게 크게 미움을 사기도 했다. 그가 중시한 건 바로 마음과 정신이었다.

어쨌든 타고르에게 한국은 중국이나 일본보다 한참 관심없는 국가였다. 하지만 그 시절 고립무원의 처지에 있던 조선의 지식인들에게는 이 정도도 감지덕지한 수준이었다. 지금으로 말하자면 방탄소년단이 서아프리카나 남아시아의 잘 알지도 못하는 약소국에서 팬이라고 계속 연락해오니 그 나라의 팬들을 위해 짧은 영상 하나 만들어 준 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본인에게는 아무것도 아니었을지 몰라도 그 나라의 팬들에게는 매우 대단하게 생각되는 일이었을 것이니, 이런 역사적 배경을 감안하고 왜 그 시절에 타고르 열풍이 일었는지를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 외에 최인훈의 소설 광장에서 주인공 이명준이 그토록 찾던 중립국으로 가는 배 이름인 '타고르 호'로 언급된다.

4. 기타



[1] 벵골어식 발음은 로빈드로나트 타꾸르 [2] 현 인도 공화국 서벵골 주 콜카타 [3] 현 인도 공화국 서벵골 주 콜카타 [4] 이 문서에서는 타고르를 인도의 시인으로 소개하고 프로필에서도 '인도 제국'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타고르가 살던 시대의 인도는 한 순간도 독립국이 아니었다. 인도 제국이라는 이름만 보면 터번을 쓴 인도인이 황제로 군림하는 인도 고유의 독립국이자 제국으로 보일 수 있지만, 실상은 영국의 식민지로, 영국 국왕이 인도 황제를 겸하고 식민지 총독이 황제를 대리하는 부왕을 겸해서 인도 제국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래서 인도 제국의 깃발에도 영국 국기가 들어있다. (인도인이 황제로 군림하는 제국은 오히려 무굴 제국의 이미지에 가깝다.) 인도 제국은 1858년에 세워지고 1947년에 멸망했으며, 타고르는 인도 제국 성립 후에 태어나고 인도 제국 소멸 전에 죽어서 다른 체제를 경험해보지 못하고 80년 평생을 인도 제국이라는 식민지의 사람으로만 살았다. (아이러니하게도 인도라는 이름이 현재 인도 반도를 통치하는 정치 주체의 이름이 된 것은 인도 제국 시대부터다.) 사실 1858년 이전에도 사실상 영국의 식민지화가 되었던지라 이를 따지는 건 딱히 의미가 없기는 하다. [5] 아마 일본의 힘이 커졌으니 일본이 (인도를 포함한) 대다수 국가들이 서양의 식민지로 전락해있는 아시아의 주권을 위해 서양 열강과 맞서 싸울 것이라고 생각한 듯하다.( 아시아주의) 수카르노 찬드라 보스처럼 아시아의 민족주의자들 중에서는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한국에서도 일본이 한일병탄을 하며 대한제국을 식민지로 삼기 이전까지는 일본의 제국주의 야욕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여 그런 생각을 한 사람이 제법 많았었다. 한일병탄 이전에 쓰여진 안중근 의사의 동양평화론에도 이런 시각이 어느 정도 담겨 있다. 이승만도 1903, 1904년 정도까지만 해도 일본을 그렇게 싫어하진 않았으며 일본에 우호적인 모습도 일부 있었으나, 일본이 스스로 서양 열강과 다름없이 같은 아시아 국가인 한국을 식민지화하는 모습을 드러내자 강경한 반일로 돌아선다. [6] 일본이 인도를 공격하려 한다는 이야기는 그 기원이 꽤 오래되었다. 이미 1592년 임진왜란을 일으켰던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조선을 정복한 다음에 중국 명나라도 점령하고 그 다음으로 인도에까지 쳐들어가겠다고 호언장담했다. 그리고 1882년 12월 일본의 지식인인 후쿠자와 유키치는 “언젠가 한 번은 인도, 중국의 현지인 등을 다스리는 것에서 영국인을 본받을 뿐만 아니라..."는 글을 남겼는데 출처, 이는 중국과 인도에 대한 야심을 드러낸 대목이다. [7] 무지부르 라흐만의 별명이 '벵골의 친구'라는 의미의 '봉고본두(বঙ্গবন্ধু)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