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5f27>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005f27><colcolor=#fff> 감삼동 | 감삼동 일부 | ||
도원동 | 도원동 | ||
두류1·2동 두류3동 |
두류동 | ||
본동 | 본동 | ||
본리동 | 본리동 | ||
상인1동 상인2동 상인3동 |
상인동 | ||
성당동 | 성당동 | ||
송현1동 송현2동 |
송현동 | ||
신당동 | 갈산동 일부 | 신당동 | 파호동 | 호림동 | 호산동 | ||
용산1동 용산2동 |
용산동 | 장기동 일부 | ||
월성1동 월성2동 |
[[달서구청| 구청 ]]
월성동 일부 |
대천동 일부 |
월암동 일부
|
||
유천동 | 월성동 일부 | 유천동 | 대천동 일부 | 월암동 일부 | ||
이곡1동 이곡2동 |
갈산동 일부 | 이곡동 | ||
장기동 | 장기동 일부 | 장동 | ||
죽전동 | 감삼동 일부 | 죽전동 | ||
진천동 | 대곡동 | 진천동 |
달서구의
법정동 두류동 頭流洞 | Duryu-dong |
|
<colbgcolor=#005f27><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기초자치단체 | 달서구 |
행정표준코드 | 2729010200 |
관할 행정동 | 두류1·2동, 두류3동 |
하위 행정구역 | 49통 313반 |
면적 | 2.44㎢ |
인구 | 23,423명[A] |
인구밀도 | 9,599.59명/㎢ |
[clearfix]
1. 개요
대구광역시 달서구에 있는 동.서구 내당4동, 내당5동, 내당6동[2]을 분리하여[3] 달서구의 출범 때 신설한 동이다. 동 이름은 두류산에서 따왔다.
두류1동, 두류2동, 두류3동으로 행정동이 나뉘어져 있었으나, 2011년 5월에 1동과 2동이 합쳐져서 두류1·2동과 두류3동이 행정동으로 남아 있다.
시내버스 권역 번호는 5권역이고 치안도 대구성서경찰서 관할이지만 생활권은 대구 시내에 가깝다. 국회의원 선거구는 달서구 병이다.[4]
1.1. 두류1·2동
달서구의
행정동 두류1·2동 頭流一二洞 | Duryu 1(il)·2(i)-dong |
|||
<colbgcolor=#005f27><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달서구 | ||
행정표준코드 | 3470128 | ||
관할 법정동 | 두류동 | ||
하위 행정구역 | 33통 208반 | ||
면적 | 1.33㎢ | ||
인구 | 15,033명[A] | ||
인구밀도 | 11,303.01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국회의원 | 달서구 병 | |
|
김용판 (초선) | ||
대구광역시의원 | 제5선거구 | |||
|
윤권근 (초선) | ||
달서구의원 | 사 선거구 | |||
|
손범구 (초선) | ||
|
정창근 (재선) | ||
|
최홍린 (초선) | }}}}}}}}} | |
행정복지센터 | 두류길 141-8 (두류동 833-7) | ||
두류1·2동 행정복지센터 |
달서구에서 대구 시내( 중구)와 가장 가까운 동네. 달서구 성당동, 서구 내당1동, 내당2·3동, 남구 대명3동, 중구 남산4동과 만난다.[6]
1970년 서구 내당3동에서 내당5동이 분동되었으며 1982년 내당1동에서 내당6동이 분동되었고 1985년 내당6동에서 내당7동이 분동되었다. 1988년에 달서구가 출범하면서 대서로 이남에 있던 내당4동, 내당5동, 내당6동을 달서구 두류동으로 분리하였으며, 내당7동은 내당4동으로 개칭되었다.
행정복지센터는 대구대학교 대명캠퍼스 입구 건너편의 언덕길 골목 안에 있었으나[7], 2021년 12월 13일에 옛 두류2동 청사 바로 앞으로 신축해서 이전하였다. 과거 두류1동과 2동이 합동한 후 두류1·2동 주민센터는 구 두류1동 주민센터가 그대로 두류1·2동행정복지센터가 되었었으며, 구 두류2동 주민센터는 두류1·2동 현장민원실로 사용되고 있었다. 현장민원실에서는 행정복지센터와 달리 약간의 서류발급만 가능하였다. 다만 접근성은 현장민원실이 두류1·2동의 중앙 부근에 있어서 훨씬 좋으며, 두류1·2동행정복지센터는 상당히 가장자리에 치우쳐 있는 편.[8] 혹시 볼일이 있다면 미리 전화를 해서 자기가 볼 업무를 해당 장소에서 볼 수 있는지 파악하자.
舊 두류1동 지역은 거의 전체가 낙후된 슬럼가라 딱히 볼 게 없다. 꽤 대중교통상으로 편리한 곳임에도 불구하고 달서구 내에서 상당히 낙후된 곳 중 하나라 치안이 그리 좋지 않다. 때문에 땅값은 안 오르고, 가난한 사람이 여기로 와서 정착하고, 그래서 마을 분위기는 침체되고, 땅값은 떨어지고의 악순환이 반복.[9] 마찬가지로 인구 감소도 심각하다. 분구 직후의 1990년 총조사에서는 두류1동 13,649명+두류2동 23,951명=37,600명으로 꽤 많은 인구가 살았었으나, 현재는 14,109명으로 대략 절반~3분의 1 사이 정도로 감소하였다.
그러다가 2015년 경 두류1·2동 주민센터 옛 청사 근처의 미로마을에 벽화를 그렸는데, 입소문이 퍼지면서 관광객들도 하나둘씩 찾아오기 시작했다.( #) 문서 하단에도 나온다.
2019년에 성남초등학교 인근의 미로마을 일대가 재개발(달서07구역)에 들어가면서 모두 철거됐으며, 2022년 11월에 두류 파크 KCC스위첸 아파트가 들어선다. 아파트 단지와 성남초등학교가 정면으로 마주보고 있으며, 그래서인지 스위첸의 완공을 앞두고 파도고개로에 과속방지턱이 늘어나고 있다.
구 두류2동 지역은 대구광역시의 대표 휴양지인 이월드와 83타워가 있어서 유동 인구가 정말 끝내주게 많다. 그러나 그것은 두류3동과 두류1·2동 사이의 도로에만 해당되는 이야기이며, 그 외에는 거의 대부분 지역이 평범한 원룸촌이다. 참고로 83타워 때문에, 이 일대에는 고도제한이 걸려 있다.
우체국의 경우 두류1동과 두류3동에 있었으나, 지금은 두류1동우체국만 남았고 두류동우체국으로 개칭했다.[10] 또 점외에 ATM이 있어서 새벽 5시부터 익일 새벽 4시까지 이용할 수 있다. 두류3동우체국은 2015년 11월에 폐국되었다. 옛 2동 지역에는 없고, 반고개 대구 시내 방향 시내버스 정류장 앞에 있는 신협에 우편취급국이 있다. 따라서 금융업무를 보고 싶으면 두류동 우체국을 이용해야 한다. 현재 두류3동에서 우체국을 이용하려면 감삼동우체국이나 본리동우체국이 가깝다.
대구 시내의 주요 대로는 폭주족의 영향권이라 이곳도 폭주족의 소음 피해가 있을 것이라는 우려가 많으나, 두류1·2동은 골목이 협소하고 땅의 굴곡이 매우 심해서 속도를 낼 수 있는 지역이 거의 없다.[11] 좁고 구불구불한 골목길과 방치된 공・폐가가 많고, 쇠퇴한 재래시장인 내당시장(현재는 철거)이 있어서 타 지역에 비해 범죄 우려가 높은 지역으로 알려지자, 안전한 마을로 전환시키기 위해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나설 정도다. #
밝은 조명과 CCTV를 설치하고 담장 벽화를 그렸다. 또, 폐가를 철거한 자리에 주민들이 운영하는 안전마을 커뮤니티센터와 안전 쉼터, 마을 공영 주차장(2곳)도 만들었다. 이 정비가 예상 외로 성과를 거두자 대구광역시청은 다른 지역으로 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
시중은행의 경우 두류1, 2, 3동 통틀어서 두류동 전체에는 신한은행의 지점이 없다. 이쪽 근처에서 신한은행을 이용하고 싶으면 서문시장, 죽전네거리(삼정브리티시 아파트)으로 가야 한다.[12]
두류1동 관내에 내당초등학교가 있는데, 정작 두류초등학교는 서구 내당1동에 있다.
[clearfix]
1.2. 두류3동
달서구의
행정동 두류3동 頭流三洞 | Duryu 3(sam)-dong |
|||
<colbgcolor=#005f27><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달서구 | ||
행정표준코드 | 3470030 | ||
관할 법정동 | 두류동 | ||
하위 행정구역 | 16통 95반 | ||
면적 | 1.11㎢ | ||
인구 | 8,390명[A] | ||
인구밀도 | 7,558.56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국회의원 | 달서구 병 | |
|
김용판 (초선) | ||
대구광역시의원 | 제5선거구 | |||
|
윤권근 (초선) | ||
달서구의원 | 사 선거구 | |||
|
손범구 (초선) | ||
|
정창근 (재선) | ||
|
최홍린 (초선) | }}}}}}}}} | |
행정복지센터 | 야외음악당로39길 24[14] | ||
두류3동 행정복지센터 |
주민센터는 삼정그린빌아파트 뒷편에 있으며, 두류공원 건너편에 있다.
대구 시민의 최대 휴양지인 두류공원[15], 두류산, 코오롱야외음악당이 있어서 휴일에는 두류1·2동의 이월드 못지않게 유동인구가 많은 편이다. 그 밖에 두류야구장이 있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감삼역/ 두류역이 위치해 있고 시내버스편도 많아 교통이 편리하며, 광장코아, 흔히 광코라고 불리는 번화가가 있어서 평일도 유동인구가 상당히 많다. 다만 딱 번화가 부근만 지나면 분위기가 흉흉해지는 건 두류동의 공통점.
BNK부산은행 대구영업부가 두류3동 감삼역 근처에 있다. 이 빌딩에 국민건강보험공단 달서지사도있다. 원래는 두류역 15번 출구 근처에 있는 대구경북본부랑 같이 있었다.
감삼네거리 남쪽에 두류정수장이 있었지만 폐쇄된 상태이며, 해당 부지에 대구광역시청 신청사가 새로 들어올 예정이라 더 큰 발전이 예상되는 곳이다.
두류3동을 시청동으로 명칭 변경이 추진 중이며, 2022년 11월 18일 기준 달서구의회 기획행정위원회 회의에 상정되지 못 해 보류 중인 상황이다. #
2023년 기준 홍준표 시정에서 대구광역시청 이전을 잠정 보류했기 때문에 대구광역시청 신청사와 관련된 계획은 전부 지연이 불가피해졌었지만, 2023년 11월 16일 기준 대구광역시청 신청사 건립이 다시 탄력을 받으면서 달서구의회는 2024년에 두류3동의 명칭을 시청동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재추진 할 계획이다. #
[clearfix]
2. 주요 시설
2.1. 공공기관
- 대구광역시청, 대구광역시의회 (예정)[16]
- 두류1·2동 행정복지센터
- 두류3동 행정복지센터
- 대구광역시립두류도서관
- 두류1·2동파출소
- 두류3동파출소
- 국민건강보험공단
- 서대구세무서
2.2. 교육
2.2.1. 초등학교
2.2.2. 중학교
2.2.3. 고등학교
2.3. 금융
- BNK부산은행 대구영업부
2.4. 유명지
- 이월드
- 두류공원
- 야외음악당
- 파도고개로 : 내당역과 성당시장네거리 사이로 두류1·2동을 가로지르는 도로. 두류1·2동의 심한 굴곡 지대를 잘 보여 준다. 짧은 구간이지만, 마치 파도치듯이 심한 경사로 오르락내리락하는 것이 마치 놀이기구를 탄 듯한 느낌을 준다. 그런데 이 길에도 블루시티는 잘만 다니고 있다. 통행량도 생각보다 좀 있다.
2.5. 주거
2.5.1. 아파트
- (주)보성 두류 보성맨션 - 1999년 10월 입주.
- (주)삼정 두류 삼정그린빌 - 2002년 5월 입주.
- 동부건설 두류 야외음악당 센트럴파크 1차 - 입주예정
- 벽산엔지니어링 두류 벽산타워 - 2005년 7월 입주.
- 양우건설 두류역 양우내안애 - 입주미정
- KCC건설 두류 파크 KCC스위첸 - 2022년 11월 입주.
- 중흥토건 두류 중흥S-클래스 센텀포레 : 2024년 12월 입주예정.
- (주)서한 두류역 서한포레스트 : 입주미정.
- 신세계건설 빌리브 파크뷰 : 2023년 6월 입주예정.
- 롯데건설 / 포스코건설 플래티원 : 입주미정.
- 롯데건설 / 태영건설 달자01지구 재건축 : 입주미정.
2.5.2. 오피스텔
- 동양종합건설 두류역 아이작큐브 : 2018년 2월 입주.
2.6. 상업시설
- 농협대구공판장 : 두류1·2동 크리스탈호텔 뒤편에 있다. 터가 작아서인지 주차하기가 쉽지 않으며, 명절 시즌만 되면 인근 도로는 헬게이트가 열릴 정도다.[17] 옛날에는 서부정류장이 여기 근처에 있었고,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공사로 반고개네거리에서 비산네거리로 좌회전이 차단됐을 적에 이 코스로 다니던 시내버스 노선들은 공판장으로 P턴하며 서대구시장 경유로 운행했다.
3. 교통
3.1. 버스
3.1.1. 급행
3.1.2. 순환
3.1.3. 간선
- 대구 버스 156[18]
- 대구 버스 323-1
- 대구 버스 356[19]
- 대구 버스 425[20]
- 대구 버스 503[21]
- 대구, 경산 버스 509[22]
- 대구 버스 527[23]
- 대구 버스 618[24]
- 대구 버스 623
- 대구 버스 650[25]
- 대구 버스 653
- 대구 버스 706[26]
- 대구 버스 726[27]
- 대구 버스 750[28]
- 대구 버스 805[29]
- 대구 버스 808[30]
- 대구 버스 836[31]
3.1.4. 지선
3.1.5. 농어촌버스
3.2. 도시철도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반고개역, 내당역, 두류역, 감삼역
[A]
2023년 3월 주민등록인구
[2]
현재의 내당4동은 분구 전 내당7동이었다.
[3]
내당네거리, 내당초등학교, 신내당시장 등에서 과거 두류동이 내당동의 일부이던 시절의 흔적을 엿볼 수 있다.
[4]
달서구 병 선거구 신설 이전엔 국회의원 선거구도
성서권과 함께
달서구 갑에 속했다.
[A]
[6]
반고개역과 내당네거리 사이로는
달서구,
중구,
서구,
남구가 엇갈리게 만난다. 고로 대구의 4개 구가 접하는 곳이다.
[7]
당시 위치는 현재의 서일장로교회 맞은편 건물이었다. 이전한 후 청사는 철거되고, 마을 공영주차장으로 정비됐다.
[8]
당장 행정복지센터에서 길 내려가서 도로를 건너가면
남구
대명3동이다.
[9]
심지어 월세 5만 원인 판자집이 2017년 현재도 있는 곳이다. 당연히 일반인이 살 정도는 안되지만...
[10]
서구
내당동에서 분리되기 전까지는 내당
우체국으로 불렀다.
[11]
하단의 파도고개로 내용이 있다.
[12]
하나은행,
KB국민은행,
NH농협은행,
우체국도 근처에 하나씩 있는데, 유달리
신한은행만 이쪽 근처에 없다.
우리은행도 2016년에 모두 없어졌고,
두류역
중소기업은행도 소리소문없이 없어졌다.
[A]
[14]
두류동 484-17
[15]
대구문화예술회관 방면을 제외한 모든 지역. 문화예술회관은
성당동이다.
[16]
기존 두류정수사업소 자리에 새로 지어진다.
[17]
아침에 일찍 가도 소매상인들이 타고온 트럭 때문에 주차장소가 쉽게 나오지 않는다.
[18]
신덕마을 방면
[19]
조야동 방면
[20]
황금고가교 방면
[21]
연경동 방면
[22]
영남대, 사동 방면
[23]
동명 방면
[24]
대곡지구 방면
[25]
다산 방면
[26]
대곡지구 방면
[27]
동호동 방면
[28]
관음동 방면
[29]
장기동 방면
[30]
금호읍, 대구대 방면
[31]
대천동 방면
[32]
서문시장 지원운행
[33]
고령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