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22:02:25

동경용원부

{{{#!wiki style="margin: -10px" <tablebordercolor=#2531a2><tablebgcolor=#2531a2>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京)
중경현덕부 동경용원부 남경남해부 서경압록부
부(府)
장령부 부여부 막힐부 정리부 안변부
솔빈부 동평부 철리부 회원부 안원부
독주주
영주 | 동주 | 속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1px -11px"
고조선 평양성 아사달 장당경 왕검성
부여 예성 → 부여성
고구려 졸본성 국내성 장안성
백제 위례성(한성) 웅진성 사비성
신라 금성(서라벌)
가야 금관국(금관가야) 반파국(대가야)
발해
태봉 송악성 철원성
후백제 무진주 전주성(완산주)
고려 철원성 개경 강도 개경
경성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1. 개요2. 역사3. 위치
3.1. 북한 학계의 주장

1. 개요

동경용원부(東京龍原府). 발해 5경(京) 중 하나.

2. 역사

3대 문왕의 시대에[1] 상경에서 동경으로 옮겼고, 성왕이 즉위해 다시 상경으로 천도할 때까지 발해의 수도였다. 다른 이름으로는 책성부(柵城府)라고도 불렸고, 삼국사기에 고구려 태조대왕이 동쪽으로 책성을 순시했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신당서에는 예맥의 땅이라고 가리키고 있다.

동경용원부 행정구역 내에는 속주(屬州)로 경주(慶)· 염주(塩)·목주(穆)·하주(賀)의 4주가 있다.

3. 위치

조선 국학자들은 동경용원부의 위치를 찾기 위해 당나라의 가탐이라는 사람이 쓴 <고금군국현도사이술>이라는 기록에서 "발해국의 남해, 압록, 부여, 책성 4부는 모두 고구려 옛 땅인데, 신라의 천정군(泉井郡)에서 책성부까지는 무릇 39역이다"[2]라고 했던 기록에 주목했다. 정약용이나 류득공은 이 기록에 따라 신라 측의 국경도시인 천정군 즉 함경도 덕원군(현 함경남도 원산시) 기준으로 39역(1,170리) 되는 거리에 위치한 육진 종성군 또는 회령군이 발해의 동경용원부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현재는 지금의 중국 지린성 훈춘시(琿春市)의 반라성(半拉城) 혹은 팔련성(八連城) 유적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는 팔련성설도 설득력을 잃고 있는데, 동경용원부는 고구려의 책성이었다는 기록이 복수의 사서에 분명히 남아있기 때문에, 이곳이 동경용원부라면 책성이었던 고구려 시기의 유적이 확인되어야만 한다. 그런데 팔련성에서는 고구려 유적이 확인된 바가 없으므로 해당 문제를 지적받고 있다.

동쪽 30여km 지점에는 동경용원부의 외항 역할을 하던 염주성(鹽州)이 있었다. 염주성은 현재 러시아 연해주 지방의 크라스키노 성(Краскинское)으로 비정된다.

3.1. 북한 학계의 주장

북한 학자들은 함경북도 청진시 청암구역 부거리의 토성을 발굴한 후 여기를 발해 동경용원부라고 비정하고 있는데, 북한 학계에서 팔련성을 동경용원부라고 볼 수 없다고 주장하는 근거는 다음과 같다. 해당 주장은 북한의 채태동, 장국종에 의해 제기되었으며, 연변대학교 서일범 교수에 의해 1998년 한국에 소개되었다. # #

그러면서 부거리 토성이 동경용원부라고 주장하는 근거는 다음과 같다.

하지만 북한 정권 특성상 외부 학계와 교류가 적다보니[7] 신뢰성이 얼마나 있는지도 알기 힘들다. 또한 북한측이 주장한 근거에 대해서도 반박이 나와 있는데,
開州 鎭國軍節度本濊貊地 高麗爲慶州 渤海爲東京龍原府 有宮殿 都督慶鹽穆賀四州事 故縣六 曰龍原 永安烏山壁谷熊山白楊皆廢 壘石爲城 周圍二十里
개주(開州)는 진국군의 절도를 받는다. 본래 예맥의 땅이다. 고려에서 경주(慶州)를 설치하였고, 발해에서 동경용원부로 삼았다. 궁전이 있으며, 경, 염, 목, 가 4주를 도독하였다. 예전에는 현이 여섯 개였다. 용원, 영안, 오산, 벽곡, 웅산, 백양인데, 모두 폐지되었다. 돌로 성을 쌓았는데 둘레가 20리이다.

이 요사 기록에서 개주는 지린 지역의 개주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랴오닝 성 지역의 개주, 즉 지금의 봉황성을 가리킨다.[8]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신당서에는 당덕종 정원(貞元) 연간이라고 했는데, 이는 785년 정월부터 805년 8월까지의 시기에 해당한다. [2] 渤海國南海ㆍ鴨綠ㆍ扶餘ㆍ柵城四府,幷是高句麗舊地也。自新羅泉井郡至柵城府,凡三十九驛 [3] 이건 발해 당시의 해안선과 지금의 해안선이 달랐을 여지도 없지 않다. [4] 지금의 러시아 포시예트 만 [5] 함경북도 선봉군 그 이북으로는 겨울철에도 바닷물이 얼기 때문에 배가 다닐 수 없다. 바닷물이 얼지 않는 라진항 이남지역에서만 겨울철에 배가 떠날 수 있다. [6] 부거리의 발해 성은 평지에 돌로 쌓은 성과 산에 의지해 쌓은 토성 이렇게 두 개가 존재한다. [7] 의외로 중국 고고학계와도 그다지 교류가 없다고 한다. 유홍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에 의하면 북한 고고학자는 애초에 중국 입국비자를 안 내줘서, 만주지역 답사는 오히려 남한 학자가 더 자유롭다고 한다. 물론 남한 학자가 발해유적지를 둘러보러 오는 것을 중국 측이 방해한다는 증언도 많지만, 일단 남한 사람들은 특별케이스가 아니면 중국 비자가 거의 그냥 나온다. [8] 거란이 발해를 멸망시킨 뒤에 그 유민들 가운데 일부를 요동 지역으로 강제이주시켰는데, 그 와중에 지금의 지린성 일대에 해당하는 발해 지명들이 요동 지역으로 옮겨진 것들이 좀 된다. 발해고의 저자 유득공이 이미 요사의 이러한 오류점을 지적한 바 있다. [9] 물론 이 점은 부거리 석성에도 해당되는 것이기는 하다. [10] 사실 부거리 성은 이미 20세기에 굉장히 황폐화되어 성벽의 기단부가 드러나 있을 정도로 훼손되어 있기는 했다. [11] 중국의 학자 왕협(王俠)은 발해 사신이 일본으로 떠난 것은 바다가 얼기 전인 가을이었을 것으로 지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