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658><tablebgcolor=#001658> |
한국프로농구 홈구장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color:#181818" |
|||||
사직실내체육관 | 수원 KT 소닉붐 아레나 | 원주종합체육관 | 창원실내체육관 | 잠실학생체육관 | |
울산동천체육관 | 대구실내체육관 | 고양 소노 아레나 | 안양 정관장 아레나 | 잠실실내체육관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d4498>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일반 문서 | ||
<colbgcolor=#e3e3e3><colcolor=#3d4498> 구단 정보 | 연고지 대구광역시|모기업 한국가스공사 | ||
주요 인물 | 구단주 최연혜|감독 강혁|주장 차바위 | ||
선수단 | 선수단 명단 | ||
구단 역사 | 역사|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
유니폼 | 역대 유니폼 | ||
라이벌전 | 대구 더비 | ||
논란 | 사건·사고 | ||
주요 시설 | <colbgcolor=#3d4498><colcolor=#fff> 홈구장 | 현재 대구실내체육관|이전 인천도원체육관| 부천실내체육관| 인천삼산월드체육관 | |
클럽하우스 | #s-4 | ||
시즌 | 현재 시즌 | 2024-25 시즌 | |
시즌 상세 | 컵대회| 1라운드| 2라운드| 3라운드| 4라운드| 5라운드| 6라운드 | ||
틀 문서 | |||
역대 시즌| 역대 감독| 역대 주장| 역대 1라운더| 선수단| 응원단| 역대 응원단장 |
|
|
|
<colbgcolor=#3d4498><colcolor=#ffffff>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 |
대구실내체육관 大邱室內體育館 | Daegu Gymnasium |
|
개장 | 1971년 4월 13일 |
첫 경기[1] |
1997년
3월 5일 대구 동양 오리온스 VS 원주 나래 블루버드 |
본부장 | 이상규 |
관리부장 | 이경래 |
홈 구단 |
대구 동양 오리온스-대구 오리온스 (1997~2011)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2021~ ) |
좌석 규모 | 3,867석[2] |
운영 주체 | 대구광역시 도시관리본부 |
소재지 | |
대구광역시 북구 대구체육관로 39 ( 산격동) | |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에 있는 실내 체육관. 대구광역시청 산격청사 (舊 경상북도청) 건물 뒤편 바로 옆에 있다.2021-22 시즌부터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가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2. 상세
1966년에 건축가 후당 김인호가 지역 최초의 고난도 공법으로 설계했다. 기둥을 사용할 수 없어서 아치형 곡선으로만 풀어야 했고 가로 세로를 모두 연결하는 대들보와 서까래, 지붕 가장자리에 있는 날렵한 추녀 곡선을 콘크리트로 구현했다. 신라 화랑들의 전투 정신을 상징하는 투구를 본떠서 만들었으며,[3] 관중들이 출입할 수 있도록 동서남북 형식의 일주문을 세웠다.공사가 막바지에 다다랐을 때 천장을 받치던 임시 가설 기둥을 제거하면 지붕이 무너져 내릴 수도 있다는 인부들의 말에, 김인호가 직접 나서서 제거했다. 공법상 준공하고 나면 천장이 5cm 가량 내려앉을 거라는 예측도 있었지만, 결국에는 3cm 정도만 낮췄다.
1971년 개장 당시에는 경북실내체육관이었지만 1981년 7월 대구시의 직할시 승격으로 경상북도에서 분리한 지 3년 후인 1984년 9월 현 명칭으로 개칭했다. 총 공사비는 37억여 원이었으며, 그 중 70%를 대구 시민의 성금으로 충당했다.
노후화를 이유로 철거하고 대체 체육관을 건립하자는 주장이 제기됐으나, 2021년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가 인천에서 대구로 이전해 오면서 일단 보류됐다.
2.1. 좌석
대구실내체육관 좌석 배치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30px" {{{#!folding 2024-25 시즌 상세 구분 및 가격표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2px" |
좌석 | 평일 | 휴일 및 특별 경기[4] | ||
1층 | 모빌 수퍼존 | 35,000 | 37,000 | ||
R석 (으뜸병원, 스티즈) | 30,000 | 32,000 | |||
S석 (하나은행, 으뜸병원, 스티즈) | 25,000 | 27,000 | |||
2층 | 모빌패밀리석 (4인)[1인] | 성인 | 15,000 | 17,000 | |
미성년자 | 9,000 | 10,000 | |||
하나VIP존 | 30,000 | 32,000 | |||
일반석 | 성인 | 15,000 | 17,000 | ||
미성년자 | 9,000 | 10,000 | |||
응원석 | 성인 | 17,000 | 19,000 | ||
미성년자 | 10,000 | 11,000 | |||
3층 | 일반석 | 성인 | 10,000 | 12,000 | |
미성년자 | 6,000 | 7,000 |
3. 역사
씨름대회에서는 1986년 6월 8일에 이봉걸이 이만기를 누르고 10대 천하장사가 됐으며 1991년 9월 24일에 강호동이 남동하를 누르고 23대 천하장사로 등극한 시설로 알려졌다.e스포츠에서는 KT-KTF 프리미어 리그 2003 리그 플레이오프 경기와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결승전이 열렸다.
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는 배구 경기장으로 사용했다.
3.1. 한국프로농구와의 관계
한국프로농구의 대구 오리온스[6]가 원년부터 2010-2011 시즌까지 홈으로 사용했으며 1998-1999 시즌 역대 최다 연패 기록인 32연패와 2001-2002 시즌 창단 첫 통합우승, 이듬해 2002-2003 시즌 정규리그 우승 및 챔피언 결정전 준우승 등 당시 팬들의 이목을 끌었던 팀이었다. 게다가 이 체육관은 한국프로농구가 출범했을 당시 입장 수익 사용료를 25%로 인하하기도 했고 2009년에는 예산 34억 원으로 보수 공사까지 했지만 이러한 대우와 투자에도 노후화한 인프라를 이유로 오리온스가 돌연 연고지 이전을 추진한 끝에 경기도 고양시로 떠나면서 한순간에 공실이 됐다.[7]오리온이 떠난 이후 10년 동안 대구에서는 농구가 열리지 않았으나 동구 신서동에 본사를 둔 한국가스공사가 2020-21 시즌까지 운영한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를 인수하고 연고지를 대구로 확정했다. 다만 지은 지 50년이 넘어간 노후 체육관이고 대구의 다른 종목 홈구장과 달리 교통편이 불편해서 팬들을 끌어오기 어려운 입지라서[8] 이곳을 임시 홈 구장으로 사용한 뒤, 서대구역세권 #이나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와 대구스타디움이 있는 수성구, 또는 달서구 옛 두류정수장 자리( 대구광역시청 신 청사 예정지 일부) #에 체육관이 신축되면 그쪽으로 이전할 것으로 보인다.
2021년 9월 20일까지 개보수를 완료했고, 9월 24일 우여곡절 끝에 대구로 연고지를 최종 확정지으면서[9] 2021년 10월 2일부터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농구단이 코트 적응을 위해 훈련을 시작했고 10월 10일 안양 KGC 인삼공사와의 2021~2022 시즌 홈 개막전이 열렸다. 2011년 3월 19일 창원 LG와 마지막 경기를 가진 뒤 3,858일(10년 6개월 22일) 만에 프로농구가 경기가 다시 열렸던 것이다. 참고로 이 경기장에서 10년 만에 프로농구 경기를 열면서 전주실내체육관을 제치고 KBL 10개 구단이 사용하는 체육관 중 가장 오래 되고 규모가 작은 경기장이 됐다.
2021년 10월 10일 10년만에 대구에서 열린 홈 개막전에서 디펜딩 챔피언 안양 KGC인삼공사에 88-73 승리를 거두고 오리온스가 마지막으로 이겼던 2011년 3월 13일 이후 10년 6개월 27일만에 대구에서 승리를 맛봤다. 공교롭게 승리를 거둔팀이 오리온스가 대구에서 마지막 경기를 치를때의 이긴 팀의 후신 KGC다.
전 대구 연고 팀 오리온과의 대구 경기는 2021년 11월 17일에 열렸고 88:79로 승리했다.
2022년 1월 16일에 이 곳에서 KBL 올스타전이 열렸다. 이는 비수도권에서는 울산과 부산, 창원에 이어 네 번째다. 직전 올스타전이 이팀의 전신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의 인천삼산월드체육관에서 열렸고 구단이 바뀌었지만 또 한번 그들의 홈구장에서 열리는 역사를 썼다. 2022년 1월 10일 올스타전 예매 시작 3분 만에 3,300석 전석 매진됐다.
2021-22 시즌 6위를 기록하고 2022년 4월 14일 인삼공사를 상대로 한국가스공사 시대 첫 플레이오프 경기를 치렀다. 공교롭게도 한국가스공사 시대 홈 개막전과 같은 상대였다. 그러나 안양 경기부터 내리 3패하면서 시즌을 마무리했다.
2022-23 시즌 9위로 빛이 바랬으나 10년만에 프로농구에 돌아오면서 관중들이 찾기 시작했다. 개막전에서 2,787명이 입장했으며 2023년 2월 12일 경기에서는 2,445명이 입장했다.
2023-24 시즌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창단 이후 첫 3000명을 돌파했다. 홈 개막전에서 3,004명이 입장했으며 크리스마스 매치에서 3,218명이 입장했다.
2023년 12월 31일 농구영신이 대구에서 개최되면서 대구 농구의 부활을 알렸다.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는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를 상대로 용띠에 농구영신을 치르게 된다. 기존 3,461석이 경기 전 매진되었고 시야방해석 약 300석을 현장에서 추가로 판매하여 3,533석을 기록하며 가스공사의 농구단 인수 후 최다관중 기록을 경신했다. #
여담으로 농구영신 경기 시간 1분 50여초를 남기고 23시 55분을 넘겼고 새해 5분전에 경기시간이 1분 이상 남아있다면 행사를 진행하기로 양팀이 협의가 된 상황이었기 때문에 농구영신 행사를 진행한 이후 나머지 경기를 치렀다. 이로 2018-19 시즌 창원실내체육관 이후 2번째로 무박 2일 경기를 치른 경기장이 됐다.
2024-25 시즌에는 팀의 시즌 초 7연승과 함께 11월 홈경기에서 3400여명이 입장하며 매진을 기록했다.
4. 클럽 하우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1658><tablebgcolor=#001658> |
한국프로농구 클럽하우스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현대인재개발원 | kt빅토리움 | 원주종합체육관 | LG세이커스 전용 훈련장† | 잠실학생체육관 | |
현대모비스 용인체육관‡ | 대구실내체육관† | 소노캄 고양 | 안양 정관장 아레나 | 삼성 트레이닝 센터 | |
† 숙소의 기능은 없는 경우. ‡ 시즌 중에는 일정에 따라 울산광역시 북구 양정동 소재의 현대자동차 사원 숙소를 사용하기도 한다. |
실내체육관 네 곳의 부속실 중 한 곳인 체육관 후문방면 우슈장을 리모델링해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구단의 클럽 하우스로 이용한다.
물리치료실, 휴식 공간, 웨이트 룸으로 구성하고 있다. 내부 사진[10]
클럽 하우스 시설은 온전히 농구단이 이용할 수 있어서 체육관 대관과는 관계없이 이용 가능하다
5. 교통편
5.1. 대구권 지역에서 출발하는 경우
5.1.1. 버스
버스 | ||
구분 | 노선 | |
실내체육관: 00233 · 00234 | ||
대구시내버스 | ||
간선 | ||
산격4동행정복지센터: 00227 · 09069 | ||
대구시내버스 | ||
간선 | ||
산격청구맨션/대구시청산격동청사: 00241 · 02118 | ||
대구시내버스 | ||
순환 | ||
간선 | ||
경북대체육센터: 00349 · 05242 | ||
대구시내버스 | ||
간선 |
5.1.2. 전철
|
||
4호선 (미개통) |
- 현재까지 연계되는 도시철도 노선 및 역이 개통하지 않은 상태다. 그나마 1호선 칠성시장역이 제일 가깝지만 2km 가량 떨어져 있어 버스 환승이 필수적이다.[11]
- 2030년에 체육관과 약 500m 떨어져 있는 4호선 경대북문역이 생길 예정이다.
5.2. 다른 지역에서 출발하는 경우
이용구분 | 이용경로 | 소요시간[12] | |
<colbgcolor=#e3e3e3><colcolor=#3d4498> 고속버스 시외버스 |
동대구터미널 |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앞에서 순환2-1번 승차 → 산격청구맨션앞 하차 | 17분 |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 1안: 만평네거리에서 323번 승차 → 산격4동행정복지센터건너 하차 | 24분 | |
2안: 만평역(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2에서 719번 승차 → 대구시산격청사건너2 하차 | 22분 | ||
북부정류장 | 북부정류장건너에서 323번 승차 → 산격4동행정복지센터건너 하차 | 26분 | |
서부정류장 | 1안: 두리봉네거리2에서 836번 승차 → 실내체육관건너 하차 | 40분 | |
2안: 서부정류장-관문시장앞에서 706번 승차 → 대구시산격청사건너2 하차 | 42분 | ||
3안: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건너에서 306번 승차 → 경북대체육센터앞에서 하차 | 45분 | ||
고속열차 일반열차 |
동대구역 | 동대구역에서 순환2-1번 승차 → 산격청구맨션앞 하차 | 15분 |
서대구역 | 1안: 서대구역(남측)1에서 234번 승차 → KT북대구지사건너에서 836번 환승 → 실내체육관건너 하차 | 34분 | |
2안: 서대구역(남측)1에서 309/ 칠곡6번 승차 → 북부정류장건너에서 323번 환승 → 산격4동행정복지센터건너 하차 | 35분 | ||
대구역 | 1안: 대구역북편네거리1에서 304번 승차 → 실내체육관건너 하차 | 11분 | |
2안: 대구역북편네거리1에서 706번 승차 → 대구시산격청사건너2 하차 | 9분 | ||
3안: 대구역북편네거리1에서 623번 승차 → 산격청구맨션앞 하차 | 10분 | ||
4안: 대구역북편네거리1에서 410번 승차 → 경북대체육센터앞 하차 | 9분 | ||
항공편 | 대구국제공항 | 1안: 대구국제공항앞에서 719번 승차 → 경북대체육센터건너 하차 | 21분 |
2안: 불로삼거리에서 101-1번 승차 → 실내체육관앞 하차 | 21분 |
6. 구장 변경점[13]
2021-22 시즌
}}} ||- 구단의 상징색에 따라 코트 바닥을 빨간색으로 구성했다.
-
2021년 9월부터 10월까지 10여년만의 프로 농구경기를 위해 바닥, 샤워실, 라커룸 보수 및 노후된 농구 골대 교체, 전광판 대여
#
- 구단의 원활한 훈련을 위한 클럽 하우스 건설을 위해 체육관 부속 공간인 우슈 훈련장을 리모델링했다.[14]
2022-23 시즌
}}}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의 상징색을 팬 투표에 의해 빨간색에서 파란색으로 변경함에 따라 15년 만에[15] 코트 바닥이 파란색으로 돌아갔다.
- 2층, 3층 난간을 쇠기둥에서 강화 유리로 교체했다.
- 예산 10억 원을 투입해 2022년 7월 중순부터 9월까지 80일간 방수, 내외부 미장 공사, 외부 창호 공사, 도색, 클럽 하우스 온수기, 환풍기 및 위생 기구 설치를 포함한 보수 공사를 완료했다. #
- 예산 12억 원을 투입해 LED 조명 공사, 컬러 전광판[16] 구매.
2023-24 시즌
}}} ||- 구단이 엠블럼을 변경함에 따라 체육관 곳곳에 있는 구 엠블럼을 새로운 엠블럼으로 교체 및 구장을 덮고 있던 파란색 시트지를 하늘색 시트지로 변경
- 2층 관중석 앞쪽에 띠 전광판 설치
- 체육관 내 구내 매점이 없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체육관 앞에 푸드 트럭 배치
- 그간 구단 관계자, 초대 손님에게만 개방되던 2층 본부석을 2, 3열에 한하여 일반 관중들에게도 개방 및 간이 테이블을 추가, 의자 교체. #
- 1,2층 관중석 계단 하늘색으로 도배 및 패밀리석 오락시설 설치. #
- 12월 21일부터 모빌슈퍼 패밀리존에 3m 페가수스 에어 인형을 설치했다. #
2024-25 시즌
}}} ||
- 지난 시즌 하늘색으로 변경했던 시트지를 다시 파란색으로 변경 및 코트 바깥에 초록색 매트를 파란색으로 변경했다.
- 경기 시작 전 3D 프로젝션 맵핑 영상도입[21] 및 1층 코트근처 유휴 공간을 천막으로 가려 깔끔하게 변경했다. 체육관 복도 또한 새로 페인팅 이후 포토존으로 구성 계획, 1층 엔드라인 좌석 의자 교체 및 좌석 수 추가 예정. #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 <tablebordercolor=#008837><tablewidth=250><tablebgcolor=#008837> | }}}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555555" |
삼성 라이온즈 | 대구 FC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 DGB대구은행파크 | 대구실내체육관 |
[1]
KBL 기준
[2]
KBL 경기 시 시야방해석을 제외한 3,461석만 운영한다.
[3]
역사적으로도 신라는 한반도의 동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4]
개막전, 크리스마스, 농구영신, 브랜드데이, 플레이오프(진출 시)
[1인]
1인당 가격
[6]
출범 당시에는 대구 동양 오리온스였으나 2003-2004 시즌부터 대구 오리온스라는 새 이름으로 활동했다.
[7]
게다가 오리온은 구단을 운영하는 주체인데도 노후 인프라 개선은커녕 연고지인 대구광역시와 친밀해지기 위한 노력 자체를 일절 안 해 왔다. 오히려 구단을 매각하기 위해 경기도 고양시로 연고를 이전했다.
[8]
스포츠 팬들을 효율적으로 모으려면 전철같은 궤도 교통의 필요성이 절실하며, 실제로 대구의 다른 종목 홈구장 중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는
2호선
수성알파시티역,
DGB대구은행파크는
3호선
북구청역,
1호선
대구역과 인접해 있어서 관중 동원에 매우 유리하다. 반면 대구실내체육관은 가장 가까운 역이
1호선
칠성시장역인데 직선 거리로 2km나 떨어져서 사실상 궤도교통의 혜택을 못 입는 위치이니 관중 동원이 불리할 수밖에 없고,
4호선이 개통하면 남쪽으로
경대북문역이 생길 예정이라고는 하지만 2030년에 완공될 예정인데다가
동성로를 비롯한 대구의 도심 지역을 전혀 경유하지 않아서 개통하더라도 수요 창출에 한계가 있는 노선이다. 대구실내체육관에서 동성로로 가는 시내버스 노선은
304번 단 하나뿐. 그나마 조금 더 걸으면
410(-1)번,
706번 등이 있다.
[9]
대구광역시와 정식으로 연고지 협약을 맺은 것은 아니고, KBL에서 연고지 이전을 승인한 것이었다. 정식 연고 협약은 2022년 9월 19일에 맺었다.
[10]
본래 선수단 영상 회의실 공간이 마련돼있었으나 구단 사무실이 완공되면서 이전했고 그 공간을 휴식공간으로 리모델링했다.
[11]
1호선을 이용할 경우 칠성시장역에서 304, 306, 403, 623번으로, 2호선을 이용할 경우 반월당역에서 304, 410, 706번으로, 3호선을 이용할 경우 북구청역에서 101, 300, 323, 523번으로 환승하면 된다.
[12]
도보속도 보통 4.5km/h 기준. 환승도보시간 포함, 환승대기시간 제외한 소요시간. 마지막 정류장에서 경기장까지 도보소요시간 제외. 평상시 소요시간이므로 도로교통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출처: 카카오지하철·카카오맵
[13]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입주 이후
[14]
시즌 중에 공사를 진행했기 때문에, 해당 시즌에는 클럽 하우스에서 헬스장만 이용 가능했다.
[15]
대구 (동양) 오리온스가 빨간색 코트를 쓴 건 2007-08 시즌부터이며, 그 이전인 1998-99 시즌부터 2006-07 시즌까지는 파란색 바닥을 썼다. 원년은 하늘색/빨간색, 1997-1998 시즌은 파란색/빨간색 조합.
[16]
이전에 있던 노후화된 전광판은 황색 전광판이었다.
[17]
KEB외환은행 시절부터
한국가스공사의 주거래 은행이다.
[18]
이전까지 대구은행(현 iM뱅크) 본점에 사무실을 임대해서 사용했는데 인터넷을 설치할 수 없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했다.
[19]
일부는 지역 자율 방범대가 이용하고, 약 80평 정도를 구단이 활용한다.
[20]
기존 클럽하우스에 위치했던 영상 회의실이 새로 만들어지는 구단 사무실로 이전하며 해당 공간을 선수단 휴식 공간으로 변경
[21]
브랜드 데이를 포함한 3,4경기정도 운영할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