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2-31 15:22:33

창덕궁 농산정

농산정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대보단
건무문 광지문 수문
청의정 태극정 농산정 옥청문
농포
소요암 옥류천
소요정 수문
취한정
수복방 신선원전 진설청
괘궁정 취규정
재실
능허정
의효전 사가정 청심정 천향각
몽답정 산단
백운사
천성동 태청문
청연각
존덕정
외삼문 폄우사 척뇌당
관람정
한려청 반도지
승재정
부군당
반빗간 태일문
통벽문 우신문 농수정
연경당 선향재
국출신직소 수인문 장양문
장락문
창덕궁 애련정 수궁
어수당 애련지
불로문
석거문 금마문 영춘문
운경거 의두합
희우정 천석정
서향각 주합루
어수문
사정기비각 부용지 영화당 춘당대 서총대
부용정
요금문 수문장청 서소 개유와 열고관
창송헌 수정전 가정당
수궁 습취헌 집상전
영모당
생물방 경복전 경훈각 징광루 함원전
소주방 청향각
숙경재 의풍각 융경헌 대조전 흥복헌
수랏간 관리합
만수전 태화당 재덕당 정묵당 요휘문 경극문 창경궁
경추문 수문장청 보경당 선평문 양심합 여춘문 병경문
함양문
서북 진설청 내재실
선원전
서남 진설청 동남 진설청
만수문 건중문 희정당 자선재 영안문
양지당 만안문 관광청 선정전 유덕당 건인문
책고 인정전 관물헌 석유실 어휘문
봉모당 억석루 연경문 만복문 향실 선정문 성정각 보춘정 양성재 중희당 칠분서 해당정 수방재 연영합 평원루 취명문
운한문 영의사 예문관 서방색 소주방 선화문 자시문 삼삼와 승화루 한정당 보화문
숭범문 선전관청 장방 영현문 전의사 취운정 협문
훈국초관인직소 이문원 검서청 약방 내삼청 광범문 대전장방 내반원 낙선재 석복헌
훈국초관인직소 홍문관 당후( 승정원) 문서고 궁방 사옹원 등촉방 대은원 수강재
훈국군파수직소 정청 육선루
악기고
승정원 상서성 연영문 협양문 무예청 장락문 주명문
남소
위장청
인정문 + 양사( 사간원) 공상청 사알방 누국
수문장청 금천교 진선문 숙장문 건양문 일영대
금호문 결속색
정색
내병조
(창덕궁관리소)
호위청 상서원 배설방 금위군번소 패장직소 별감방 전루 문기수번소 저승전 낙선당
무비사
의장고
전설사 빈청
(어차고)
진수당 장경각 계방
수문장청 돈화문 수문장청 교자고 상의원 치미각 시민당 군옥재 춘방 등룡문
원역처소 수문장청 전루 별감방 등촉방 배설방 훈국군번소 사주문
단봉문 종묘 북신문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colbgcolor=#bf1400> 창덕궁 농산정
昌德宮 籠山亭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 와룡동 2-71번지)
건축시기 1636년 (창건 추정)
파일:창덕궁 농산정.jpg
<colbgcolor=#bf1400> 농산정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입체 영상. 소요정, 취한정, 취규정, 청의정, 태극정과 같이 소개한다.

1. 개요2. 이름3. 역사4. 구조

1. 개요

창덕궁 후원 옥류천 권역에 있는 건물이다.

이름은 정자이지만 사방이 트인 일반 정자들과 달리 마루 온돌방이 있어서 사람이 묵을 수 있었다. 또한 부엌도 있어서 음식을 만들 수도 있었다.

이를 종합해보면, 왕이 쉬려고 만든 별당 혹은 옥류천 일대에서 가벼운 행사 등을 할 때 필요한 음식을 만드는 용도였던 듯 하다.

2. 이름

'농산(籠山)' 뜻은 '으로 싸여있다'이다. '농(籠)'은 직역하면 ' 대나무 바구니', '같은 상자'를 말하는데 의미를 확장해서 '둘러싸다'는 뜻으로도 쓴다. 산 속에 둘러싸인 아름다운 경관을 건물의 이름으로 쓴 것이다.

3. 역사

창건 시기는 모른다. 다만, 1636년( 인조 14년)에 지었다는 설이 있다.

공식 기록에 처음 나타난 때는 정조 때인 1792년(정조 16년) 3월이다. 《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정조가 대보단에 참배하기 전에 여기서 여러 번 묵었다는 내용이 나온다. # # 1795년(정조 19년) 2월에는 현륭원 행차를 대비해 혜경궁 홍씨 가마를 메는 예행 연습을 후원에서 한 뒤 수고한 신하들에게 여기서 음식을 대접했다. # 여기까지 오느라 더 고생했을 듯 하다[1]

순조는 여기서 관리 및 유생들의 학문을 시험하기도 했다. 입직한 음관들에게 시를 짓게 하고[2] # #, 성균관 유생의 응강[3]을 행했다. # #

이후 큰 변화 없이 오늘에 이른다.
파일:옛날 농산정1.png
<colbgcolor=#bf1400> 왼쪽은 《동궐도》의 농산정(붉은 원 안), 오른쪽은 《조선고적도보》의 농산정

4. 구조



[1] 창덕궁 후원에서 옥류천 일대를 가려면 높은 언덕을 올라가야한다. [2] 이를 응제(應製)라고 한다. [3] 應講. 강경과(講經科)에 응(應)하는 것. 강경과는 과거에서 외운 경서를 암송시킨 후 등락 점수를 매기는 시험이다. [4]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 [5] 가칠단청 위에 선만 그어 마무리한 단청이다. [6] 翠屛. 나무로 뼈대를 세운 뒤 뼈대 사이마다 키 작은 나무나 덩굴 식물을 심어 자라게 하는 형태의 담을 말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