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진기(동명이인) 문서 참고하십시오.
||<tablewidth=100%><width=20%>
원용덕 ||<width=20%>
조흥만 ||<width=20%>
전이호 ||<width=20%>
김재현 ||<width=20%>
전이호 ||
초대
원용덕 ||<width=20%>
제2대
조흥만 ||<width=20%>
제3대
전이호 ||<width=20%>
제4대
김재현 ||<width=20%>
제5대
전이호 ||
제6대 이강대 |
제7대 이찬영 |
제8대 정만교 |
제9대 이인호 |
제10대 정수남 |
제11대 김익순 |
제12대 최춘호 |
제13대 박승만 |
제14대 김정규 |
제15대 라흥도 |
제16대 윤장근 |
제17대 김만기 |
제18대 김진기 |
제19대 조명기 |
제20대 이동노 |
제21대 박희용 |
제22대 허신 |
제23대 최석립 |
제24대 신윤희 |
제25대 서철수 |
제26대 손태진 |
제27대 김영덕 |
제28대 류순곤 |
제29대 조래원 |
제30대 김보영 |
제31대 조래원 |
제32대 김보영 |
제33대 김시천 |
제34대 유외수 |
제35대 이정 |
제36대 한성동 |
제37대 홍종설 |
제38대 윤종성 |
제39대 승장래 |
제40대 백낙종 |
제41대 이종협 |
제42대 이재섭 |
제43대 이태명 |
제44대 전창영 |
제45대 박헌수 |
※ 명칭 변천 : 헌병총사령관 (초대) ▸ 국방부 합동조사대장 (2 ~ 11대) ▸ 국방부 조사대장 (12 ~ 24대) ▸ 국방부 합동조사단장 (25대 ~ 35대) ▸ 국방부 조사본부장(36대 ~ 현임)
|
||||
※ 계급 변천 : 대령 (3, 5~8, 10, 12, 14, 15, 20~22, 28, 34, 42대) ▸준장 (2, 4, 9, 18~19, 25, 29~30, 43~ 현재) ▸소장 (11, 13, 16~17, 23~24, 26~27, 31~33, 35~41대) ▸ 중장 (초대) |
<colbgcolor=#2A5034><colcolor=#ffffff> | |
|
|
출생 | 1932년 4월 19일 |
평안북도 후창군 | |
사망 | 2006년 12월 28일 (향년 74세) |
서울특별시 | |
묘소 | 국립대전현충원 장군 제2묘역-6호 |
학력 |
평양제일고등보통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 / 석사) |
경력 | 한국토지공사 이사장 |
군사 경력 | |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1950년 ~ 1980년 | |
임관 |
육군사관학교 (9기) 갑종간부후보생 (6기) |
최종 계급 | 준장 (대한민국 육군) |
최종 보직 | 육군본부 헌병감 |
주요 보직 |
국방부 조사대장 육군본부 헌병차감 제3야전군사령부 헌병참모처장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의 장군. 최종 계급은 준장, 병과는 헌병, 최종 보직은 육군본부 헌병감( 병과장) 겸 계엄사령부 치안처장이었다.장태완, 정병주, 하소곤 장군 등과 더불어 12.12 군사반란 당시 신군부에 끝까지 저항한 장군 중 1명이었다.
2. 생애
1932년 평안북도 후창군[1]에서 태어났다. 평양제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2] 6.25 전쟁 직전 월남하여 육군사관학교 9기로 입교하였으며 이후 다시 대한민국 육군 갑종간부후보생 6기로 임관되었다. 6.25 전쟁과 베트남 전쟁 등에 참전하였고 보국훈장 삼일장, 보국훈장 천수장, 화랑 무공훈장, 베트남 1등 무공훈장 등을 수훈받았다. 헌병 중대장, 헌병 대대장, 3군 헌병참모, 육군 헌병차감, 국방부 조사대장, 육군 헌병감 등을 지냈다.1979년 육군본부[3] 헌병감으로 재직 중 10.26 사건 당시 정승화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의 지시로 김재규 중앙정보부장 체포 작전을 직접 지휘했다. 대통령 시해범이 중정부장임을 알게 된 정승화는 육군 벙커로 김진기를 불러 육군참모총장 비서실장으로 위장시킨 뒤 김재규를 체포해 국군보안사령부에 인계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김진기는 김재규를 유인하여 헌병 중대장 이기덕 대위, 국군보안사령부 오일랑 중령과 함께 체포해 국군보안사령부로 인계했다.[4] 이후 같은 해 계엄 선포 이후 계엄사령부 치안처장으로 임명되었으며 치안처장 재직 당시 전두환 합동수사본부장의 정보 독점 월권 행위로 인해 치안처 및 헌병대에 정보가 오지 않자 당시 정승화 계엄사령관에게 전두환의 월권 행위에 대한 보고를 하기도 했다.[5]
1979년 12월 장태완 수경사령관, 정병주 특전사령관 등과 함께 12.12 군사반란을 진압하려 하였다. 당시 그는 신군부에 의해 친정승화 계열로 분류되어 장태완 수경사령관, 정병주 특전사령관과 함께 연희동 위장 만찬에 유인되어 있었다. 그러나 헌병감실에 연희동 음식점 전화번호를 알려놓고 나와 정승화 총장이 불법 연행되었을 때 연락을 받아 다른 장군들에게 알렸다. 육군본부로 복귀한 후 보고를 통해 전두환 등 신군부 세력이 반란을 일으켰다는 것을 인지했고, 이에 최규하 대통령에게 정승화 체포 승인을 받기 위해 총리공관에 머물던 전두환 보안사령관을 체포하라고 직속 부하인 총리공관 헌병 특별경호대장 구정길 중령에게[6] 명령하지만 헌병 경비 병력들이 하나회 병력인 대통령 경호실 병력[7]에 의해 무장해제되며 실패한다. 김진기는 휘하의 헌병 병력을 이용해 최규하 대통령을 구출하려 했지만 하극상으로 인한 병력 부족으로 좌절된다.[8] 그 뒤 수도경비사령부 지휘부에서 수도경비사령부 헌병단 부단장 신윤희 중령에게 무장해제된다. 국군보안사령부로 연행되어 조사를 받았으며 이후 얼마 안가 쿠데타 주역들의 장식품이 되기 싫어 1980년 예비역 준장으로 자진 예편하고 군을 떠난다.
예편 후 수원에서 농사를 짓다 반란군 주역들이 득세하는 세상이 꼴보기 싫어 아예 사람들 눈에 안띄는 섬(보문도)에 들어가 광어 양식업을 하기도 했다. 1987년 11월에는 정병주 전 특전사령관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어 신군부의 만행을 폭로했으며, 이후 노태우 정부에서 이런저런 자리를 제의받기도 했지만 모두 거절하고, 영국 전략문제연구소, 일본 평화안전보장연구소에 머물렀다. #
1993년 문민정부 시대가 열리자 한국토지공사 이사장으로[9] 임명되었으며, 이건영, 하소곤, 정승화 등과 함께 전두환을 내란죄로 고발했다.
2006년 지병으로 사망했다.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3. 여담
- 부인 김신자 여사와의 사이에서 슬하에 1남 2녀를 두었다.
- 호는 산민(山民), 본관은 김해, 종교는 개신교이다.
- 다른 진압군 장성들과 마찬가지로 김진기도 하나회 소속의 직속 부하들에게 모조리 하극상을 당했다. 전두환의 명령으로 정승화를 체포한 우경윤 당시 범죄수사단장(대령)과 성환옥 당시 헌병감실 기획과장(대령) 모두 직속 부하였고, 최석립 제33헌병대장 역시 자기 휘하만 아니고 지휘체계 상 경호실 소속일 뿐 자기 병과 후배로서 나름 다정했던 모양이다.[10] 애초에 그들이 전두환의 명령으로 정승화를 체포하지 않았더라면 12.12 군사반란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이와 별개로 장태완, 정병주, 김진기를 연희동 만찬으로 유인했던 조홍 헌병단장은 이미 본인 후임자로 내정되었던 상태였다! 이 배신으로 인해 김진기는 정신적으로 큰 충격을 받았고, 이후 한 언론 인터뷰에서 그는 "평생을 쿠데타의 악몽에 시달렸다."고 여한이 남은 목소리로 씁쓸한 심정을 밝혔다.[11]
4. 대중매체에서
- 1995년 SBS 드라마 < 코리아게이트>에서는 배우 최동준이 연기했다.
- 1996년 MBC 드라마 < 제4공화국>에서는 배우 조재훈[12]이 연기했다.
- 2005년 MBC 드라마 < 제5공화국>에서는 배우 김주영이 연기했다.
-
2023년 영화 서울의 봄에선 본 인물을 모티브로 만든 캐릭터인 ' 김준엽'을 배우 김성균이 연기했다.[13]
5. 관련 문서
[1]
오늘날
량강도
김형직군.
[2]
재학 당시 성적이 우수해 1학년 월반했다고 한다.
[3]
1990년 이전에는 육본이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었다. 현재는 그 자리에
전쟁기념관이 세워져 있다.
[4]
후에 김진기는 이 때가 삶에서 가장 긴장되었던 순간이었다고 회고했다.
[5]
이 보고는 정승화가 전두환을
숙청하려고 결심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10.26 사건과
12.12 군사반란이 일어나던 시점을 기준으로 1932년생 김진기 준장은 1931년생 전두환 소장보다 1살 어리고 계급은 한 단계 낮았으나 장교 임관은 무려 5년이나 빨라서 표면상으로는 선배였다. 그러나 전두환을 필두로 한 4년제 정규육사 11기는 간이 교육을 받은 11기 이전에 육사 출신과 갑종장교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전두환의 손아랫동서인 육사 출신
김상구 중령이 상관이었던 갑종 출신
장태완 당시 준장에 항명한 사건에서 잘 드러난다.
[6]
당시 최규하는
대통령에 당선된 상태였으나 대통령 취임 선서 이전이라 총리공관에 머물러 있었고 총리공관의 경비는 육군본부 헌병감실 소속 헌병대가 맡고 있었다.
[7]
병력을 이끄는
정동호 당시 경호실장 직무대리 겸 상황실장과 고명승 경호실 작전과장 모두 하나회였다.
[8]
성환옥, 우경윤 대령이 유사시 지휘 가능한
33헌병대 병력을 모두 육군참모총장 공관에 이끌고 갔기 때문이다.
[9]
현
한국토지주택공사
이사장. 참고로 LH 이사장 자리는 지금도 좋은 자리로 통하지만 당시에는 1기 신도시 및 대전 둔산지구, 광주 상무지구 등이 한참 삽을 뜰때라서 상상 이상으로 영향력이 큰 자리였다.
[10]
우경윤은 체포 도중 오인 사격으로 인해 반신불구가 되어 군에서 예편한다.
[11]
보통 장교들이 서로 사적으로 친하면 직속 상관과 하급자 간 준의형제 관계를 맺어, 사석 호칭은 직책/계급이 아니라 형님, 선배님 등으로 부를 만큼 끈끈한 경우가 많다. 당장
장태완이
김진영과
장세동을 직속 부하이자 아들같은 참모들로 아꼈고,
정병주 특전사령관과
박희도,
최세창,
장기오 역시 서로를 형, 동생으로 칭하며 어울렸던 사이였고, 김진기 헌병감 역시
조홍, 신윤희, 우경윤,
성환옥,
최석립을 병과장이자 육해공 전군 헌병 병과의 총지휘관 및 선배로서 끔찍히도 챙겼었다고 하니 배신감이 훨씬 컸을 것이다. 상술한 하나회 일원들 중 조홍은 당시 군내 치안수사망 가동시 김진기 헌병감 휘하에도 들면서 장태완 수경사령관 직속 부하이기에, 군 관련 범죄를 수사하여 방첩기관이나 여타 기관으로 인계해주는 동시에 시가전과 수도 서울의 유사시 민간-군사치안 임무도 동시에 소화해내야 할
수경사 헌병단장이었다. 이는 조홍 본인이 장태완 장군의 정당한 수경사 현장 지휘권 행사를 무시한 건도 모자라 김진기 장군의 명령도 거부한 것이라 몇몇 멤버들 못지 않다곤 하나, 하나회 멤버들 중에선 은인 둘에게 하극상을 쌍으로 맥여버린 셈이다.
[12]
배우
조향기의 아버지이다.
[13]
사족으로 배우가 전에 맡았던 드라마
D.P.의
박범구 중사가 생각난다는 이야기가 많았다. 심지어 박범구도 헌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