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기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김승기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L 챔피언 결정전 우승 반지 | |||
2003 (선수) |
2008 (코치) |
2017 (감독) |
2021 (감독)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658><tablebgcolor=#001658> |
KBL 최우수 수비상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f2023,#ddd |
<rowcolor=#fff> 1997 시즌 | 1997-98 시즌 | 1998-99 시즌 | 1999-2000 시즌 | 2000-01 시즌 |
이훈재 기아 / 포워드 |
김영만 기아 / 포워드 |
추승균 현대 / 포워드 |
양경민 삼보 / 포워드 |
양경민 삼보 / 포워드 |
|
<rowcolor=#fff> 2001-02 시즌 | 2002-03 시즌 | 2003-04 시즌 | 2004-05 시즌 | 2011-12 시즌[a] | |
김승기 삼보 / 가드 |
박규현 LG / 가드 |
김주성 TG삼보 / 포워드 |
추승균 KCC / 포워드 |
김주성 동부 / 포워드 |
|
<rowcolor=#fff> 2012-13 시즌[b] | 2013-14 시즌 | 2014-15 시즌 | 2015-16 시즌 | 2016-17 시즌 | |
양동근 모비스 / 가드 |
양희종 KGC / 포워드 |
양동근 모비스 / 가드 |
이승현 오리온 / 포워드 |
이승현 오리온 / 포워드 |
|
<rowcolor=#fff> 2017-18 시즌 | 2018-19 시즌 | 2019-20 시즌 | 2020-21 시즌 | 2021-22 시즌 | |
박찬희 전자랜드 / 가드 |
박찬희 전자랜드 / 가드 |
문성곤 KGC / 포워드 |
문성곤 KGC / 포워드 |
문성곤 KGC / 포워드 |
|
<rowcolor=#fff> 2022-23 시즌 | 2023-24 시즌 | 2024-25 시즌 | 2025-26 시즌 | 2026-27 시즌 | |
문성곤 KGC / 포워드 |
오재현 SK / 가드 |
||||
<rowcolor=#fff> 2026-27 시즌 | 2027-28 시즌 | 2028-29 시즌 | 2029-30 시즌 | 2030-31 시즌 | |
[a] 1997 시즌부터 2011-12 시즌까지는 '우수 수비상' 수상자. 우수 수비상은 2005-06 시즌 폐지되었다가 2011-12 시즌부터 다시 시상. [b] 2012-13 시즌부터 '최우수 수비상'으로 시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658><tablebgcolor=#001658> |
KBL 2000~2005 수비 5걸상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f2023,#ddd |
<rowcolor=#fff> 가드 | 가드 | 포워드 | 포워드 | 센터 |
2000-2001 시즌 | |||||
로데릭 하니발 SK |
조동현 신세기 |
김영만 기아 |
양경민 삼보 |
재키 존스 SK |
|
2001-2002 시즌 | |||||
김승기 삼보 |
조동현 빅스 |
마르커스 힉스 동양 |
추승균 KCC |
재키 존스 KCC |
|
2002-2003 시즌 | |||||
박규현 LG |
강대협 SBS |
추승균 KCC |
마르커스 힉스 동양 |
라이언 페리맨 LG |
|
2003-2004 시즌 | |||||
강혁 삼성 |
김승현 오리온스 |
김주성 TG삼보 |
추승균 KCC |
R.F. 바셋 KCC |
|
2004-2005 시즌 | |||||
양동근 모비스 |
강혁 삼성 |
추승균 KCC |
이병석 모비스 |
크리스 랭 SK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658><tablebgcolor=#001658> |
KBL 역대 감독상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f2023,#ddd |
<rowcolor=#fff> 1997 시즌 | 1997-98 시즌 | 1998-99 시즌 | 1999-2000 시즌 | 2000-01 시즌 |
최인선 기아 |
신선우 현대 |
신선우 현대 |
최종규 삼보 |
김동광 삼성 |
|
<rowcolor=#fff> 2001-02 시즌 | 2002-03 시즌 | 2003-04 시즌 | 2004-05 시즌 | 2005-06 시즌 | |
김진 동양 |
김진 동양 |
전창진 TG삼보 |
전창진 TG삼보 |
유재학 모비스 |
|
<rowcolor=#fff> 2006-07 시즌 | 2007-08 시즌 | 2008-09 시즌 | 2009-10 시즌 | 2010-11 시즌 | |
유재학 모비스 |
전창진 동부 |
유재학 모비스 |
전창진 kt |
전창진 kt |
|
<rowcolor=#fff> 2011-12 시즌 | 2012-13 시즌 | 2013-14 시즌 | 2014-15 시즌 | 2015-16 시즌 | |
강동희 동부 |
문경은 SK |
김진 LG |
유재학 모비스 |
추승균 KCC |
|
<rowcolor=#fff> 2016-17 시즌 | 2017-18 시즌 | 2018-19 시즌 | 2019-20 시즌 | 2020-21 시즌 | |
김승기 KGC |
이상범 DB |
유재학 현대모비스 |
이상범 DB |
전창진 KCC |
|
<rowcolor=#fff> 2021-22 시즌 | 2022-23 시즌 | 2023-24 시즌 | 2024-25 시즌 | 2025-26 시즌 | |
전희철 SK |
김상식 KGC |
김주성 DB |
|
|
|
<rowcolor=#fff> 2026-27 시즌 | 2027-28 시즌 | 2028-29 시즌 | 2029-30 시즌 | 2030-31 시즌 | |
}}} ||
김승기의 역임 직책 | ||||||||||||||||||||||||||||||||||||||||||||||||||
|
||||||||||||||||||||||||||||||||||||||||||||||||||
김승기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cc33 [[서울 삼성 썬더스|수원 삼성 썬더스]] 등번호 12번}}} | |||||||||||||||||||||||||||||||||||||||||||||||||
케빈 비어드 (1997) |
→ |
김승기 (1997~1998) |
→ |
장기명 (1998~2000) |
||||||||||||||||||||||||||||||||||||||||||||||
원주 TG 엑써스 등번호 12번 | ||||||||||||||||||||||||||||||||||||||||||||||||||
김영래 (1997~1998) |
→ |
김승기 (1998~2003) |
→ |
처드니 그레이 (2004~2005) |
||||||||||||||||||||||||||||||||||||||||||||||
울산 모비스 오토몬스 등번호 12번 | ||||||||||||||||||||||||||||||||||||||||||||||||||
구병두 (2002~2003) |
→ |
김승기 (2003~2004) |
→ |
황문용 (2004~2005) |
||||||||||||||||||||||||||||||||||||||||||||||
울산 모비스 피버스 등번호 5번 | ||||||||||||||||||||||||||||||||||||||||||||||||||
R.F. 바셋 (2003~2004) |
→ |
김승기 (2004~2005) |
→ |
하상윤 (2005~2011) |
||||||||||||||||||||||||||||||||||||||||||||||
원주 동부 프로미 등번호 12번 | ||||||||||||||||||||||||||||||||||||||||||||||||||
처드니 그레이 (2004~2005) |
→ |
김승기 (2005~2006) |
→ |
김봉수 (2010~2013) |
}}} ||
대한민국의 농구 감독
|
||
|
||
김승기 金承基 |
||
출생 | 1972년 2월 26일 ([age(1972-02-26)]세)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신체 | 신장 182cm| 체중 86kg | |
직업 |
농구 선수 (
포인트 가드,
슈팅 가드 / 은퇴) 농구 감독 |
|
종교 | 불교 | |
학력 |
서울대방초등학교 (졸업) 용산중학교 (졸업) 용산고등학교 (졸업) 중앙대학교 (학사) |
|
가족 |
배우자 김지혜(1973년생) 장남 김진모(1998년생)[1] 차남 김동현(2002년생)[2] |
|
실업 입단 | 1994년 삼성전자 농구단 | |
등번호 | 12[3], 5[4] | |
병역 | 상무 농구단 (1995~1997) | |
소속 | 선수 |
삼성전자 농구단 (1994~1995) 수원 삼성 썬더스 (1997~1998) 원주 나래-TG 엑써스 (1998~2003) 울산 모비스 피버스 (2003~2005) 원주 동부 프로미 (2005~2006) |
코치 |
원주 동부 프로미 (2006~2009) 부산 kt 소닉붐 (2009~2015 / 수석 코치) 안양 KGC인삼공사 (2015 / 수석 코치) |
|
감독 |
안양 KGC인삼공사 (2015 / 감독 대행) 안양 KGC인삼공사 (2016~2022) 고양 캐롯-데이원 점퍼스 (2022~2023)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2023~2024)[5]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출신 감독. 현역 시절의 별명은 '터보 가드'.한국프로농구 역사상 선수, 코치, 감독으로 모두 우승한 최초의 농구인이다.[6]
2. 선수 경력
|
자세한 내용은 김승기(농구)/선수 시절 문서 참고하십시오. |
3. 지도자 경력
|
자세한 내용은 김승기(농구)/지도자 경력 문서 참고하십시오. |
4. 플레이 스타일
전형적인 힘농구를 했던 수비형 가드였다. 강한 체력을 바탕으로 하는 압박 농구와 맞았으며 슈팅도 정확했다. 하지만 리딩은 별로였다. 코치와 감독이 되어서도 뻇는 농구 즉 공격 농구를 구사한다. 중앙대 기준으로 보면 김태환 감독을 연상하면 된다.5. 논란 및 사건 사고
자세한 내용은 김승기(농구)/논란 및 사건사고 문서 참고하십시오.6. 여담
-
용산고등학교 선배이자 옛 스승으로 원주 TG삼보에서 선수와 감독, 부산 kt에서 코치와 감독으로 한솥밥을 먹었던
전창진 감독에게는
전술을 깨알같이 잘 알고 있어서일지 몰라도상대 전적에서 3승 2패로 앞서고 있다. 19-20 시즌 KCC를 상대로 홈에서는 1승 2패로 밀렸으나 전주 원정에서는 2번 모두 이겨서 전승을 했다. 20-21시즌에는 1,2라운드를 모두 져서 3승 4패로 다시 열세가 되었다가 3라운드에서 이겨서 4승 4패로 백중세가 되었다가 3번 더 붙어서 1승 2패 열세 전적의 5승 6패 기록이 되었다. 이후 펼쳐진 챔피언결정전에서 두 감독이 서로 맞붙었는데, 김승기 감독의 KGC가 KCC를 4승으로 스윕하며 정규시즌 열세를 설욕하였다.[7]
- 출생연도는 1년 빠르지만 김승기 감독이 생일이 빨라 학교를 조기 입학해 90학번 동갑내기로 지내는 문경은 前 SK 나이츠 감독한테 승률이 높다. 현재 상대전적은 22승 12패 0.647이다. 정규리그에서만 맞붙었는데 2015~2016시즌부터 5시즌 연속 SK 상대 열세인 적이 없었다.[8] 이 두팀은 김승기 부임 이후 플레이오프에서 맞붙어본적이 없는데, 2015-2016시즌 KGC 4위(4강) SK 9위(탈락), 2016-2017시즌 KGC 1위(우승) SK 7위(탈락), 2017-2018시즌 KGC 5위(4강) SK 2위(우승), 2018-2019시즌 KGC 7위(탈락) SK 9위(탈락),2019-2020시즌은 KGC 3위 SK 공동 1위였으나 플레이오프 없이 시즌을 마쳤기에 5년간 플레이오프에서 동반 진출을 못하거나 동반 진출을 해도 마주칠 수 없었다. 역대 시즌을 통틀어 양팀이 챔피언결정전에서 맞붙어 본적은 없고 2007-08시즌 6강 플레이오프에서 만나 주희정이 4쿼터 종료 직전 손지창슛으로 불리는 3점 버저비터로 연장으로 끌고 가 1차전을 잡아 기선제압을 한 뒤 2차전에서 마퀸 챈들러의 41득점 12리바운드 10어시스트 트리플더블 활약을 바탕으로 2승을 만들어 4강에 올라간 것[9]과 12-13 시즌 4강 플레이오프에서 맞붙어 SK가 3승 1패로 챔프전에 진출한 것이 맞대결 결과의 전부이다. 이후 두 팀이 포스트시즌에서 대결할 때 승률이 어떻게 될지 기대를 모은다. 한편 문경은 감독의 기술 고문직 이동으로 삼성 출신 90학번 감독 맞대결은 볼 수 없게 되었다.
-
과거 작전타임 때 선수들을 지나치게 갈구는 모습으로 안티들에게 비난을 받은적이 있지만 최근엔 많이 부드러워진 모습이다. 경기 포기 논란 이후 카메라를 의식한다는 말도 있지만 이 부분 또한 칭찬을 받고 있다.
감독 1년차 작전타임
최근 작전타임
-
2020 KBL 컵 대회 미디어데이에서 2020년 5월 부임한 같은 90학번 창원 LG 세이커스
조성원 감독에게 직전시즌에 우리가 더 공격 횟수를 많이 가져가서 이겼는데 직접 보는 앞에서 한 수 가르쳐 주겠다 했는데 그대로 스틸을 통해 속공을 바탕으로 승리를 해 감독 선배의 능력을 보였다.[10]
앞으로 맞붙을 정규 리그에서 빠르고 쉴 틈 없이 공격농구를 표방한 조성원 감독과의 맞대결이 주목된다. 정규시즌에 들어서도 LG에게 1~3라운드를 모두 승리했다. 3경기 모두 60점대의 실점으로 막아낸 것은 덤이다.
- 선수 때 슈팅 가드로 활약해서 그럴지 모르겠지만 슈터를 키워내는 데 탁월함이 있다. LG에서 뛰던 배병준을 데려와 슈터로 키웠고 SK에서 뛰었던 우동현을 데리고 와서 3점슛 잘 넣는 선수로 키웠다.[11]
-
아들 두 명 모두 농구 선수로 큰아들
김진모는 2라운드 3순위 대구 한국가스공사에, 작은 아들
김동현은 1라운드 9순위로 전주 KCC에 지명되었다.[12]
-
2021년 9월 30일 열린 미디어데이에서 예전과는 달리 9개 감독으로 부터 우승 후보로 평가받지 못했다.
제러드 설린저와 재계약을 못했고 FA
이재도가
창원 LG로 이적해서
양희종,
오세근의 몸 상태가 좋지 못한 것이라면서 전력이 약해졌다 평가받아 그렇다 했다.
- 다만 두 아들 김진모, 김동현이 프로 구단에 지명되어 10개 구단 중 우리 가족이 우승할 확률이 30%라면서 웃어보였다. 우승 반지가 네 개 있는데 한 개 더 따면 다섯 개가 되니까 우승하고 싶은 마음을 감추지 않았다.
- 캐롯 구단주였던 허재가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에 출연하면서 자연스럽게 출연했다.
-
성균관대학교
김상준 감독과 절친한 만큼 드래프트에서 성균관대 선수들을 자주 뽑는 것으로 유명하다.
인맥픽2019년 3라운드, 2020년 3라운드, 2021년 1라운드, 2022년 2라운드, 2023년 1, 2라운드. 최근 5년 동안 항상 성균관대 선수들을 뽑았다.
- KGC 시절부터 모비스를 상대로 정규시즌에서나 플레이오프에서나 유독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김승기가 플레이오프에서 모비스를 만나면 단 한 번도 시리즈에서 탈락한 적이 없을 만큼 모비스를 상대로 상당히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7. 관련 문서
[1]
1998년 11월 24일생으로 포지션은 포워드로 신장이 196cm라고 한다. 2021년 드래프트 신청했고 2라운드 3순위로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에 지명됐다.
[2]
2002년 2월 15일생으로 190cm의 신장이다. 용산중, 용산고, 연세대 출신으로 2021년 신인 드래프트를 신청했고
부산 KCC 이지스에 지명됐다. 슈팅 가드를 맡고 있다.
[3]
삼성 썬더스, 원주 나래-TG-동부, 2003-04 시즌 모비스 오토몬스 시절
[4]
2004-05 시즌 모비스 피버스 시절
[5]
2024년 11월 22일 자진 사퇴
[6]
2002-03 TG 선수 시절, 2007-08 동부 코치 시절, 2016-17 인삼공사 감독 시절 우승했다.
허재의 경우 선수(1997 기아)와 감독(2008-09 KCC)으로 모두 김승기보다 먼저 우승했다.
허재는
코치 경력 없이 감독으로 직행했기 때문에 선수와 감독 기준으로만 한정할 때는 허재가 최초다. 이후 5년뒤
전희철이 선수, 코치, 감독으로 모두 우승을 달성했다.
[7]
참고로 전창진 감독이 부임전에는 김승기 감독의 KCC 상대전적이 8승 16패 승률 0.333 이었다. 그 속을 들어다 보면 2015-16시즌에는 김승기 감독이 2015년 12월 31일까지 대행신분으로 1승 3패 감독이 되어 2016년 2패(도합 1승 5패), 2016-17 시즌에 5승 1패 먹이 먹듯 물리치며 압살해 통합우승을 기록한 것을 빼고[14] 2017-18시즌 6패, 2018-19 시즌 2승 4패로 (특히 18-19시즌에는 상대전적 열세가 6위와의 승차가 2경기차의 아쉬운 플레이오프 탈락으로 이어졌다.) 밀렸다. KCC에게 상대전적에서 밀리며 압살당해 순위가 더 낮았다. 2019-20 시즌에는 우위를 보이며 KCC보다 순위가 더 높았는데, 앞으로의 시즌에서 KCC를 상대로 우위를 가져가면서 순위가 더 높을지 아니면 그 반대가 될지 주목이 갔는데 20-21 정규시즌에 2승 4패로 열세였고 정규리그 순위는 KCC가 1위 KGC가 3위였다. 21-22 시즌에는 직전시즌 챔피언 결정전에서 만나는 팀들이 개막전에서 만나는 원칙에 따라 만났는데 85:76로 KGC가 승리를 거두었고 KCC와 순위가 같다.
[8]
2015-16시즌 4승 2패, 2016-17시즌 5승 1패, 2017-18시즌 3승 3패, 2018-19시즌 5승 1패 2019-20시즌 2승 2패
[9]
이 두경기 마저도 역대급에 5점차 이내 박빙 승부였다. 1차전 94-90, 2차전 90-87
[10]
LG가 3점슛 14개로 KGC보다 3개의 3점슛을 더 꽂았지만 수비를 바탕으로 승리를 한 것이다.
[11]
잠재력이 있는 선수라고 생각이 들면 슛이 좋은 선수로 만들겠다는 신념이 있다.
[12]
참고로 아들 두 명 모두 KBL에서 뛰고 있는 자녀로 허재 전 국가대표팀 감독의 두 아들
허웅,
허훈에 이어 두 번째이다.
[13]
세바라기는 LG의 팬 애칭이다.